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ⅶ
Ⅰ. 韓國의 固有領土로서의 獨島 領有에 대한 역사적 연구 / 愼鏞厦 ... 11
1. 머리말 ... 11
2. 서기 512년 독도·울릉도의 신라에의 영토 편입 ... 14
3. 고려 왕조의 독도·울릉도 영유와 지배 ... 21
4. 조선 왕조의 독도·울릉도 영유와 지배 ... 29
5. '二島說'과 '本一島說'의 문제 ... 4...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ⅶ
Ⅰ. 韓國의 固有領土로서의 獨島 領有에 대한 역사적 연구 / 愼鏞厦 ... 11
1. 머리말 ... 11
2. 서기 512년 독도·울릉도의 신라에의 영토 편입 ... 14
3. 고려 왕조의 독도·울릉도 영유와 지배 ... 21
4. 조선 왕조의 독도·울릉도 영유와 지배 ... 29
5. '二島說'과 '本一島說'의 문제 ... 49
6. 17세기 일본의 울릉도·독도 침략 시도와 安龍福의 활동 ... 56
7. 서기 1696∼97년의 울릉도·독도 '영토 분쟁'의 종결과 조선 영토로서의 확정 ... 68
8. 맺음말 ... 91
Ⅱ. 朝鮮前期의 庶孼身分 / 지승종 ... 99
1. 머리말 ... 99
2. 서얼 신분의 정의 ... 100
3. 성립 시기 ... 104
4. 천첩 자손의 신분 결정 ... 107
5. 서얼의 신분 상황 ... 118
6. 庶孼과 身分構造 ... 134
7. 맺음말 ... 139
Ⅲ. 조선 시대 향리층 연구의 동향과 문제점 / 김준형 ... 142
1. 서론 ... 142
2. 시기별 연구 동향 ... 143
3. 부문별 문제점과 전망 ... 161
4. 결론 ... 176
Ⅳ. 조선 후기 제주도 지방의 신분 구조 / 조성윤 ... 178
1. 머리말 ... 178
2. 자료의 특성 ... 180
3. 직역과 신분 ... 183
4. 처의 호칭과 신분 ... 199
5. 직역 변동 ... 202
6. 맺음말 ... 203
Ⅴ. 농민 집강소를 통해서 본 갑오농민전쟁의 사회적 지향 / 정진상 ... 223
1. 머리말 ... 223
2. 집강소 출현의 구조적 조건 ... 225
3. 집강소의 조직적 차원 ... 230
4. 농민군의 사회적 지향 ... 246
5. 맺음말 ... 268
한국사회사연구회 연혁 ... 27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