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고려시대의 樂과 樂章
1. 序論 ... 7
2. 雅樂과 樂章 ... 11
3. 唐樂과 詞 ... 15
4. 鄕樂과 歌詞 ... 26
5. 결론 ... 43
고려속요와 악곡과의 관계
1. 서론 ... 47
2. 노랫말 배분과 관련된 악곡의 요소 ... 50
3. 악곡의 양식에 의한 노랫말의 분류 ... 61
4...
더보기
목차 전체
고려시대의 樂과 樂章
1. 序論 ... 7
2. 雅樂과 樂章 ... 11
3. 唐樂과 詞 ... 15
4. 鄕樂과 歌詞 ... 26
5. 결론 ... 43
고려속요와 악곡과의 관계
1. 서론 ... 47
2. 노랫말 배분과 관련된 악곡의 요소 ... 50
3. 악곡의 양식에 의한 노랫말의 분류 ... 61
4. 결론 ... 89
參考文獻 ... 93
고려속요에 있어서 악곡과 노랫말의 변모양상
1. 서론 ... 95
2. 동동과 정읍사 ... 97
3. 동동과 정과정 ... 104
4. 정과정(진작(4))과 한림별곡 ... 108
5. 정과정과 이상곡 ... 114
6. 결론 ... 119
고려가요 조흥구의 연구
1. 연구대상과 문제의 제기 ... 121
2. 본론 ... 123
3. 상호간의 관련양상 ... 137
參考文獻 ... 140
井邑詞는 百濟 노래인가?
1. 서론 ... 141
2. 본론 ... 144
3. 해결의 전망 ... 151
後殿眞勺과 北殿에 대하여
1. 연구현황과 문제의 제기 ... 155
2. 후전진작과 북전의 관계 ... 161
3. 하나의 가설 ... 181
參考文獻 ... 183
翰林別曲의 起源 再攷
1. 문제의 제기 ... 185
2. 외래기원설 비판 ... 185
3. 別曲·別詞·別伎의 뜻 ... 187
4. 한림별곡과 진작(四) ... 190
5. 결론 ... 198
정과정(진작)의 연구
Ⅰ. 서론 ... 199
Ⅱ. 정과정의 악곡과 노랫말 ... 210
Ⅲ. 향가와 정과정의 관계 ... 277
Ⅳ. 고려가요의 전승과 정과정 ... 298
Ⅴ. 정과정과 가곡·시조의 관계 ... 341
Ⅵ. 결론 ... 364
參考文獻 ... 373
鄭瓜亭의 綜合的 考察
1. 서론 ... 379
2. 작자 ... 380
3. 지은 동기 ... 382
4. 지은 장소·시기와 연모의 대상 ... 383
5. 명칭과 그 어원 ... 385
6. 전승과 용도 ... 387
7. 형식 ... 388
8. 율격 ... 390
9. 어석 ... 392
10. 작품론 ... 399
11. 시가사적 의의 ... 404
參考文獻 ... 406
후기 ... 409
찾아보기 ... 411
고려시대의 樂과 樂章
1. 序論 ... 7
2. 雅樂과 樂章 ... 11
3. 唐樂과 詞 ... 15
4. 鄕樂과 歌詞 ... 26
5. 결론 ... 43
고려속요와 악곡과의 관계
1. 서론 ... 47
2. 노랫말 배분과 관련된 악곡의 요소 ... 50
3. 악곡의 양식에 의한 노랫말의 분류 ... 61
4. 결론 ... 89
參考文獻 ... 93
고려속요에 있어서 악곡과 노랫말의 변모양상
1. 서론 ... 95
2. 동동과 정읍사 ... 97
3. 동동과 정과정 ... 104
4. 정과정(진작(4))과 한림별곡 ... 108
5. 정과정과 이상곡 ... 114
6. 결론 ... 119
고려가요 조흥구의 연구
1. 연구대상과 문제의 제기 ... 121
2. 본론 ... 123
3. 상호간의 관련양상 ... 137
參考文獻 ... 140
井邑詞는 百濟 노래인가?
1. 서론 ... 141
2. 본론 ... 144
3. 해결의 전망 ... 151
後殿眞勺과 北殿에 대하여
1. 연구현황과 문제의 제기 ... 155
2. 후전진작과 북전의 관계 ... 161
3. 하나의 가설 ... 181
參考文獻 ... 183
翰林別曲의 起源 再攷
1. 문제의 제기 ... 185
2. 외래기원설 비판 ... 185
3. 別曲·別詞·別伎의 뜻 ... 187
4. 한림별곡과 진작(四) ... 190
5. 결론 ... 198
정과정(진작)의 연구
Ⅰ. 서론 ... 199
Ⅱ. 정과정의 악곡과 노랫말 ... 210
Ⅲ. 향가와 정과정의 관계 ... 277
Ⅳ. 고려가요의 전승과 정과정 ... 298
Ⅴ. 정과정과 가곡·시조의 관계 ... 341
Ⅵ. 결론 ... 364
參考文獻 ... 373
鄭瓜亭의 綜合的 考察
1. 서론 ... 379
2. 작자 ... 380
3. 지은 동기 ... 382
4. 지은 장소·시기와 연모의 대상 ... 383
5. 명칭과 그 어원 ... 385
6. 전승과 용도 ... 387
7. 형식 ... 388
8. 율격 ... 390
9. 어석 ... 392
10. 작품론 ... 399
11. 시가사적 의의 ... 404
參考文獻 ... 406
후기 ... 409
찾아보기 ... 41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