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 누가 북한을 논하는가 ... 5
제1장 북한 통치 이념의 올바른 이해 : 정치 문화적 특성 ... 17
Ⅰ. 서론 ... 17
Ⅱ. 연구 방법 ... 26
1. 북한 연구 경향 ... 26
2.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 ... 29
3. 연구 범위 ... 34
제2장 사회주의 체제와 통치 이데올로기...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 누가 북한을 논하는가 ... 5
제1장 북한 통치 이념의 올바른 이해 : 정치 문화적 특성 ... 17
Ⅰ. 서론 ... 17
Ⅱ. 연구 방법 ... 26
1. 북한 연구 경향 ... 26
2.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 ... 29
3. 연구 범위 ... 34
제2장 사회주의 체제와 통치 이데올로기 ... 39
Ⅰ. 통치 이데올로기의 기능 ... 39
1. 정치 체제와 정치 문화 ... 42
2. 정치 문화와 이데올로기 ... 48
3. 사회주의 체제와 이데올로기 ... 53
Ⅱ. 사회주의 체제에서의 이데올로기 ... 57
1. 마르크스주의와 그 변형 ... 57
2. 통치 이데올로기의 구조와 기능 ... 62
3. 통치 이데올로기와 체제 변화 ... 69
제3장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수용과 주체사상의 형성 ... 77
Ⅰ. 인민 정권 수립과 마르크스 - 레닌주의의 수용 ... 77
1. 반제 반봉건 민주 혁명의 실현 ... 77
2. 스탈린주의의 수용과 이행 ... 86
3. 1인 지배 체제의 구축과 개인 숭배 ... 94
Ⅱ. 혁명전통의 강조와 주체사상의 대두 ... 101
1. 주체사상의 형성 배경 ... 101
2.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 ... 105
3. 동원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 110
제4장 주체사상의 종언과 수령론의 등장 ... 115
Ⅰ. 온 사회의 김일성주의화 선포 ... 115
1. 김일성주의화와 권력 세습 ... 115
2. 김일성주의의 이론 체계 ... 131
3. 김일성주의의 한계 ... 135
Ⅱ. 혁명적 수령론의 등장 ... 138
1. 수령론의 이념적 본질 ... 138
2. 사회 정치적 생명체론 ... 154
3. 유일적 영도 체계 ... 163
제5장 체제 공고화를 위한 전통사상의 수용 ... 171
Ⅰ. 전통사상 수용의 배경 ... 171
1. 부자 권력 세습의 합리화 목적 ... 173
2. 동유럽 공산 체제 붕괴와 소련의 해체 ... 181
Ⅱ. 북한 체제에 미친 전통사상의 영향 ... 190
1. 조선조 정치 문화의 영향 ... 193
2. 일제 식민 통치 문화의 영향 ... 209
제6장 통치 이념 속에 수용된 전통사상의 내용 ... 223
Ⅰ. 사회의 대가정화(大家庭化) 이론 ... 223
1. 영도 체계와 봉건적 가부장제 ... 223
2. 가부장제 이론과 대가정화 ... 226
3. 가정 문화 정책과 대가정화 ... 234
Ⅱ. 충효의 신념화·양심화·도덕화 ... 241
1. 충효 일심의 시원 강조 ... 243
2. 의리와 동지애로서의 충효 ... 251
Ⅲ. 인덕 정치 및 광폭 정치 ... 264
1. 덕치(德治)의 강조 ... 266
2. 인민 대중 중심의 사회주의 ... 277
Ⅳ. 단군의 복원과 우리 민족 제일주의 ... 289
1. 민족의 시조와 사회주의 시조 ... 289
2. 김일성 신격화의 완결 ... 300
Ⅴ. 전통사상 수용과 반응 ... 307
1. 순기능적 측면 ... 308
2. 역기능적 측면 ... 316
제7장 결론 ... 321
참고문헌 ... 331
부록
1. 김정일의 주요 저작 목록 ... 363
2. 주체사상에 대하여 ... 370
3. 조선노동당은 영광스러운 ㅌ·ㄷ의 전통을 계승한 주체형의 혁명적 당이다 ... 392
4. 김일성·김정일 가계도 ... 415
색인 ... 417
표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