목차 일부
머리말
수록 논문을 발표한 책 또는 발표회
영문 차례
제1편 비단길 음악 ... 15
제1장 실크로드 음악의 전래와 변천 - 장구를 중심으로 ... 17
1. 머리말 ... 17
2. 실크로드의 개요 ... 18
3. 장구가 나타나는 외국 음악 자료 ... 19
4. 장구가 나타나는 음악 자료 ... 28
5. 장구 종류의 분류 ...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수록 논문을 발표한 책 또는 발표회
영문 차례
제1편 비단길 음악 ... 15
제1장 실크로드 음악의 전래와 변천 - 장구를 중심으로 ... 17
1. 머리말 ... 17
2. 실크로드의 개요 ... 18
3. 장구가 나타나는 외국 음악 자료 ... 19
4. 장구가 나타나는 음악 자료 ... 28
5. 장구 종류의 분류 ... 32
6. 장구 종류의 분포 ... 36
7. 맺음말 ... 38
제2장 인도음악의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 ... 57
1. 머리말 ... 57
2. 수루띠(suruti) ... 58
3. 라가(raga) ... 64
4. 바디(vadi)와 삼바디(samvadi) ... 70
5. 아로하(aroha)와 아바로하(avaroha) ... 74
6. 9라사(rasa) ... 76
7. 맺음말 ... 77
제3장 「나티야 사스트라」의 인도 고대음악 ... 81
1. 머리말 ... 81
2. 극장 오케스트라 ... 82
3. 성악곡의 형식 ... 84
4. 기악곡의 형식 ... 88
5. 악기론 ... 90
6. 합주 ... 102
7. 음악가론 ... 110
8. 맺음말 ... 112
제4장 자바의 가믈란 ... 115
1. 머리말 ... 115
2. 역사적 배경 ... 118
3. 가믈란 음악의 구조 ... 124
4. 자바 가믈란의 사회적 기능 ... 130
5. 맺음말 ... 135
제5장 라후 셀레 마을의 제천 음악 ... 137
1. 머리말 ... 137
2. 조사 일정과 조사 지역 ... 138
3. 라후족의 이모 저모 ... 139
4. 라후족의 제천 의식 음악 ... 146
5. 라후족의 제천 음악과 강원도 민요 ... 147
6. 치앙마이의 산족 악기 ... 152
7. 맺음말 ... 157
제2편 비단길 음악과 한국 음악 ... 163
제1장 한국음악과 인도음악의 비교 ... 165
1. 머리말 ... 165
2. 선율 구조의 비교 ... 166
3. 장단 구조의 비교 ... 168
4. 악기의 비교 ... 172
5. 맺음말 ... 178
제2장 생가요량의 장단 ... 180
1. 머리말 ... 180
2. 생가요량의 장단 ... 181
3. 고취악 ... 186
4. 여민락 ... 188
5. 고취악의 전래 ... 191
6. 맺음말 ... 200
제3장 동남아시아 음악의 세틀 형식 ... 204
1. 머리말 ... 204
2. 세틀형식이란 무엇인가? ... 205
3. 몸글 ... 206
가. 인도 음악의 세틀 형식 ... 206
나. 자바 음악의 세틀 형식 ... 208
다. 태국 음악의 세틀 형식 ... 212
라. 한국 음악의 세틀 형식 ... 215
4. 맺음말 ... 224
제3편 한국 음악의 장단과 선법 ... 229
제1장 정악 장단의 형성 ... 231
1. 머리말 ... 231
2. 정악 장단의 분석 ... 232
3. 정악 장단의 뿌리 ... 255
4. 정악 장단의 구성 방법 ... 260
5. 맺음말 ... 263
제2장 산조 장단의 형성 ... 266
1. 머리말 ... 266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67
3. 장단 구성 ... 269
4. 상영산 장단의 변천 ... 284
5. 맺음말 ... 288
제3장 굿거리 장단의 변주 방법 ... 290
1. 머리말 ... 290
2. 몸글 ... 291
3. 맺음말 ... 299
제4장 봉래의의 장구형 ... 306
1. 머리말 ... 306
2. 몸글 ... 307
가. 고취악 계통의 장구형 ... 307
나. 향악 계통의 장구형 ... 314
3. 맺음말 ... 333
제5장 풍입송의 형식과 장구형 ... 337
1. 머리말 ... 337
2. 몸글 ... 339
가. 형식 ... 339
나. 장구형 ... 344
3. 맺음말 ... 351
제6장 거문고 음악의 선법 ... 357
1. 머리말 ... 357
2. 선법의 변질 ... 359
3. 기존 용어의 점검 ... 371
4. 다섯 가지 선법 ... 379
5. 맺음말 ... 390
제7장 해금 음악의 선법 ... 393
1. 머리말 ... 393
2. 거문고 음악의 선법적 양상 ... 394
3. 해금 음악의 선법적 양상 ... 396
4. 여러 가지 선법 분류법 ... 407
5. 조표 사용의 문제 ... 416
6. 맺음말 ... 419
제8장 여러 가지 계면조 ... 421
1. 머리말 ... 421
2. 몸글 ... 422
가. 선법과 음계, 조의 정의 ... 422
나. 세 가지 계면조 ... 426
3. 맺음말 ... 441
제9장 한국음악의 상조 ... 444
1. 머리말 ... 444
2. 옛 문헌의 상선법 ... 446
3. 현행 한국 음악의 상선법 ... 454
4. 맺음말 ... 462
제4편 한국 음악의 과거와 미래 ... 465
제1장 정간보에 관한 연구 ... 467
1. 머리말 ... 467
2. 시가(時價)가 나타나 있는 악보 ... 468
3. 정간보의 분류 ... 472
4. 정간보의 시가 변천 ... 478
5. 현행 이삭대엽의 장단 ... 495
6. 맺음말 ... 498
제2장 현도(絃도)에 관한 고찰 ... 511
1. 머리말 ... 511
2. 몸글 ... 512
가. 현도의 도(도) ... 512
나. 인도의 라바나타 ... 518
3. 맺음말 ... 524
제3장 『세종실록』아악보와 현행 문묘악 ... 527
1. 머리말 ... 527
2. 몸글 ... 528
가. 원조 임우 대성악보 ... 528
나. 웅붕래의 석전악보와 원조 임우 대성악보 ... 534
다. 현행 문묘제례악 ... 535
라. 『세종실록』의 임우 대성악보와 현행의 문묘악 ... 539
3. 맺음말 ... 548
제4장 한국음악 분류법의 역사적 변천 ... 550
1. 머리말 ... 550
2. 몸글 ... 551
가. 『삼국사기』악지(1145) ... 551
나. 『고려사』악지(1454)와 진양『악서』(1104) ... 553
다. 『악학궤범』(1493) ... 556
라. 『중보문헌비고』(1908) ... 557
마. 현대의 분류 ... 559
3. 맺음말 ... 564
제5장 전통예술원의 운영방안 ... 567
1. 머리말 ... 567
2. 서양의 컨설바토리 ... 568
3. 한국의 컨설바토리 ... 576
4. 전통예술원 운영 방안 ... 586
5. 맺음말 ... 591
참고문헌 ... 597
찾아보기 ... 6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