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해제 ... 1
일러두기 ... 11
사숙재집 구서(九序) ... 37
사숙재집 제1권
오언 절구(五言絶句) ... 39
응제시(應制詩) 4수(四首) ... 39
[정유년(丁酉年)] 겨울에 내시(內시) 유손(猶孫)이 원자(元子)를 받들고…사수(四首) ... 40
오이(瓜) ... 40
수박(西瓜) .....
더보기
목차 전체
해제 ... 1
일러두기 ... 11
사숙재집 구서(九序) ... 37
사숙재집 제1권
오언 절구(五言絶句) ... 39
응제시(應制詩) 4수(四首) ... 39
[정유년(丁酉年)] 겨울에 내시(內시) 유손(猶孫)이 원자(元子)를 받들고…사수(四首) ... 40
오이(瓜) ... 40
수박(西瓜) ... 40
참외(甛) ... 41
가지(加) ... 41
인제(仁齊)의 화죽(畵竹)에 대하여 쓴 시(詩) 2수(二首) ... 41
노매(老梅)에 대하여 시를 지어 이 평중(李平仲)에게 기증함 4수(四首) ... 42
매죽(梅竹)을 읊은 시 8수(八首) ... 43
풍매(風梅) ... 43
풍죽(風竹) ... 43
월매(月梅) ... 43
월죽(月竹) ... 44
우매(雨梅) ... 44
우죽(雨竹) ... 44
설매(雪梅) ... 44
설죽(雪竹) ... 45
김호은(金毫隱)에게 화답한 시 3수(三首) ... 45
국화(菊) ... 45
버드나무(柳) ... 45
파초(芭蕉) ... 45
일암(一菴)이 나에게 둘근 부채를 주었는데, 다만 졸렬한 그림을 원결(圓潔)을 더렵혔으므로, 조롱한 시 2수 ... 46
[경진년(庚辰年) 봄에 일암(一菴)과 남쪽으로 유람하여…] ... 46
음풍뢰(吟風瀨) ... 48
체필암(체筆巖) ... 48
남쪽 지방을 유람하다가 의성현(義城縣) 도리원(都里院)에 쉬면서 지은 시 2수(二首) ... 48
저도(楮島)의 열 가지 경관(景觀)을 읊음 ... 49
연기가 강물을 싸고 있는 경관 ... 49
구름이 도사(島舍)를 감싸고 있는 경관 ... 49
대나무 선 언덕에 청풍(淸風)이 스쳐가는 경관 ... 50
송암(松巖)에 가랑비 내리는 경관 ... 50
창 밖의 매화(梅花)에 달빛이 비친 경관 ... 50
채소 심은 울타리 밑의 국화 핀 경관 ... 50
약초 밭에서 청려장(靑藜丈)에 기대어 선 경관 ... 51
화원(花園)에서 호미 메고 오는 경관 ... 51
이끼 낀 낚시터에서 홀로 낚시질 하는 경관 ... 51
어선(漁船)에서 노를 두드리는 경관 ... 51
칠언절구(七言絶句)
고목(古木) ... 51
담담정(淡淡亭)의 열 두 가지 경관(景觀)을 읊음 ... 52
마포(麻浦)의 밤 비 내리는 경관 ... 52
율도(栗島)에 갠 남기(嵐氣)가 스린 경관 ... 52
관악(冠岳)의 봄 구름 걸쳐 있는 경관 ... 53
양화도(楊花渡)의 가을달 비칠 때의 경관 ... 53
서호(西湖)에 뜬 돛단배 그림자의 경관 ... 53
남교(南郊)의 기러기 소리 나는 경관 ... 53
잉화도(仍火島)의 꽃다운 풀의 경관 ... 54
희우정(喜雨亭)의 해 질 무렵의 경관 ... 54
용산(龍山)의 고기잡이배에 켠 횃불의 경관 ... 54
잠령(蠶嶺)에서 들리는 나무꾼의 노래 ... 54
반기(盤磯)에서 낚시질하고 돌아올 때 눈[雪]의 경관 ... 55
옹촌(甕村)에서 새 연기 나는 경관 ... 55
[일암(一菴)과 남유(南游)하여 청안현에 이르러…8편] ... 55
용문(龍門)에서 손님을 전송할 때의 경관 ... 55
귀석(龜石)에서 중을 찾을 때의 경관 ... 56
완곡(완谷)에서 말을 먹이는 경관 ... 56
반탄(磻灘)에서 물고기 잡는 경관 ... 56
탑성(榻城)에서 수계(修계) 할 때의 술 마시는 경관 ... 57
초령(椒嶺)의 개인 구름의 경관 ... 57
청하(淸河)에서 수계(修계) 할 때의 술 마시는 경관 ... 57
횡사(횡舍)에서 한가히 시 읊는 경관 ... 57
묵희(墨戱)를 만들어 그곳에 액자(額字)를 써서 강국균(姜國鈞)에게 기증함 ... 57
매화[梅] ... 58
난초와 가시나무[荊棘] ... 58
원자(元子)에게 그림 그린 병풍을 올리고 지은 시 5수 ... 58
사자를 희롱하는 모습 ... 60
연꽃을 꺾어 희롱하는 모습 ... 60
살구나무 숲에서 살구꽃을 따는 모습 ... 60
파초 잎 핀 뜰에서 서늘한 바람 쐬는 모습 ... 60
교훈을 받아 계몽(啓蒙)하는 모습 ... 60
[이웃의 심군(沈君)이 나에게 국화 두어떨기를 주기에…] ... 61
상원역(祥原驛)에서 말을 휴식시키다가 길 위에 영산홍(映山紅)꽃이 핀 것을 보고 시(詩) 한 절구를 지음 ... 61
생양관(生陽館)에서 산다(山茶)가 활짝 핀 것을 보고 시 한절구를 읊음 ... 62
앵무(鸚鵡)에 대한 시 3수 ... 62
한 상당(韓上黨)의 압구정(狎鷗亭) ... 62
의주(義州)의 현판(懸板)에 있는 시에 차운함 5수 ... 63
여흥관(驪興館)에 슨 시 3수 ... 64
계미년(癸未年) 가을 연경에 사신으로 가느라 난하역(난河驛)에 이르자, 전청(前廳)의 의장(倚장)에 영평 팔경도(永平八景圖)가 있으며, 본국 사람이 고죽 청풍(孤竹淸風) 시를 읊은 것이 자못 많으므로, 드디어 시 세 절구를 씀 ... 64
이해에 황해도(黃海道) 강령현(康翎縣)에서 흰 사슴과 흰 꿩을 바치었는데, 내가 진하사가 되어 연경에 가느라 산해관(山海關)을 지날 때 주사(主事) 양공(陽公)이 시를 지어 기증하므로, 내가 그 운자를 써서 화답한 시 2수 ... 65
산해위(山海衛)에 행차하였을 때에 유사(儒士) 정광(丁鑛)·육본정(陸本正) 등이 시를 지어 기증하므로, 그 시에 차운하여 사례함 ... 65
풍전역(豊田驛)에서 차운함 ... 66
김화현(金化縣)에서 차운함 ... 66
신안역(新安驛)에서 차운함 ... 66
바람같이 청천강을 건너 한 선위사(韓宣慰使)와 조 종사관(曹從事官)에게 올림 ... 67
첩(妾)의 운명이 기박(奇薄)한데 대한 시 4수 ... 67
규방(閨房)의 원한 ... 68
풍기(豊基)의 현판(懸板)에 있는 시에 차운함 3수 ... 68
박자계(朴子啓)가 강원도 안찰사로 나갈 때에 송별한 시 3수 ... 69
평해(平海) 김 사군(金使君) 경손(慶孫)에게 기증한 시 2수 ... 69
윤담수(尹淡수)에게 희롱하면서 올린 시 2수 ... 70
윤담수에게 기증한 시 2수 ... 70
권화천(權花川)이 연경에 갈 때 송별한 시 7수 ... 70
신고령(申高靈)이 기증한 시를 받들어 차운한 2수 ... 72
서강중(徐剛中)에게 답함 ... 72
풍기군(풍基郡)에서 시제(詩題)를 내어 읊음 ... 73
윤담수(尹淡수)가 진주 목사로 나갈 때에 송별한 시 3수 ... 73
일암(一菴)의 송당(松堂)에 대하여 지은 시 2수 ... 74
용천역(龍泉驛)에서 차운한 시 4수 ... 74
성중경(成重卿)의 시에 차운함 ... 75
서강중(徐剛中)의 시에 차운함 ... 76
장자 귀손(龜孫)이 진사시에 합격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함 ... 76
아자(兒子) 귀손(龜孫)이 회천(懷川)으로 장가들었으므로 시로서 회포를 보낸 3수 ... 76
귀손(龜孫)의 집에 우거(禹居)하면서 지은 시 7수 ... 77
표질(表侄) 남자순(南子順)에게 부친 시 2수 ... 78
인재(仁齋)의 시에 차운하여 일암 선사(一菴禪師)에게 부침 ... 78
유호인(兪好仁)이 귀양(歸養)할 때 송별함 ... 80
≪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서 지은 시 2수 ... 80
김석완(金石完)이 만나 보기를 바라는 지라, 일찍이 듣건대 김석완(金石完)이 활을 잘 쏜다고 하므로, 간직하고 있던 박두(樸頭)를 내어서 주고 겸하여 시를 부침 ... 80
바람불고 비 내리는 날에 홀로 앉았노라니 추창(추장)함을 견디지 못하겠는지라, 인하여 나의 회포를 서술해서 삼가 독서(讀書)하는 여러 선생께 드린 시 2수 ... 81
김호은(金毫隱)에게 지어 준 시 2수 ... 81
옥당(玉堂)의 여러 선생들에게 받들어 올림 ... 82
중서당(中書堂)의 판상(板上)에 있는 이 사인(李舍人)의 시에 차운함 2수 ... 83
부질없이 지음 ... 84
장원(壯元)한 김괴애(金乖崖)에게 봉정(奉呈)함 2수 ... 84
나는 발영시(拔英試)에서 3등을 하였고 등준시(登俊試)에서는 2등을 하였는데, 김괴애(金乖崖)는 양방(兩榜)에서 모두 장원을 차지하였으므로, 인하여 두 절구를 읊어 봉정함 ... 85
병환을 겪은 뒤 네 절구를 읊어 만들어 최세원(崔勢遠)에게 올림 ... 86
태학사(太學士) 이평중(李平仲)에게 봉정(奉呈)함 3수 ... 87
한가로이 읊음 ... 88
서달성(徐達城)이 헐뜯음을 당한 데 대하여 위로함 ... 88
서달성의 복직(復職)을 하례함 2수 ... 88
성경무(成景武) 윤문(允文)에게 시를 지어 줌 ... 89
김대사성(金大司成) 예몽(禮蒙)에게 편지를 보냄 ... 90
[이광릉(李廣陵)이 명(明)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 90
김수찬(金修撰) 종직(宗直)이 함양(咸陽)에 수령(守令)으로 나갈 때 송별한 시 2수 ... 91
김태수(金太守)가 화운(和韻)하므로, 다시 차운함 2수 ... 91
김선산(金善山) 종직(宗直)이 임지에 갈 때 송별함 5수 ... 92
동서[友婚] 김천령(金千齡)에게 부침 ... 93
서평(西評)에게 부침 ... 93
조태허(曹太虛)의 가산(嘉山) 석문령(石門嶺)에 대한 시에 차운함 2수 ... 93
채대헌(蔡大憲) 수(壽)가 영남(嶺南)에 돌아갈 때 송별함 ... 94
신정(新正)에 내병조(內兵曹)에 입직(入直)함에 대한 시 2 ... 94
오경가(五更歌) 5수 ... 95
실제(失題) ... 96
호남(湖南)의 뛰어난 지세(地勢)와 경치에 대한 11절구 ... 96
교룡산성(蛟龍山城) ... 97
요천(蓼川) ... 97
유인궤성(劉仁軌城) ... 97
광한루(廣寒樓) ... 97
만복사(萬福寺) ... 97
율림(栗林) ... 98
금석교(金石橋) ... 98
용담사(龍潭寺) ... 98
동장수(東帳藪) ... 99
창활수(昌活藪) ... 99
대모천(大母泉) ... 99
경인년(庚寅年) 3월에 내가 병을 지녀 관직에 임하지 못할 처지여서 글을 올려 면직(免職)을 요청하자, 주상께서 봉군(封君)을 내리어 병을 수양하게 하시니, 그 은혜 망극(罔極)함에 인하여 시(詩)를 지어 스스로 심정을 서술함 4수 ... 99
거듭 용만(龍灣)에 이르러 회롱하며 노기(老妓)의 부채를 씀 ... 100
사숙재집 제2권
오언율시(五言律詩) ... 102
영상시(迎祥詩) 4수 ... 102
대왕대비전(大王大妃殿)에 올림 ... 102
인수왕대비전(仁粹王大妃殿)에 올림 ... 103
왕대비전(王大妃殿)에 올림 ... 103
대전(大殿)에 올림 ... 103
대사성(大司成) 강노(姜老)를 축하함 2수 ... 104
해인사(海印寺) 상실(上室)의 판상운(板上韻)에 차운함 ... 104
신참의(申參議) 말주(末舟)의 귀래정(歸來亭)에 수미음(首尾吟) 10수 ... 105
수미음(首尾吟)을 지어 남쪽으로 돌아가는 사람을 보냄 5수 ... 108
강중(剛中)이 귀거래사(歸去來辭)의 글자를 사용하여 동파(東坡)의 십운(十韻)에 따라 시를 지어 보이기에 그 글자로 운자를 달아 화답함 ... 110
학질(학疾)을 앓으면서 무령(武靈) 유자광(柳子光)의 운에 답함 ... 113
남의 비난을 받은 뒤에 달성(達成)이 오언 율시(五言律詩)를 보내왔기에 그 운에 따라 화답함 3수 ... 113
관동 행재소(關東行在所)에 가는 도중에 김화현(金化縣)을 지나면서 벽상(壁上)에 있는 선조 통정(通亭)의 시운에 차운함 ... 114
보리진(菩提津)의 영벽루(暎碧樓) 시운에 차운함 ... 115
강릉(江陵)의 판상운(板上韻)에 차운함 ... 115
양주(楊洲) 상수역(湘水驛)에 벽에 씀 ... 116
임진강(臨陣江)을 건넘 ... 116
집현전(集賢殿)의 제공(諸公)에게 올림 7수 ... 116
병중에 조태허(曹太虛)에게 올림 2수 ... 119
우연히 감회를 읊음 2수 ... 119
김수찬(金修撰) 맹성(孟性)의 귀양지에 지어 보냄 2수 ... 121
공혜 왕후(恭惠王后)에 대한 만사(挽詞) 3수 ... 122
칠언 율시(七言律詩) ... 123
응제(應製)하여 어병(御屛)을 읊음 4수 ... 123
주선왕(周宣王)의 강후(姜后) ... 123
초(楚)의 번희(樊姬) ... 124
한(漢)의 반첩여(班첩好) ... 125
아황(娥皇)·여영(女英) ... 125
생양관(生陽館)에서 배꽃[梨花]을 읊음 ... 125
강중(剛中)에게 지어 보냄 3수 ... 126
여흥(驪興) 객관(客館)에 지음 ... 127
김화현(金化縣)의 시운에 차운함 ... 127
고성(高城)의 판상운(板上韻)에 차운함 ... 128
양양(襄陽)의 벽상운(壁上韻)에 차운함 ... 128
여산(礪山) 별실(別室)의 판상운(板上韻)에 차운함 ... 129
장내한(張內翰)의 시운에 화답함 2수 ... 129
압록강을 지남 ... 130
삼하현(三河縣)을 지남 ... 130
인재(仁齋)의 득남(得男)을 하례함 ... 130
인재(仁齋)가 귀손(龜孫)과 인손(麟孫)을 보고 소나무와 대나무를 그려 주기에 그 위에다씀 2수 ... 132
귀손(龜孫)이 급제하자 최세원(崔勢遠)이 시를 지어 하례하였기에 그 운을 따라 화답함 2수 ... 132
귀아(龜兒)에게 보임 ... 133
종질(從姪) 한림(翰林) 거효(居孝)에게 부침 ... 134
회포를 적어 유 정자(兪正字) 호인(好仁)에게 보임 ... 134
임자심(任子深) 원준(元濬)이 시를 보내 왔는데 송죽도(松竹圖)를 만들었다고 하기에 그 운을 사용하여 화답함 2수 ... 135
홍강녕(洪江寧) 원용(元用)의 임정(林亭)의 시운에 차운함 ... 136
저자도도(楮子島圖)에 씀 ... 136
친구가 소주 한 병을 칭하기에 희롱 삼아 지어 줌 ... 137
진양(晉陽)으로 돌아가는 사람을 보냄 ... 138
봉황지(鳳凰池) ... 138
한가롭게 읊음 2수 ... 139
천추절(千秋節)을 축하하러 연경에 가는 사람을 보냄 3수 ... 139
이 교하(李交河)의 시운에 차운함 ... 141
홍 상공(洪相公) 응징(應之)에게 써 줌 2수 ... 141
계미년(癸未年) 가을에 연경에 사신으로 가서 소나무를 읊은 황기(黃琦)의 시운에 화답함 ... 142
소격전(昭格殿)에서 치재(致齋)하면서 동파(東坡)의 동소궁시(洞 宮時)의 운에 차운하여 성 경무(成景武)에게 드림 ... 143
또 경령국(景靈宮)으로 가는 어가를 수행한 시운에 차운함 2수 ... 143
통군정(統軍亭)에 올라 조 태허(曹太虛)의 시운에 차운함 ... 144
제주(濟州)로 떠나는 이 절제(李節制)를 보냄 ... 145
경무(景武)가 요동(遼東)에 있을 때에 보내 준 시운에 차운함 ... 145
서 강중(徐剛中)의 《북정록(北征錄)》뒤에 씀 2수 ... 146
최세원(崔勢遠)에게 답함 ... 147
의주(義州)의 판상운(板上韻)에 차운함 ... 148
성 중경(成重卿)이 사명(使命)을 받들고 유연(幽燕)으로 가는데 그 역정(歷程)을 기술하여 행차에 보내 줌 14수 ... 149
표문을 받들고 서울을 떠남 ... 149
배로 압록강을 건넘 ... 150
팔참(八站)에서 노숙(露宿)함 ... 150
요양성(遼陽城)을 바라봄 ... 151
해주위(海州衛) ... 151
천비묘(天妃廟) ... 151
고평(高平) 광야(廣野) ... 152
광녕진(廣寧鎭) ... 152
산해관(山海關) ... 153
난하(난河) ... 153
어양(漁陽) ... 154
공락(公樂)의 야시(野市) ... 154
통주(通州) ... 155
봉천(奉天)의 이른 아침 조회 ... 155
김 이수(金이수)가 내가 과장한다고 꾸짖기에 수미음(首尾吟)을 지어 보내서 한 번 웃기를 바람 4수 ... 155
현릉(顯陵)에 대한 만사(挽詞) 3수 ... 157
연원군(延原君) 숭원(崇元) 대부인(大夫人)에 대한 만사(挽詞) 2수 ... 158
성 경무(成景武)에 대한 만사(挽詞) 3수 ... 159
사숙재집 제3권
오언 고시(五言古詩)
장백산(長白山) ... 162
계미년(癸未年) 가을에 연경(燕京)에 가면서 순안현(順安縣)에 이르러 하도사(河都事) 숙산(叔山)에게 지어 줌 ... 163
연경(燕京)에서 황기(黃琦)의 애일당시권(愛日堂時卷)에 화답함 ... 164
해도편(海濤篇) ... 165
보리진(菩提津) ... 166
손수 춘경도(春耕圖)를 그려 서자(庶子) 소문(蘇文)에게 줌 ... 167
그림을 그리고 화제(畵題)를 써서 강 국균(姜國鈞)에게 줌 ... 168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나가는 매제 자첨(子瞻)을 전송함 ... 168
동년(同年)인 장군(將軍) 권절(權節)의 율정(栗亭)에 씀 ... 169
명명풍우교(冥冥風雨交)로 평중(平仲)에게 보냄 2수 ... 170
봉상시(奉常寺)의 세심당(洗心堂) ... 171
서도(西都)로 부임하는오인(吳寅)을 전송함 ... 172
김태수(金太守) 종직(宗直)에게 써 줌 ... 175
김군(金君)이 화답하기에 다시 그의 시운에 따라 회포를 풂 ... 177
화답한 글을 받아보니 갈수록 더욱 기특하여 마치 무고(武庫)에 들어가서 예리한 온갖 병기를 마음대로 쓰는 것 같아 참으로 기작(奇作)이었는데, 이제는 붓을 놓으려다가 다시 앞서의 운을 써서 웃음거리를 제공하였다. ... 180
남쪽에 노닐 때에 청주목(淸州牧)에 이르니 학장(學長) 윤흥신(尹興莘)이 자기 집으로 나를 청하여 술자리를 마련하고 위로하여 주기에 동성(同姓)의 일을 들어 한 편을 지어 줌 ... 183
위로하여 주기에 동성(同姓)의 일을 들어 한편을 지어 줌 ... 183
유호인(兪好仁)에게 지어 보냄 ... 183
관서(關西)를 관찰하러 나가는 이 내상(李內相) 경동(瓊同)을 전송함 ... 189
출새편(出塞篇) 5수 ... 189
최후(崔侯) 숙정(叔精)의 영친연(榮親宴)에 대하여 읊은 시 2수 ... 193
매헌 시권(梅軒詩卷)에 씀 ... 197
벼룻집[硯甲]에 씀 ... 198
김맹성(金孟性)의 고령(高靈) 귀양살이에 보내 줌 ... 198
채 자휴(蔡子休)가 약과 꿀을 보내 주기에 시로 사례함 ... 198
회포를 적음 ... 200
회롱삼아 매노(梅奴)에게 지어 줌 ... 200
정해년(丁亥年) 9월 20일에 은가(恩暇)를 얻어 금양(衿陽)의 별장에 나와 누웠노라니, 경무씨(景武氏)가 객중(客中)에 고생하는 것이 생각나 회포를 적어서 보냄 ... 201
성경무(成京武)가 노친(老親)께 드리라고 물품을 보내 주기에 사례함 ... 202
사숙재집 제4권
칠언 고시(七言古詩) ... 204
작은 병풍에 대한 노래를 직어 놓고 인재(仁齋)에게 묵화를 요구함 ... 204
총마계도(총馬契圖) ... 205
인재(仁齋)에게 사례함 ... 206
임사홍(任士洪)의 병풍에 씀 ... 207
태공(太公)의 낚시질 ... 208
영척(寗戚)의 소치기 ... 209
상산 사호(商山四皓) ... 210
자방(子房)의 이교( 橋) ... 211
소무(蘇武)의 양치기 ... 213
사가(四佳)가 한도(漢都) 열 곳에 대해 읊은 시를 병풍에 씀 ... 213
장의동(藏義洞)의 스님을 찾음 ... 213
제천(濟川)에서 달을 구경함 ... 214
반송정(盤松亭)에서 손님을 전송함 ... 214
양화도(楊花渡)에서 눈길을 걸음 ... 214
목멱산(木覓山)에서 꽃을 감상함 ... 215
전교(箭郊)에서 녹음 방초(綠陰芳草)를 찾음 ... 215
마포(麻浦)에서 뱃놀이를 함 ... 216
흥덕사(興德寺)에서 연꽃을 구경함 ... 216
종가(鐘街)에서 관등회(觀燈會)를 구경함 ... 217
입석(立石)에서 고기를 낚음 ... 217
봄 죽순이 땅을 뚫고 나오는 그림을 그리고 그 왼쪽에다 시를 써서 종제(從弟) 담양 군수(潭陽郡守) 유양(柳壤)에게 줌 ... 217
회영(懷英)이 구름을 바라보는 그림에 씀 ... 219
연경(燕京)의 선비 황기(黃琦)가 초서(草書)를 잘 쓰는데, 네 폭을 써 주기에 장가(長歌)를 지어 보답함 ... 220
몽유편(夢遊篇)을 지어 인재(仁齋)에게 올림 ... 221
복교위(卜校尉)에게 지어 줌 5수 ... 223
조상선(曹尙膳)의 백마도(白馬圖)에 씀 ... 226
황주(黃州)의 노상(路上)에서 입으로 부름 ... 227
친구의 집에서 거문고 소리를 들음 2수 ... 227
평창(平昌)의 벽상운(壁上韻)에 차운함 ... 228
주천역(酒泉驛)의 벽상운(壁上韻)에 차운함 ... 229
아들을 애도하는 편장(篇章)과 서(序) ... 229
지루한 비를 탄식함 2수 ... 234
경조 계음도(京兆契飮圖) ... 237
대루원(待漏院) ... 237
미원(薇垣)의 소나무 ... 239
흥덕루(興德樓)에서 연꽃을 감상하며 제군(諸君)들과 같이 술을 마심 ... 240
병석에서 문병 온 김전중(金殿中)에게 사례함 ... 241
금양(衿陽)의 촌사(村舍)에 물러가 있을 때 경무(景武)에게 증시(贈詩)함 ... 243
이돈령(李敦寧) 염의(念義)의 백운동(白雲洞) ... 244
꽃은 십일을 붉지 않는다 함에 대한 읊음 ... 245
중경(重卿)이 여러번 좋은 술을 주기에 사례함 ... 246
중경이 술을 보냈기에 사례함 ... 247
권사상(權使相)이 약초(藥草)를 보냈기에 사례함 ... 248
일본국왕(日本國王)의 사신 준초(俊超)을 전송함 ... 249
강중(剛中)에게 시를 기증함 ... 251
관광(觀光)하러 가는 권 어사(權御使) 건(建)을 전송함 ... 251
연경에 조회하러 가는 고양군(高陽君) 신준(申浚)을 전송함 ... 254
장수현(長水縣)의 연사루(戀思樓)에 씀 ... 256
동년(同年) 임참의(林參議)가 부름을 받고 조정으로 들어와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를 겸임하였기에 축하함 ... 257
고령(高靈) 신상국(申相國)에 대한 만사 ... 258
사숙재집 제5권
사(辭) ... 260
연산사(燕山辭) 세 편과 서(序) ... 260
해조사(解嘲詞)와 서(序) ... 262
원유사(遠遊辭)와 서(序) ... 266
추풍사(秋風辭) 세 편과 서(序) ... 267
춘강사(春江辭) 세 편과 서(序) ... 269
창해사(滄海辭)와 서(序) ... 272
부(賦) ... 275
양초부(養蕉賦) ... 275
우국재부(友菊齋賦) ... 280
잡저(雜著) ... 286
사언(四言) ... 286
희롱삼아 호랑이가 토기를 덮치는 그림을 그려 놓고 그 위에다 씀 ... 286
묵화(墨畵)를 쳐 놓고 그 위에다 써서 강 국균(姜國鈞)에게 줌 ... 286
육언(六言) ... 287
칙명(勅命)을 받들어 서태일(西太一)에 제사를 올릴 때의 운자에 차운함 4수 ... 287
회문체(回文體) ... 288
회문시(回文詩)를 김 태수(金太守)에게 줌 2수 ... 288
가사(歌詞) ... 289
소상 팔경(瀟湘八景) ... 289
먼 포구에 돌아가는 범선 ... 289
백사장에 내려앉은 기러기 ... 290
동정(洞庭)의 가을달 ... 290
소상(瀟湘)의 밤비 ... 290
산시(山市)의 해맑은 아지랑이 ... 291
강천(江天)의 저녁 눈 ... 292
연사(烟寺)의 저녁 종소리 ... 292
어촌(漁村)에 지는 햇살 ... 292
일십체(一十體) ... 292
대나무에 대한 게송(揭頌) ... 294
송대부(松大夫)에 대한 시 ... 294
찬(讚)
군기시 동료 계음도(軍器寺同僚契飮圖)에 대한 찬(讚)과 서(序) ... 295
의정부 사인사 계음도(議政府舍人司契飮圖)에 대한 찬(讚)과 서(序) ... 298
가산(假山)에 대한 찬(讚) ... 300
사숙재집 제6권
소(疏) ... 304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사직하는 상소 ... 304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사직하는 상소 ... 308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두 번째 사직하는 상소 ... 309
교서(敎書) ... 311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에게 익대 공신(翊戴功臣)의 직첩을 내린 교서 ... 311
제문(祭文)
전교를 받들어 저도(楮島)에 용(龍)을 그려놓고 비가 오기를 기원한 제문 ... 314
전교를 받들어 왕자(王子)에게 제사 지낸 글 ... 315
장인[兵父]인 관찰사(觀察使) 안공(安公)에게 제사지낸 글 ... 316
양모(養母) 정경 부인(貞敬夫人) 이씨(李氏)에게 제사지낸 글 ... 318
선묘(先墓)에 제사 지낸 글 ... 319
계문(契文) ... 320
단송 도감(斷訟都監) 계문 ... 320
봉숭 도감(封崇都監) 계문 ... 321
동경(同庚) 계문 ... 323
소문(疏文) ... 324
사경(司經) 성현(成俔)이 어머니를 위하여 육재를(六齋)를 설행할 때의 소문 ... 324
상량문(上梁文) ... 325
함양(咸陽)의 객사 신당(客舍新堂)을 건립할 때의 상량문 ... 325
책(策) ... 328
[인재를 등용하고 기르고 분변하는 방도에 대하여] ... 328
사숙재집 제7권
서(書) ... 337
함양(咸陽)의 수령 김종직(金宗直)에게 유임(留任)할 것을 청한 서신 ... 337
이대사헌(李大司憲)에게 올린 서신 ... 340
이평중(李平仲)에게 답한 서신 ... 343
우인(友人)이 아들을 잃은 데 대하여 조문(弔問)한 서신 ... 347
행장(行狀) ... 350
선조고(先祖考) 정헌 대부 동북면 도순문사(正憲大夫東北面都巡問使) 통정 선생(通亭 先生) 강공(姜公) 행장 ... 351
선고(先考) 자헌 대부 지돈녕부사 증시 대민(資憲大夫知敦寧府事贈諡戴愍) 완역재 선생(玩易齋先生) 강공(姜公) 행장 ... 353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 예문관 춘추관 세자사 증시 문효(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經筵藝文館春秋館書雲館事世子師贈諡文孝) 하공(河公) 행장 ... 357
부인(夫人) 안씨(安氏)의 행장 ... 362
비명(碑銘) ... 367
동덕 좌익공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 예문관 춘추관 집현전 서운관사 세자사 진산부원군 증시 문경(同德左翼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藝文館春秋館集賢殿書雲館事世子晉山府院君贈諡門景) 강공(姜公) 묘비명(墓碑銘) ... 367
가선 대부 동지돈녕부사(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 민공(閔公) 묘갈명(墓碣銘) ... 373
명(銘) ... 376
봉선사(奉先寺)의 종명(鐘銘) ... 376
비음기(碑陰記) ... 378
동덕 좌익공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 예문관 춘추관 집현전 서운관사 세자사 진산부원군 증시 문경(同德左翼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藝文館春秋館集賢殿書雲館事世子晉山府院君贈諡門景) 강공(姜公) 비음기(碑陰記) ... 378
전(傳) ... 381
홍절부전(洪節婦傳) ... 381
사숙재집 제8권
기(記) ... 384
효사정기(孝思亭記) ... 384
합천(陜川)의 함벽루 중신기(涵碧樓重新記) ... 386
소래(蘇萊) 하 중추(河中樞)의 정문기(旌門記) ... 388
승정원 도형병기(承政院圖形屛記) ... 391
인천부 승호벽상기(仁川府陞號壁上記) ... 393
소산(梳山) 만계정사기(彎溪精舍記) ... 395
춘관낭청(春官郎廳)의 소헌기(小軒記) ... 396
삼소도기(三笑圖記) ... 398
충주 사고 봉안기(忠州史庫奉安記) ... 399
만휴정기(萬休亭記) ... 401
홍주(洪州) 학명루기(鶴鳴樓記) ... 403
서(序) ... 404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하는 연원군(延原君) 이공(李公)을 전송하는 서 ... 404
《역대연표(歷代年表)》서(序) ... 407
진주(晉州)로 부임하는 윤 판관(尹判官)을 전송하는 시 ... 408
황해도 관찰사의 보좌관으로 부임하는 정 도사(鄭都事)를 전송하는 서 ... 411
성중경(成重卿) 형제가 관동에 노닐며 기록한 책의 서 ... 412
홍문관 박사 조태허(曹太虛)가 영친연을 연 것에 대한 서 ... 414
《양화소록(養花小錄)》서(序) ... 417
《영주일기(寧州日記)》서(序) ... 419
밀양 붓 임수창(林壽昌)의 시권(詩卷)에 대한 서 ... 419
연경에 가는 전적(典籍) 이명숭(李命崇)을 전송하는 서 ... 422
《동인시화(東人詩話)》서(序) ... 424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귀향하는 유 수찬(兪修撰)을 전송하는 서 ... 425
어버이를 뵈려고 충청도로 돌아가는 안 동자(安童子)를 전송하는 서 ... 428
관동(關東)에 유람하러 가는 사위 성 수찬(成修撰)을 전송하는 서 ... 430
《오례의(五禮儀)》서(序) ... 431
서호 잠령계음 서(西湖蠶嶺契飮序) ... 433
사숙재집 제9권
설(說) ... 436
성선설(性善說)을 지어, 어버이를 뵈려가는 계호상인(戒浩上人)을 전송함 ... 436
곤궁(困窮)에 대처하는 설(說)을 지어 관동(關東)으로 가는 구상사(丘上士)를 전송함 ... 438
벼룩을 혐오하는 것에 대한 설 ... 441
나무에 올라가는 것에 대한 설 ... 443
우 민보(禹敏甫)의 자(字)에 대한 설 ... 445
공평[公], 청렴[廉], 자애[慈], 은혜[惠]에 대한 설 ... 446
강세창(姜世昌) 백겸의 자에 대한 설 ... 448
자식을 훈계하는 다섯가지 설과 서 ... 449
도자(盜子)에 대한 설 ... 450
뱀을 먹는 것에 대한 설 ... 452
등산(登山)에 대한 설 ... 454
세 가지 꿩에 대한 설 ... 456
소변 통에 대한 설 ... 458
사숙재집 제10권
발(跋) ... 467
옥당 수사록(玉堂修史錄)에 대한 발문(跋文) ... 467
춘추 사전(春秋四傳) 에 대한 발문 ... 467
《번역금강경삼가해(飜譯金剛經三家解)》에 대한 발문 ... 469
기순(祁順)이 편찬한 《황화집(皇華集)》에 대한 발문 ... 471
국헌(菊軒) 시권(詩卷)의 뒤에 씀 ... 472
주문수(周文粹) 시권(詩卷)의 끝에다 씀 ... 475
사숙재집 제11권
금양잡록 서문(衿陽雜錄序文) ... 478
금양잡록(衿陽雜錄) ... 480
농가(農家) 1 ... 480
곡식의 품종[품品] ... 481
농가의 이야기 2 ... 489
농부와의 대화 3 ... 492
여러 바람에 대한 분변 4 ... 494
토질에 알맞은 곡식의 품종 5 ... 495
농요(農謠)의 선발 ... 496
1. 비 오고 햇볕남이 조화를 이룸 ... 496
2. 이슬길을 헤침 ... 497
3. 아침햇살을 맞이함 ... 497
4. 호미를 멤 ... 497
5. 잡초를 뽑아 냄 ... 498
6. 농사를 자랑함 ... 498
7. 서로를 권명함 ... 498
8. 점심을 기다림 ... 498
9. 배를 두드림 ... 499
10. 가을을 기대함 ... 499
11. 긴 이랑을 경주함 ... 499
12. 비오리가 읆 ... 500
13. 해가 산 속으로 들어감 ... 500
14. 발을 씻음 ... 500
금양잡록 발문(衿陽雜錄跋文) ... 502
부록(附錄) ... 504
사숙재 선생(私淑齋先生) 강 문량공(姜文良公) 행장(行狀) ... 504
추충 정난 익대 순성 명량 좌리 공신 숭정 대부 의정부 좌찬 성 겸 지경연 춘추관사 판의금부사 진산군 증시 문량(推忠定難翊戴純誠明亮佐理公臣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知經筵春秋館事判義禁府事晉山君贈諡文良)강공(姜公) 신도비명(神道碑銘)과 서 ... 507
사숙재집 제12권
부록(附錄) ... 516
발(跋) ... 54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