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iv
제1장 서론 : 여성 해방, 사회과학, 그리고 한국사회 ... 11
Ⅰ. 여성 해방주의 : 성의 정치학과 새로운 사회의 비전 ... 11
Ⅱ. 비판적 사회과학, 문화 분석, 그리고 여성 중심주의 방법론 ... 30
Ⅲ. 한국 사회, 여성 해방, 그리고 인간화 ... 42
제2장 한국의 가부장제에 관한 해석적 분석 : 생활 세계를...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iv
제1장 서론 : 여성 해방, 사회과학, 그리고 한국사회 ... 11
Ⅰ. 여성 해방주의 : 성의 정치학과 새로운 사회의 비전 ... 11
Ⅱ. 비판적 사회과학, 문화 분석, 그리고 여성 중심주의 방법론 ... 30
Ⅲ. 한국 사회, 여성 해방, 그리고 인간화 ... 42
제2장 한국의 가부장제에 관한 해석적 분석 : 생활 세계를 중심으로 ... 58
Ⅰ. 머리말 ... 58
Ⅱ. 조선조의 가부장제 ... 65
Ⅲ. 근대와 현대의 가부장적 가족 ... 90
Ⅳ. 가부장제의 극복 ... 108
제3장 여성과 직업 : 전문직 활동을 중심으로 ... 120
Ⅰ. 머리말 ... 120
Ⅱ. 여성의 전문직 진출 과정 ... 126
Ⅲ. 적응·부적응과 극복의 가능성 ... 155
Ⅳ. 요약과 전망 ... 171
제4장 가족 관계 : 여성의 취업 여부와 계층에 따른 비교적 고찰 ... 179
Ⅰ. 머리말 ... 179
Ⅱ. 산업 자본주의와 과정을 통한 결혼 및 가족제도의 변화 ... 180
Ⅲ. 현대 한국의 가족 관계 ... 192
Ⅳ. 민주적 가족 형성과 사회적 조건 ... 223
제5장 '남성다움'의 구성과 재구성 : 사회적 기능과 존속 기제를 중심으로 ... 232
Ⅰ. 머리말 ... 232
Ⅱ. 비교 문화적·진화론적 입장에서 본 '남성다움' ... 235
Ⅲ. 산업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남성다움' ... 241
Ⅳ. 현대 한국 사회에 있어서의 '남성다움' ... 249
Ⅴ. 남성 운동의 전망 ... 256
제6장 '발전'과 '저발전' : 제주 해녀 사회의 성 체계와 근대화 ... 263
Ⅰ. 머리말 ... 263
Ⅱ. 1976년 현재 용마을의 민족지 ... 269
Ⅲ. 1986년 현재 용마을의 민족지 ... 292
Ⅳ. 제주 사회의 성 역할 구조의 변화 ... 310
Ⅴ. 맺음글 : 문화 식민주의, 지방 자치와 여성 ... 324
제7장 가부장 체제를 넘어서 : 생명 존중의 사회를 향한 여성 해방 운동 ... 332
Ⅰ. 머리말 ... 332
Ⅱ. 여성의 잠재력 ... 334
Ⅲ. 한국 여성 해방 운동의 구체적 과제 ... 347
Ⅳ. 새로움을 심는 과정 ... 351
찾아보기 ... 35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