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홍재전서 제37권
돈유(敦諭)
홍 봉조하(洪奉朝賀) 봉한(鳳漢)에 대한 하유 병신년 ... 1
유신(儒臣) 호조 참의 김양행(金亮行)에 대한 하유 정유년 ... 2
장령 김종후(金鍾厚)에 대한 하유 무술년 ... 2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에 대한 하유 기해년 ... 3
영중추부사 서명선(徐...
더보기
목차 전체
일러두기
홍재전서 제37권
돈유(敦諭)
홍 봉조하(洪奉朝賀) 봉한(鳳漢)에 대한 하유 병신년 ... 1
유신(儒臣) 호조 참의 김양행(金亮行)에 대한 하유 정유년 ... 2
장령 김종후(金鍾厚)에 대한 하유 무술년 ... 2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에 대한 하유 기해년 ... 3
영중추부사 서명선(徐命善)에 대한 하유 경자년 ... 4
돈녕부 도정 유언집(兪彦鏶)에 대한 하유 경자년 ... 6
시평 김이안(金履安)에 대한 하유 갑진년 ... 7
경연관(經筵官) 민이현(閔彛顯) 등에 대한 하유 ... 8
판중추부사 서명선(徐命善)에 대한 하유 ... 9
판중추부사 서명선에 대한 하유 을사년 ... 10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에 대한 하유 2수. 병오년 ... 11
우의정 조경(趙璥)에 대한 하유 2수. 정미년 ... 13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에 대한 하유 2수. 무신년 ... 15
우의정 채제공(蔡濟恭)에 대한 하유 2수 ... 17
좌의정 채제공에 대한 하유 경술년 ... 19
영의정 김익(金익)에 대한 하유 ... 20
우의정 박종악(朴宗岳)에 대한 하유 임자년 ... 20
우의정 김이소(金履素)에 대한 하유 ... 21
영의정 채제공(蔡濟恭)에 대한 하유 계축년 ... 22
좌의정 김종수(金鍾秀)에 대한 하유 ... 22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에 대한 하유 ... 23
우의정 김희(金憙)에 대한 하유 ... 24
우의정 이병모(李秉模)에 대한 하유 갑인년 ... 25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에 대한 하유 ... 26
판중추부사 김종수(金鍾秀)에 대한 하유 ... 27
좌의정 유언호(兪彦鎬)와 우의정 채제공(蔡濟恭)에 대한 하유 을묘년 ... 28
좌의정 유언호에 대한 하유 ... 29
우의정 윤시동(尹蓍東)에 대한 하유 ... 30
원임 제학(原任提學) 봉조하 김종수(金鍾秀)에 대한 하유 병진년 ... 31
원자 사부(元子師傅) 송환기(宋煥箕)에 대한 하유 ... 31
좌의정 채제공(蔡濟恭)에 대한 하유 무오년 ... 32
우의정 심환지(沈煥之)에 대한 하유 3수 ... 32
영중추부사 홍낙성(洪樂性)과 판중추부사 채제공(蔡濟恭)에 대한 하유 ... 35
우의정 이시수(李時秀)에 대한 하유 기미년 ... 36
원임(原任) 내각 제학 심환지(沈煥之)에 대한 하유 ... 36
영의정 이병모(李秉模)에 대한 하유 2수 ... 39
겸 찬선 송환기(宋煥箕)에 대한 하유 경신년 ... 41
홍재전서 제38권
유서(諭書)
평안도 관찰사 홍낙순(洪樂純)에게 내리는 유서 정유년 ... 43
팔강(八江)의 선유 어사(宣諭御史)에게 주어 가지고가게 하는 유서 신축년 ... 45
제도(諸道)에 세수(歲首)에 내리는 유서 임인년 ... 47
해서 안문사(海西按問使) 및 방백에게 내리는 유서 ... 49
원춘도(原春道) 영동(嶺東) 아홉 군의 선유사(宣諭使)인 춘천 도호부사(春川都護府使) 이시수(李時秀)에게 내리는 유서 계묘년 ... 51
함경북도 감진사 겸 관개시사(咸鏡北道監賑御史兼管開市使) 이재학(李在學)에게 주는 유시 ... 52
경상도도사 겸 독운 어사(慶尙道都事兼督運御史) 김재인(金載人)에게 내리는 유서 ... 54
제주의 전 목사 엄사만(嚴思晩)에게 감진사(監賑使)를 잉임(仍任)하게 하여 이어 백성들을 위유(慰諭)하게 하는 유서 갑지년 ... 57
현륭원 도감(顯隆園都監)의 여러 신하들에게 유시하는 글 기유년 ... 60
현륭원의 관원에게 유시하는 글 경술년 ... 62
원관(園官) 및 지방관 수원 부사에게 유시하는 글 ... 64
전 우의정 김종수(金鍾秀)에게 유시하는 글 신해년 ... 69
전라 감사 정민시(鄭民始)에게 유시하는 글 ... 69
강계 부사(江界府使) 권엄(權엄)에게 유시하는 글 임자년 ... 70
연안(延安) 등 고을의 이사에게 주어 가지고 가게 하는 유서 계축년 ... 71
동지정사(冬至正使) 황인점(黃仁點)에게 유시하는 글 ... 73
영남 위유사(嶺南慰諭使)에게 주어 가지고 가게 하는 유시 갑인년 ... 73
호서(湖西)의 사부(士夫)와 백성들에게 유시하는 글 ... 76
평안도 의주부(義州府) 육도(六島)의 물에 빠진 백성들을 유시하는 글 병진년 ... 78
관동백이 올린 여러 유생의 농서에 회답하는 유서 기미년 ... 80
홍재전서 제39권
봉서 1(封書 一)
평안도 암행어사 심염조(沈念祖)게 내리는 봉서 정유년 ... 83
홍충도(洪忠道) 암행어사 박우원(朴祐源)에게 내리는 봉서 무술년 ... 88
관서(關西) 암행어사 유의(柳誼)에게내리는 봉서 경자년 ... 89
별폭(別幅) ... 90
경상도 암행어사 이시수(李時秀)에게 내리는 봉서 ... 91
별지(別紙) ... 93
영남 암행어사 심기태(沈基泰)에게 내리는 봉서 계묘년 ... 94
원춘도(原春道) 암행어사 조홍진(趙弘鎭)에게 내리는 봉서 ... 100
홍재전서 제40권
봉서 2(封書 二)
전라도 암행어사 심진현(沈晉賢)에게 내리는 봉서 정미년 ... 107
호서 암행어사 심환지(沈煥之)에게 내리는 봉서 ... 109
해서관서암행 겸 평산안핵어사(海西關西暗行兼平山按핵御史) 이곤수(李崑秀)에게 내리는 봉서 ... 110
영남 좌도 암행어사 정대용(鄭大容)과 우도 암행어사 이서구(李書九)에게 내리는 봉서 ... 119
동래(東萊) 등지의 암행어사 김이성(金履成)에게 내리는 봉서 ... 129
함양 어사(咸陽御史) 최현중(崔顯重)에게 내리는 봉서 경술년 ... 130
평안도 황해도 암행어사 이면응(李冕膺)에게 내리는 봉서 ... 132
함경남도 암행어사 서영보(徐榮輔)에게 내리는 봉서 ... 133
충청도 암행어사 이조원(李肇源)과 전라도 암행어사 정동간(鄭東幹)과 경상도 암행어사 이상황(李相璜)에게 내리는 봉서 계축년 ... 136
영남의 우심(尤甚)한 23군의 위유사(慰諭使) 이익운(李益運)에게 내리는 봉서 갑인년 ... 137
호서의 우심(尤甚)과 지차(之次)에 해당하는 읍진(邑鎭)의 위유사 홍대협(洪大協)에게 내리는 봉서 ... 139
경기 각읍의 암행어사 정만석(鄭晩錫), 채홍원(蔡弘遠), 홍낙유(洪樂游), 정약용(丁若鏞), 정동관(鄭東觀), 이조원(李肇源), 유사모(柳師模)와 적간 사관(摘奸史官) 구득로(具得魯), 조석중(曺錫中), 정문시(鄭文始), 박윤수(朴崙壽), 서준보(徐俊輔) 등에게 내리는 봉서 ... 143
전라도 암행어사 정만석(鄭晩錫)과 경상도 암행어사 유경(柳경)에게 내리는 봉서 을묘년 ... 146
충청도 암행어사 김희순(金羲淳), 박종순(朴鍾淳)에게 내리는 봉서 ... 146
충청도 암행어사 정만석(鄭晩錫)에게 내리는 봉서 ... 147
홍재전서 제41권
봉서 3(封書 三)
전라도 암행어사 김이영(金履永)에게 내리는 봉서 무오년 ... 149
경상도 암행어사 여준영(呂駿永)에게 내리는 봉서 ... 152
경상도 암행어사 연일 현감(延日縣監) 정만석(鄭晩錫)에게 내리는 봉서 ... 154
전라도 암행어사 흥양 현감(興陽縣監) 임한호(林漢浩)에게 내리는 봉서 ... 157
충청도 암행어사 신현(申絢)에게 내리는 봉서 기미년 ... 161
전라도 암행어사 유경(柳경)에게 내리는 봉서 ... 164
경상도 암행어사 김희순(金羲淳)에게 내리는 봉서 ... 166
강원도 삼척(三陟), 간성(杆城) 등 읍의 암행겸 위유어사 내각강제 초계문신(내각강제초계문신) 평해군수(평해군수) 권준(권준)에게 내리는 봉서 경신년 ... 168
홍재전서 제42권
비답 1(批答 一)
동부승지 정이환(鄭履煥)의 상소에 대한 비답 병신년 ... 170
전 승지 김약행(金若行)이 윤선거(尹宣擧) 부자와 이광좌(李光佐)의 작위를 추탈(追奪)하고 계묘년의 방(榜)을 삭제하자고 청한 상소에 대한 비답 ... 172
공조 참판 정이환(鄭履煥)이 돌아가기를 고한 상소에 대한 비답 ... 172
대사간 홍억(洪檍)이 적신(賊臣) 정후겸(鄭厚謙)을 논한 상소에 대한 비답 ... 173
지평 김종후(金鍾厚)이 사직소에 대한 비답 ... 173
대사간 김종수(金鍾秀)가 정이환(鄭履煥)을 신구(伸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174
영남 유생 채명오(蔡命五) 등이 선정(先正) 송준길(宋浚吉)의 배향(配享)을 청한 상소에 대한 비답 ... 174
찬집청(纂輯廳)이 명의록(明義錄)을 바치는 차자에 대한 비답 정유년 ... 175
우의정 서명선(徐命善)이 재상에 임명되어 세 번째 올린 상소에 대한비답 ... 176
자궁(慈宮)의 적의(翟衣)를 제정하는 일로 상방(尙方)이 아뢴 것에 대한 비답 무술년 ... 177
정언 송전(宋銓)이 연음(연飮)을 금하자고 청한 상소에 대한 비답 ... 178
비변사가 통어영(統禦營)을 이설(移設)하는 일로 수의(收議)한 것에 대한 비답 ... 178
비변사가 수어청과 총융청 두 영을 합치는 일로 수의한 것에 대한 비답 ... 181
대사간 유의양(柳義養)이 정원이 지레 전교를 반포한 일과 예조가 의주(儀注)를 그릇올린 일을 논한 차자에 대한 비답 ... 182
홍문관이 가도(呵導)의 제도를 널리 상고하여 아뢴 계본에 대한 비답 기해년 ... 183
양사가 홍국영(洪國榮)을 논하여 올린 합계(合啓)에 대한 비답 경자년 ... 187
정언 심낙수(沈樂洙)의 역적을 토죄하자는 상소에 대한 비답 ... 187
좌의정 이은(李은)의 사직을 청하는차자에 대한 비답 ... 188
정원이 홍주익(洪柱翼)을 논한 계본에 대한 비답 ... 188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수차(袖箚)에 대한 비답 신축년 ... 189
규장각 제학 유언호(兪彦鎬)가 이문원(이文院)을 옮기자고 청한 차자에 대한 비답 ... 189
규장각 제학 김종수(金鍾秀)가 올린 고사(故事)에 대한 비답 3수 ... 190
각신 심염조(沈念祖)등이 유서(諭書)의 대찬(代撰)을 사양하는 계본에 대한 비답 ... 194
우의정 이휘지(李徽之)가 중신 채제공(蔡濟恭)을 논한 차자에 대한 비답 임인년 ... 195
우의정 이복원(李福源)이 면직을 청한 상소에 대한 비답 ... 195
예조가 안천군(安川君) 이계(李계)의 상소로 인하여 수의한 계본에 대한 비답 ... 196
삼사(三司)가 전 판시 김종수(金鍾秀)를 논한 합계(合啓)에 대한 비답 ... 197
우의정 김익(金익)이 재상에 임명된 뒤에 올린 상소에 대한 비답 3수 ... 199
우의정 김익이 병을 이유로 면직을 청한 차자에 대한 비다 계묘년 ... 201
영의정 정존겸(鄭存謙)이 면직을 청한 상소에 대한 비답 ... 202
좌윤 이경무(李敬懋)가 선천 금군(宣薦禁軍)을 혁파하자고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03
판부사 서명선(徐命善)이 대간의 상언으로 인해 면직을 청한 상소의 비답 갑진년 ... 203
판의금 김종수(金鍾秀)의 사직 상소에 대한 비답 을사년 ... 205
비변사가 제주 사람 김윤옥(金潤玉)의 적서(嫡庶)를 변별 하는 일로 올린 계본에 대한 비답 ... 205
능은군(綾恩君) 구윤명(具允明)이 문묘에 친림하여 석전제(釋奠祭)를 지낼 때 아헌관과 종헌관의 의절(儀節)을 고쳐 바로잡자는 일로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06
비국의 당상들이 양호(兩湖)의 작대선(作隊船)에 관한 일로 인행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08
비변사가 관서 신도(薪島)를 토벌한 일을 논한 계본에 대한 비답 병오년 ... 209
삼사가 김상철(金尙喆)을 삭출하자고 청한 합계에 대한 비답 ... 211
빈청(賓廳)이 자전(慈殿)의 존호를 올리자고 청한 계본에 대한 비답 ... 212
간원이 조시위(趙時偉)를 도배(島配)하자고 청한 계본에 대한 비답 정미년 ... 213
우의정 조경(趙璥)이 재상(宰相) 임명을 사직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14
판중추부사 김익(金익)의 차자에 대한 비답 ... 216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이 남의 말로 인해 올린 차자에 대한 비답 ... 217
홍재전서 제43권
비답 2(批答 二)
좌의정 이성원(李性源)이 재상 임명을 사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무신년 ... 219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이 연석에서 이노춘(李魯春) 등에 대해 변명한 일로 인하여 물러가서 인혐을 한 것과 관련하여 돈유(敦諭)를 한 뒤의 서계(書啓)에 대한 비답 ... 219
영의정 김치인 등이 조시위(趙時偉)를 토죄하자고 청하는 연석에서의 상주에 대한 비답 ... 220
영의정 김치인 등이 오익환(吳翼煥)을 토죄하자고 청하는 연석에서의 상주에 대한 비답 ... 221
예조가 세 훈신(勳臣)을 출향(黜享)하는 일이 합당한지의 여부에 대해 수의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23
가체(加체)를 거듭 금한 데 관하여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24
부녀(婦女)의 머리 장식을 품계별로 구분하는 일로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25
영남 유생이 올린 무신년 창의록(倡義錄)에 관하여 예조가 수의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27
내각 제학 김종수(金鍾秀)의 차자에 대한 비답 ... 228
우의정 채제공(蔡濟恭)이 고(故) 승지 조덕린(趙德린) 등을 복관하는 일로 인하여 중신 김종수, 윤시동*윤시동) 등의 논척을 당하여 사직을 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229
좌의정 채제공이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경술년 ... 230
영부사 정존겸(鄭存謙)이 치사(致仕)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신해년 ... 231
교리 조진택(趙鎭宅)이 홍병찬(洪秉纘)을 논척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32
한성 판윤 구익(具익)이 존위(尊位)를 예전의 규정대로 회복하자고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34
좌의정 채제공(蔡濟恭)이 서얼을 신칙하여 태학(太學)의 서치(序齒)를 이유로 가정에 있어서의 등위(等威)를 문란케하지 못하도록 하자고 청하는 연주(筵奏)에 대한 비답 ... 235
충청 감사가 봉진하는 산 꿩을 영구히 준행해도 절대 폐단이 업슨 것으로 대봉(代封)하고 편포(片脯)도 다른 물건으로 대봉할 일에 대해 비국이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35
선혜청이 각도의 납육(臘肉) 진상(進上)에 대해 회계(會計)한 실제 수효를 써서 들인 계본에 대한 비답 ... 236
예조가 기청 보사제(祈晴報謝祭)의 설행에 관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37
올해 식년시(式年試) 과장(科場)의 금조(禁條)를 미리 반시(頒示)하는 일에 관하여 비국이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39
어진(御眞)을 그린 뒤에 내각이 문안을 올리는 계본에 대한 비납 ... 239
양사(兩司)가 사학(邪學)을 논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40
조의정 채제공이 사학을 배척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241
좌의정 채제공의 상소에 대한 비답 ... 243
우의정 박종악(朴宗岳)이 재상 임명을 사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임자년 ... 243
좌의정 채제공이 비난을 당하여 물러가기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44
간원이 전 정언 유성한(柳星漢)의 국문을 청하는 계본에 대한 비답 ... 245
형조 판서 이민보(李敏輔)와 사적 정경순(鄭景淳)이 유성한을 토죄하는 연명소에 대한 비답 ... 246
영남 유생 이우(李우)등의 상소에 대한 비답 2수 ... 247
사직 서유린(徐有隣)이 징토에 관한 일을 책으로 엮자고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49
예조가 남단(南壇)의 갱품(羹品) 및 헌관이 작질을 대신에게 문의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50
정언 이명연(李明淵)이 금주(禁酒)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51
우의정 김이소(金履素)가 재상 임명을 사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52
부교리 이동직(李東稷)이 이가환(李家煥)을 논척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53
판중추부사 채제공이 비난을 당하자 인혐하여 면직을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56
홍재전서 제44권
비답 3(批答 三)
우의정 김이소(金履素)가 벼슬길을 열어 주는 것에 대해 논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계축년 ... 258
정원이 전후의 중비(中批)를 도로 환수함으로써 제방(제防)을 엄격하게 하기를 청하는 계본에 대한 비답 ... 258
이조 판서 서유방(徐有防)이 심봉석(沈鳳錫)의 논척(論斥) 상소로 인하여 면직을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59
정원이 승지의 처분을 환수하도록 청하는 계본에 대한 비답 ... 259
수원 유수 이명식(李命植)의 사직소에 대한 비답 ... 260
영의정 채제공이 면직을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61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이 면직을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61
예조가 수원 굴리사(闕里祠)의 축식(祝式)에 과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62
중신 이문원(李文源)이 백화(白靴)를 없애자고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62
우의정 김희(金憙)가 청의(靑衣)를 시행하자고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63
빈청(賓廳)이 존호를 올리자고 청하는 계본에 대한 비답 ... 264
관원들이 길을 양보하는 것을 신칙하자고 연신(筵臣)이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66
영부사 채제공이 화성(華城)에성을 쌓는 일을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67
예조가 첫 신일(辛日)의 기곡제(祈穀祭)를 입춘 후나 원일(元日) 후에 하는 일로 수이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68
비국이 양남(兩南)의 죽전(竹田)을 연한을 정해 베지 말고 기르도록 할 일로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68
대제학 홍양호(洪良浩)가 회권 단자(會圈單子)에 차례가 도치(倒置)된 일 때문에 인혐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69
좌이정 김이소(金履素)가 판중추부사 김종수(金鍾秀)를 논척한 상소에 대한 비답 갑인년 ... 269
우의정 이병모(李秉模)이가 재상 임명을 사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70
우의정 이병모가 위태로운 인심(人心)과 은미한 도심(道心)을 살피고 하교를 신중히 하여 금령을 거두어들이는 근본으로 삼으라고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70
우의정 이병모가 거듭 금령을 거두도록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71
수원 유수 조심태(趙心泰)가 기우제(祈雨祭)의 일로 장계한 데 대한 비답 ... 272
영의정 홍낙성(洪樂性)이 면직을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73
대제학 홍양호(洪良浩)가 제학(提學) 후보자를 추천할 때 전관(銓官)이 의논을 하지 않은 일로써 의리를 인용하여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74
우의정 이병모가 제주에 진휼곡을 획급하자고 연석에서 상주한 것에 대한 비답 ... 275
판중추부사 김종수가 문형(文衡) 천거를 사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77
대제학 서유신(徐有臣)의 사직 상소에 대한 비답 ... 277
첨지 권유(權裕)가 귀근(貴近)을 논하고 성상에 관한 무함을 변론한 상소에 대한 비답 2수. 을묘년 ... 278
내각이 자전과 자궁께서 종묘에 나아가는 의절을 널리 상고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79
좌의정 유언효(兪彦鎬)가 면직을 청하는 사소에 대한 비답 ... 279
우의정 채제공이 면직을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80
병조 좌랑 이우형(李宇炯)이 수차(水車)를 시행하자고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81
영의정 홍낙성, 좌의정 유언호, 우의정 채제공의 여녕 차자에 대한 비답 ... 282
내각 제학 심환지(沈煥之)의 차자에 대한 비답 ... 282
총융청이 환곡을 분급하는 일에 관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83
직제학 이만수(李晩秀)의 사직소에 대한 비답 ... 284
관학 유생 김도증(金道曾) 등이 성인에 대한 무함을 변정하자고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84
수찬 최헌중(崔獻重)이 사학(邪學)을 논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2수 ... 285
내각 제학 심환지가 이의필을 신구(伸救)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288
비국이 가산(嘉山)의 갈마창(渴馬倉)을 고쳐 짓는 물력을 구획하여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89
영의정 홍낙성(洪樂性) 등이 허적(許積)을 복관(復官)하는 것과 김성탁(金聖鐸)을 탕척(蕩滌)하는 것을 논하는 연명차자에 대한 비답 ... 290
우의정 채제공이 허적을 복관하는 일에 대하여 논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291
영돈녕 김이소(金履素)가 시정(時政)의 잘못을 말하고 이어 허 영상(許領相)의 복관을 논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292
대사간 한용귀(韓用龜)가 근일 여러 대신의 차자 체재를 본받아 일을 말한 상소에 대한 비답 ... 294
좌의정 유언호(兪彦鎬)가 사직을 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294
이조 참의 송환기(宋煥箕)가 영의정 허적의 복관에 대해 논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295
홍재전서 제45권
비답 4(批答 四)
능은군(綾恩君) 구윤명(具允明)이 치사(致仕)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병진년 ... 297
별시(別試) 시관의 문계(問啓)에 대한 비답 ... 297
비국이 제주에서 추가로 요청한 곡물을 중지하자고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299
선공감 부봉사 위백규(魏伯珪)의 상소에 대한 비답 ... 300
정릉 직장(靖陵直長) 신사준(愼師俊)의 소회에 대한 비답 ... 301
순릉 직장(順陵直長) 소수중(蘇洙中)의 소회에 대한 비답 ... 304
상호군 이주국(李柱國)의 상소에 대한 비답 ... 306
동몽교관 최곤(崔곤)의 소회에 대한 비답 ... 306
판중추부사 윤숙(尹塾)이 사직을 겸하여 소회를 아뢴 상소에 대한 비답 ... 309
야금(夜禁)을 범한 반유(泮儒)를 정식에 따라 법사에 이송할 일로 훈국이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10
좌의정 채제공이 의리를 인용하여 인험한 차자에 대한 비답 ... 311
우의정 윤시동(尹蓍東)이 자초신방(煮硝新方)을 간행하여 반포할 일로 연석에서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11
부수찬 정이수(鄭履綏)의 언사소(言事疏)에 대한 비답 ... 312
팔도 유생 박한흠(朴漢欽) 등이 문열공(文烈公) 조헌(趙憲)과 문경공(文敬公) 김집(金集)을 문묘에 종사하도록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13
팔도 유생 이명채(李明采) 등이 거듭 문열공 조헌과 문경공 김집을 문묘에 종사하기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13
경외 유생 이규남(李奎南) 등이, 문정공 김인후와 문열공 조헌을 문묘에 종사할 것과 문경공 김집을 배향할 일로 널리 공의를 묻기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14
행호군 서유신(徐有臣)이 치사(致仕)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15
우의정 윤시동(尹蓍東)이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양대박(梁大撲)을 추가로 중지하고 시호를 내리도록 청하는 연주에 대한 비답 ... 315
우의정 윤시동이 고 통제사 유형(柳珩)과 고훈련언 도정 유병연(柳炳然)에게 증시(贈諡)하기를 청하는 연주에 대한 비답 ... 317
관학 유생 홍준원(洪準源) 등이 문정공(文靖公) 김인후를 문묘에 종사하자고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18
묘당이 강계(江界) 삼천방(三川坊)의 새로 개척한 땅에 연한을 정해 세금을 관대하게 해주자는 일로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19
정원이 우레의 이변으로 인하여 진계(陳戒)를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20
예조가 문정공 김인후를 종향(從享)할 때에 동쪽 결채와 서쪽 결채의 위차(位次)를 옮겨 봉안하는 일을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21
경연관 이성보(李城輔)의 인혐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23
이조판서 심환지(沈煥之)의 상소에 대한 비답 ... 323
영의정 홍낙성이 치사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정사년 ... 325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이 이명연(李明淵)을 먼 변방으로 내쫓는 법을 시행하기를 청하는 연명 차자에 대한 비답 ... 325
안창군(安昌君) 이경(李경)의 상소에 대한 비답 ... 326
봉조하 김종수가 시골로 돌아감을 고하면서 겸하여 소견을 진달한 상소에 대한 비답 ... 327
비변사가 화성(華城)에 백성을 모집하는 일로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27
영부사 홍낙성이 장차 시골에 돌아가려 하면서 겸관하고 있는 여러 관사의 관직을 해임시켜 주기를 청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328
좌의정 채제공이 비방을 받음으로 인하여 인책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328
예조판서 민종현(閔鍾顯)이 영성(靈星)과 수성(壽星)에게 제사하기를 청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30
사복시 제조 이병모(李秉模)의 연주에 대한 비답 ... 331
좌의정 채제공이 일을 논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333
춘추편인총재(春秋編印摠裁) 좌의정 채제공과 우의정 이병모가 상사(賞賜)를 사양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2수 ... 335
지평 박효성(朴孝成)의 상소에 대한 비답 무오년 ... 336
장령 정최성(鄭최成)이 상소하여 대신(臺臣) 임장원(任長源)을 논하였다가 추고당한 뒤 피혐하며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37
훈련원(訓鍊院)에 거동하였을 때 정청(庭請)하며 아뢴 것에 대한 비답 ... 338
능주 목사 이종섭(李宗燮)이 유지(有旨)에 웅하여 폐단을 아뢰는 상소에 대한 비답 ... 340
우의정 심환지(沈煥之)가 재상 임명을 사양하는 상소에 대한 비답 3수 ... 342
좌의정 이병모(李秉模)가 재해로 인해 면직을 청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345
칠원 현감(漆原縣監) 박명섭(朴命燮)이 유지에 응하여 폐단을 아뢴 상소에 대한 비답 ... 346
양산 군수(梁山郡守) 윤노동(尹魯東)이 유지에 응하여 폐단을 아뢴 상소에 대한 비답 ... 347
사헌부가 임장원(任長源)의 찬배(竄配)를 청하는 계본에 대한 비답 ... 350
우의정 심환지가 탄핵을 당해 사면하는 차자에 대한 비답 ... 35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