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글판머리말 ... 5
역자머리말 ... 9
제1장 고고학의 범위 ... 23
1. 고고학의 목적 ... 25
(1) 역사연구의 <學>으로서의 고고학 ... 25
(2) 고고학적 역사복원의 주제 ... 27
2. 고고학의 발달 ... 28
(1) 박물학과 고전연구 ... 28
(2) 고고학의 체계화와 시대구분 ... 29
(...
더보기
목차 전체
한글판머리말 ... 5
역자머리말 ... 9
제1장 고고학의 범위 ... 23
1. 고고학의 목적 ... 25
(1) 역사연구의 <學>으로서의 고고학 ... 25
(2) 고고학적 역사복원의 주제 ... 27
2. 고고학의 발달 ... 28
(1) 박물학과 고전연구 ... 28
(2) 고고학의 체계화와 시대구분 ... 29
(3) 시대구분의 진전 ... 30
(4) 시대구분의 한계 ... 32
(5) 고고학적 시대구분과 인류사적 시대구분 ... 33
(6) 몬테리우스의 형식학 ... 34
(7) 고고학의 세분과 통합 ... 36
3. 고고학의 다양화 ... 37
(1) 선사·원사·역사 ... 37
(2) 고고학의 제분야 ... 38
1) 선사고고학 ... 39
가. 구석기시대 고고학 ... 39
나. 신석기시대이래의 고고학 ... 40
2) 역사고고학 ... 42
가. 근세고고학 ... 42
나. 중세고고학 ... 43
다. 고전고고학 ... 44
라. 종교고고학 ... 47
3) 주제고고학 ... 49
가. 환경고고학 ... 50
나. 동물고고학 ... 51
다. 식물고고학 ... 53
라. 실험고고학 ... 54
마. 민족고고학 ... 55
바. 고고학과 컴퓨터 이용 ... 56
사. 주제고고학과 고고학연구 ... 58
제2장 고고학의 방법 ... 59
1. 고고자료의 특성 ... 61
(1) 고고자료란 무엇인가 ... 61
(2) 인간활동을 시사하는 물적증거 ... 62
(3) 유적·유물 ... 65
(4) 잔존자료와 망실자료 ... 66
(5) 고고자료의 범위 ... 69
2. 형식이란 무엇인가 ... 71
(1) 고고학적 분류로서의 형식 ... 71
(2) 사회적 산물로서의 형식 ... 72
(3) 형식의 제속성 ... 74
1) 시간적 속성 ... 75
2) 공간적 속성 ... 77
3) 사회·문화적 속성 ... 77
(4) 형식을 만들어 낸 사람과 속성의 관계 ... 79
3. 형식과 시간 ... 80
(1) 시간축의 설정 ... 80
(2) 형식연속과 지역편년 ... 81
(3) 형식연속의 방향 ... 83
(4) 지역편년 상호공시화 ... 84
(5) 편년체계의 확립 ... 86
(6) 상대연대와 절대연대 ... 90
(7) 이화학적 연대측정법 ... 94
(8) 역연대와 이화학연대의 차이 ... 98
4. 형식과 문화 ... 100
(1) 형식과 분포권 ... 100
(2) 고고자료의 분포와 문제점 ... 101
(3) 형식조합 ... 고고
(4) 고고학적 문화와 집단 ... 105
(5) 고고학적 문화의 명명법 ... 106
5. 형식과 기능 ... 108
(1) 기능추정의 방법 ... 108
(2) 공존관계 ... 109
(3) 유추 ... 110
(4) 보다 세련된 유추 ... 112
(5) 사용흔적의 관찰과 분석 ... 113
(6) 실험 ... 114
(7) 가설검증의 수단으로서의 실험 ... 115
(8) 실험의 평가 ... 116
6. 고고학적 역사의 복원 ... 117
(1) 편년·분포·문화세목의 확정 ... 117
(2) 역사의 복원과 해석 ... 118
제3장 고고학의 조사 ... 121
1. 조사계획과 조사종류 ... 123
(1) 조사계획의 설정 ... 123
(2) 조사체제 ... 124
(3) 예비조사 ... 125
(4) 본조사 ... 127
(5) 분포조사 ... 129
(6) 분포조사의 공표 ... 132
(7) 고고자료의 분포와 의미 ... 133
(8) 선입관과 분포도 ... 133
(9) 유적파괴와 분포 ... 134
(10) 正·분포 ... 136
2. 발굴 ... 139
(1) 발굴이란 무엇인가 ... 139
(2) 발굴장비 ... 139
(3) 발굴방법 ... 143
(4) 층위확인 ... 143
(5) 발굴과 유물보존처리 ... 147
(6) 발굴과 안전대책 ... 149
(7) 유물의 채집방법과 자료누락 ... 150
(8) 샘플링방법과 고고학적 의의 ... 153
(9) 자료의 정성적·정량적 표시 ... 155
3. 발굴자료의 정리와 분석 ... 159
(1) 출토유물의 세척과 등록 ... 159
(2) 출토기록의 정리와 분류 ... 161
(3) 유물접합과 복원 ... 162
(4) 유물계측과 집계 ... 164
(5) 유물실측 ... 165
(6) 보고서 작성 ... 167
제4장 고고학과 관련분야 ... 171
1. 형질인류학 ... 173
(1) 인류진화 ... 173
(2) 직립이족보행과 도구사용 ... 174
(3) 고고자료로서의 인골 ... 178
(4) 인골정보와 고고학적 역사복원 ... 179
(5) 인골과 고병리 ... 181
(6) 인종연구와 고고학 ... 183
2. 민족(속)학 ... 184
(1) 문화의 전체적인 이해 ... 184
(2) 사회조직 ... 185
(3) 혈연조직·혼인·가족 ... 186
(4) 씨족 ... 188
(5) 인간행위와 의미 ... 189
(6) 가치체계·고고학 ... 191
(7) 민속학과 고고학 ... 193
(8) 민속학의 사례와 고고자료의 해석 ... 194
(9) 중·근세고고학과 민속학 ... 195
3. 자연과학 ... 197
(1) 고고학과 자연과학 ... 197
(2) 고고학과 자연환경 ... 198
(3) 고고자료의 이화학적 분석 ... 199
(4) 보존과학 ... 202
(5) 고고학과 관련분야의 관계 ... 203
제5장 고고학과 현대사회 ... 207
1. 고고학과 민족문제 ... 209
(1) 거주지고고학 ... 209
(2) 일선양민족동원론 ... 210
(3) 고고학과 민족의식 ... 212
(4) 고고학과 역사교육 ... 213
2. 개발과 고고학 ... 214
(1) 개발과 유적파괴 ... 214
(2) 개발과 고고학의 성과 ... 216
(3) 유적보호·보존 ... 219
(4) 유적보존과 활용 ... 220
(5) 유적보존의 의의 ... 222
참 고 문 헌 ... 225
索 引 ... 2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