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1부. 禪思想의 成立 ... 11
첫머리에 ... 13
禪의 기원 ... 13
(바가바드·기타)와 요가 ... 14
명상의 확산 ... 15
禪의 초현실성 ... 17
사상으로서의 禪의 본질 ... 18
「無」라는 말 ... 19
동양적과 서양적 ... 20
禪의 역사적 연구의 낙후성 ... 21
이 책의 전망 ....
더보기
목차 전체
일러두기
1부. 禪思想의 成立 ... 11
첫머리에 ... 13
禪의 기원 ... 13
(바가바드·기타)와 요가 ... 14
명상의 확산 ... 15
禪의 초현실성 ... 17
사상으로서의 禪의 본질 ... 18
「無」라는 말 ... 19
동양적과 서양적 ... 20
禪의 역사적 연구의 낙후성 ... 21
이 책의 전망 ... 22
1장. 佛陀의 명상 ... 23
불타의 종교의 특색 ... 23
(숫타니파타)의 배후 ... 24
고행의 포기와 명상 ... 26
진리의 즐거움 ... 27
출가와 재가 ... 29
선택받은 사람들의 道 ... 30
2장. 道를 즐기는 노래 ... 32
명상을 즐기는 사람 ... 32
명상의 고정화 ... 33
佛敎의 중국이입과 樂道의 사상 ... 35
禪과 은둔문학 ... 35
오늘도 빈둥빈둥 내일도 빈둥빈둥 ... 36
3장. 기적의 매력 ... 40
(高僧傳)의 세계 ... 40
神異와 명상 ... 42
怪力亂神 ... 43
신통은 지혜의 작용 ... 44
중국민족을 매료시킨 신통의 매력 ... 45
중국불교의 특색 ... 47
佛圖澄의 渡來 ... 48
神異의 여러 가지 ... 50
神異의 심화 ... 51
구마라습의 도래와 大乘의 禪經 ... 53
4장. 大乘의坐禪-宴坐 ... 55
대승불교의 발생 ... 55
반야바라밀 ... 56
維摩의 비판 ... 58
(반야경)이 말하는 명상 ... 59
보살의 조건 ... 61
좌선을 즐기는 것은 올바른 일인가 ... 62
참된 禪定이란 무엇인가 ... 63
道 아닌 것이 바로 佛道 ... 65
道라는 마음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 ... 67
5장. 반야바라밀 ... 69
玄學과 格義 佛敎 ... 69
僧肇의 출현 ... 70
無와 般若의 空 ... 72
本無說과 卽色說 ... 74
그릇된 반야의 이해 ... 75
事事物物이 바로 진실 ... 76
중국적 사유의 숙명 ... 79
體用論 ... 79
불교의 老莊的 변질 ... 81
無爲면서도 하지 않음이 없음 ... 83
6장. 근원적인 안정-一行三味 ... 85
다섯 가지의 禪 ... 85
새로운 실천불교의 홍기 ... 87
천태지의의 종교와 학문 ... 88
좌선과 염불 ... 90
종합에서 단순한 一行의 선택 ... 92
東山法門의 주장 ... 93
一心의 전개 ... 94
北宗禪의 주장 ... 96
禪과 화엄 ... 97
물결의 본바탕은 물 ... 98
7장. 本知의 입장 ... 99
북종선의 형성 ... 99
離念과 無念 ... 101
神會의 북종비판 ... 103
마음이란 무엇인가 ... 104
自然의 知 ... 106
신희의 자세와 그 위험성 ... 107
얽매임이 없이 그 마음을 일으킴 ... 108
無念의 주장 ... 109
선사상의 새로운 위기 ... 111
8장. 본체에서 작용으로 ... 112
다만 無를 볼 뿐 ... 112
강화된 되돌아옴의 사상 ... 114
종밀의 (禪源諸詮集都序) ... 116
荷澤宗이 정통파 ... 118
마니寶珠의 비유 ... 119
北宗·拱州· 牛頭·荷澤의 입장 ... 120
홍주는 自性의 본질적인 작용을 결여 ... 121
칼을 잡는 것도 불성의 작용인가 ... 122
9장. 평범하게 살아가는 방식이 진리-平常心是道 ... 123
소나 말과 함께 ... 123
평범한 마음 ... 125
일상생활 속의 禪 ... 127
모든 것이 佛事 ... 128
平常心이란 무엇인가 ... 129
直指人心 見性成佛 ... 131
「부처가 됨」과 「부처」 ... 132
마음의 작용이 모두 불성 ... 133
보고 듣는 바로 그것 ... 134
전체작용 ... 135
일 없는 것이 바로 인간의 본질 ... 136
부처를 찾는 놈은 지옥에 떨어진다 ... 137
10장 인간이란 무엇인가 ... 138
새로운 인간상의 탐구 ... 138
祖師의 불교 ... 139
심화되는 有·佛·道의 대립 ... 140
펄떡펄떡(活발발地) ... 142
무한한 개성을 개발하는 것 ... 143
중국적 사유 ... 145
한계에 다다른 불교 ... 146
새로운 대화의 발견 ... 147
公案과 禪의 변질 ... 148
11장. 「無字」의 발견 ... 150
개에게도 불성이 있는가 ... 150
문학으로서 출발한 공안 ... 152
오직「無」 한 글자에 철저 ... 152
(無門關)의 성립 ... 154
「無」자는 사상이 아니다 ... 155
2부. 中國禪의 歷史 ... 157
첫머리에 ... 159
1장. 보리달마에 대한 역사적 사실 ... 162
이심전심의 道 ... 162
보리달마의 禪法 ... 165
2조 慧可의 구법 ... 168
능가종의 성립 ... 170
東山法門의 형성 ... 174
4조 道信의 禪法 ... 176
5조 弘忍의 (修心要論) ... 180
2장. 北宗禪과 南宗禪 ... 183
숭산 小林寺 ... 183
神秀와 北宗禪의 개화 ... 185
禪을 추구하는 사람들 ... 189
神會의 법통논쟁 ... 192
안록산과 사사명 난의 전후 ... 196
曹溪의 한방울의 물 ... 198
牛頭法門과 四川의 신불교 ... 201
3장. 禪宗의 형성 ... 205
江西와 湖南의 새로운 바람 ... 205
馬祖道一의 가르침 ... 208
마조문하의 사람들 ... 210
(寶林傳)의 성립 ... 213
百丈懷海와 (百丈淸規) ... 215
불속에서 삶을 마친 고승 ... 218
절대지의 철학-화엄과 禪의 종합 ... 220
4장. 五家禪風의 滿開 ... 224
會昌의 폐불과 五家의 성립 ... 224
위仰宗의 성립 ... 226
의현의 大悟 ... 229
임제의 가르침 ... 232
曹洞宗의 哲理 ... 235
趙州從念과 雪峰義存 ... 238
江南佛敎의 발전 ... 243
5장. 公案 1700則 ... 247
宋代佛敎의 두 흐름 ... 247
유교와 불교 ... 249
(雪보頌古)와 (碧岩錄) ... 252
五山十刹 ... 254
看話禪과 默照禪 ... 257
「無字」의 발견 ... 260
해외로 망명하는 禪 ... 264
참고문헌 ... 267
중국선종지도 ... 271
중국선종사법계보 ... 292
옮기는 말 ... 29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