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일러두기 ... 14
제1부 성현의 교훈과 학문
詩經·書經·論語·孟子의 세계
시를 배워야 하는 뚯은-學詩 ... 17
시경의 관저편-關雎 ... 18
토원 시에 대해-兎爰 ... 20
우무정-雨無正 ... 22
새나 짐승, 풀이나 나무의 이름-鳥獸草木名 ... 23
군역의 다섯 가지 불평등-五不均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일러두기 ... 14
제1부 성현의 교훈과 학문
詩經·書經·論語·孟子의 세계
시를 배워야 하는 뚯은-學詩 ... 17
시경의 관저편-關雎 ... 18
토원 시에 대해-兎爰 ... 20
우무정-雨無正 ... 22
새나 짐승, 풀이나 나무의 이름-鳥獸草木名 ... 23
군역의 다섯 가지 불평등-五不均 ... 24
임금과 신하는 서로 구하는 것-君臣相求 ... 27
세가지의 헛된 소모-三費 ... 29
벼슬자리는 남고 인재는 부족하다-官有餘人不足 ... 30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한다-怨天尤人 ... 33
지위가 높은 것은 오복에 들어가지 않는다-五福不言貴 ... 35
임금의 유생 면접-接對儒生 ... 37
날로 새로워지는 온전한 공부-日新全功 ... 39
노륙이란 말의 뚯-甘誓노戮 ... 41
공자의 말씀-聖人之言 ... 43
논어의 학이편에 대해-論語首章 ... 45
아침에 도를 깨닫는다면-聞道 ... 48
단련된 경서 문장-經文鍛鍊 ... 50
공자의 주역 공부-聖人學易 ... 52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不치下問 ... 53
어질고 덕이 있는 인재를 써야 한다-擧爾所知 ... 55
충고하는 신하-諍臣七人 ... 57
공자도 하늘에 빌었다-病禱 ... 59
먹이가 그 속에 있다-뇌在其中 ... 61
선왕의 제도를 회복할 큰 기회-大機會 ... 62
무우(舞雩)에올라가 바람을 쐬고-曾點之對 ... 65
교만과 인색-驕吝 ... 67
도를 전할 제자가 없구나-聖賢傳道 ... 68
의리를 뒤로 하고 이익을 앞세운다면-後義先利 ... 69
맹자는 누구에게배웠나-孟子受業 ... 70
노나라의 두 선비-魯兩生 ... 71
의문을 허용하지 않는 학문 태도-儒門禁網 ... 73
백성 없는 임금은 없다-得民得人 ... 74
화복(禍福)은 돌고 돈다-倚伏 ... 76
제2부 人格 修養과 산업
독서하는 마음-有求讀書 ... 81
독서와 벼슬살이-讀書仕宦 ... 82
나를 알아 주는 벗-知己 ... 84
편지로 하는 토론이 대화보다 낫다-書牘勝面論 ... 86
진정한 문도-門生 ... 88
선비의 역학-儒者補世 ... 89
문장과 덕행-德行文詞 ... 90
그림이란 정신이 나타나야-論畵形似 ... 91
침묵-語默 ... 92
임금의 기쁨과 노여움-人主喜怒 ... 93
충성심이 변하면 아첨이 된다-忠變爲諛 ... 94
자기를 염두에 두지 않고 윗사람을 섬겨야-忘己事上 ... 96
임금께 올리는 글주머니의 쓰임새-上書囊 ... 96
아버지의 경계할 일-慈父戒 ... 99
아버지를 섬기고 형을 섬기는 뚯-父事兄事 ... 100
형제산의 우애를 지키려면-兄弟友愛 ... 102
공손과 검소-恭儉 ... 103
가난하고 미천한 근본을 잊지 않아야-不忘貧賤 ... 105
송나라 때는 재상들도 셋집에서 살았는데-宰臣賃屋 ... 106
가난한 것이 선비의 일상사-貧者士常 ... 109
넉넉하면 절약하기 어렵다-用裕難節 ... 111
부자가 되면 어질 수 없다-利害仁富 ... 114
송나라 신하들의 사치-宋臣奢侈 ... 116
백성을 부지런하고 검소하게 하려면-民生遠慮 ... 118
소인의 마음과 행동-小人意態 ... 120
욕심-欲 ... 122
용서와 질투-恕妬 ... 123
명예 훼손-毁譽 ... 125
소문만 듣고 사람을 평가해서야-風聞論人 ... 127
퇴계 이황을 헐뜯는 말-誣毁退溪 ... 128
주고받기-取與 ... 130
닭을 길러보면 편당을 알 수 있다-祝鷄知偏黨 ... 131
인재의 양성-養才 ... 133
나무기르기-養才木 ... 135
말을 기르는 방법-養馬 ... 137
면화를 심는 법-種綿法 ... 139
제3부 사물의 어원 탐구
가야금-伽倻琴 ... 143
각서-角黍 ... 144
감-枾 ... 145
강을 준설하는 써레-揚泥파 ... 146
거여밀이-거여蜜餌 ... 148
게의 암수 변별-蟹雌雄 ... 150
견지-繭紙 ... 152
고려시대 임금과 신하의 사당-前代君臣祠 ... 153
구욕새의 눈이 박힌 벼루-구욕眼 ... 156
기와집-瓦屋 ... 157
나막신-木극 ... 158
천보나 나가는 나무활-木弩千步 ... 159
난삼-난衫 ... 163
누에 치는 기구와 실 뽑는 기구-蠶綿具 ... 164
다식-茶食 ... 166
담배-南草 ... 167
도둑고양이-偸猫 ... 168
도포-道袍 ... 169
두부-豆腐 ... 170
말 빛깔에 따른 이름-馬形色 ... 171
묘계와 질서-妙契疾書 ... 173
물의 이익-水利 ... 174
물을 막아서 농토에 대어야-壅水漑田 ... 175
백성을 구제하는 참뚯-拯구 ... 176
사리-舍利 ... 178
산무우-山삼 ... 179
산자-산子 ... 179
서수필-鼠鬚筆 ... 181
서예는 마음을 그려낸다-心畵 ... 182
성곽의 치와 첩-雉堞 ... 183
속악-俗樂 ... 185
수양산에서 고사리를 따먹다-首陽采薇 ... 186
순흥부의 은행나무 전설-鴨脚 ... 187
술-酒 ... 188
신동-神童 ... 190
18반무예-十八般武藝 ... 191
쑥열매-蓬室 ... 193
쑥을 캐두었다가-採艾 ... 196
안주-安酒 ... 197
야호 소리-邪許 ... 198
언문-諺文 ... 199
여섯가지 좀벌레-六두 ... 202
여왕벌의 순행-蜂巡 ... 204
요얼과 상서-妖祥 ... 205
우리 나라의 비문-東方石刻 ... 208
원양견-元陽繭 ... 210
은광-銀鑛 ... 211
은병-銀甁 ... 212
은화1·2-銀貨 ... 213
이끼와 검버섯-苔 ... 217
이로운 신하와 사악한 신하 여섯 종류-六正六邪 ... 218
이름 쓰는 방법-先儒書名 ... 221
자-尺 ... 222
작당-雀당 ... 223
조고-棗고 ... 225
조선의 방언-朝鮮方音 ... 226
중국과 오랑캐-華夷 ... 228
짚신-草교 ... 231
콩-菽 ... 232
큰 주발과 숟가락-大鉢鐵匙 ... 233
한궁기자-漢宮棋子 ... 234
해동청-海東靑 ... 235
화포-火砲 ... 236
후이분자-후이粉자 ... 237
흰옷-白衣 ... 238
제4부 풍속과 역법
정월 대보름의 등불 밝히기-上元燃燈 ... 243
채붕-綵棚 ... 244
고씨와 김씨-高金二姓 ... 246
상씨·구씨·반씨-尙丘潘三姓 ... 248
우씨가 사마씨를 계승한 일-牛繼馬 ... 250
서울 사람과 시골 사람-京輦山林 ... 252
경상도의 예의-嶺南五倫 ... 254
경상도의 풍속-嶺南俗 ... 256
감사가 양반집 딸을 시집 보내다-監司嫁民女 ... 259
함경도와 평안도의 민심-西北民心 ... 260
염매와 고독-염魅蠱毒 ... 262
사치하는 풍속-侈俗 ... 264
습관은 고치기 어렵다-習俗難變 ... 266
설루의 아담한 풍속-雪樓雅俗 ... 267
학문하는 것과 살림하는 것-爲學治生 ... 268
적게 먹으며 살아가는 방법-食少 ... 270
벌열을 숭상하는 폐단-尙閥 ... 273
급제자가 처음 출사할 때 희롱당하는 일-侵戱新進 ... 276
이혼에 대해서1·2-絶婚 ... 278
아내를 내보내는 문제-出妻 ... 281
장사지내는 기간-葬月 ... 283
제사의 원리-祭祀之理 ... 286
임금의 제사 음식-君之祭肉 ... 288
성황묘-城隍廟 ... 290
호미씻이-養老 ... 294
하늘의 이변-天變 ... 296
역법-曆象 ... 299
중국·서양의 역법과 삼원-中西曆三元 ... 300
시헌력-時憲曆 ... 301
제5부 문장과 서평
서적을 공경하고 아끼자-敬玩書籍 ... 305
가의(賈誼)의 상소-賈疏 ... 306
고려비기-高麗秘記 ... 308
규염객전-규髥客傳 ... 310
정상기의 농포문답-車舡 ... 311
당감에 대하여-唐鑑議論 ... 313
도평의사기-都評議司記 ... 315
동국지도-東國地圖 ... 317
사마천의 사기-馬史 ... 320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321
수호전-水滸傳 ... 322
염철론-鹽鐵論 ... 324
운고(韻考)에 대하여-韻考 ... 326
이몽양(李夢陽)의 상소문-獻吉疏 ... 328
자치통감강목-綱目 ... 330
이상은(李商隱)의 잡찬-雜纂 ... 332
『주역』소과 괘의 대상-小過大象 ... 335
차한일기-車漢日記 ... 337
춘추경전-春秋經傳 ... 341
칠극-七克 ... 343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 344
人名·書名 해설 ... 346
索引 ... 38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