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儒敎國家主義와 그 擡頭過程 / 孫文鎬
1. 序論 ... 1
2. 儒敎國家主義論 ... 4
(1) 儒敎와 儒敎國家 ... 4
(2) 儒敎國家의 性格 ... 8
(3) 韓國의 儒敎國家主義 ... 11
3. 高麗末 以前의 儒敎國家主義 ... 15
(1) 新羅 六頭品 官僚들의 儒敎國家主義 ...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儒敎國家主義와 그 擡頭過程 / 孫文鎬
1. 序論 ... 1
2. 儒敎國家主義論 ... 4
(1) 儒敎와 儒敎國家 ... 4
(2) 儒敎國家의 性格 ... 8
(3) 韓國의 儒敎國家主義 ... 11
3. 高麗末 以前의 儒敎國家主義 ... 15
(1) 新羅 六頭品 官僚들의 儒敎國家主義 ... 15
(2) 高麗 門閥貴族的 儒敎國家主義 ... 18
(3) 武臣執權期 新興官僚들의 儒敎國家主義 ... 21
4. 高麗末 新興士大夫들의 儒敎國家主義 ... 23
(1) 高麗末 新興士大夫들의 成分과 擡頭過程 ... 24
(2) 性理學의 受容과 儒敎國家主義 ... 27
(3) 高麗末 新興士大夫들의 改革論 ... 30
5. 結論 ... 33
제2장 趙光祖의 儒敎的 改革主義 / 孫文鎬
1. 序論 ... 34
2. 士林과 趙光祖 ... 35
(1) 士林의 形成과 成長 ... 35
(2) 趙光祖의 生涯 ... 38
3. 改革의 準據와 論理 ... 41
(1) 改革의 準據-儒敎國家 ... 41
(2) 改革의 論理 ... 43
4. 統治理念의 刷新 ... 46
(1) 性理學-爲己之學-道學 ... 46
(2) 王道와 至治 ... 48
5. 具體的인 改革案들 ... 50
(1) 內聖外王, 士習矯正과 士氣振作, 鄕約實施, 昭格署 廢止 ... 50
(2) 賢良科 실시, 民生安定의 圖謀, 僞勳削奪 ... 52
6. 結論 ... 54
제3장 正祖朝의 天主學 批判 / 金弘宇
1. 배경 ... 56
2. 전기 비판 ... 66
(1) 온건론 ... 66
(2) 강경론 ... 74
3. 후기 비판 ... 78
(1) 온건론 ... 79
(2) 강경론 ... 90
4. 정치적 귀결 ... 100
5. 결론 ... 109
제4장 大院君의 下野와 高宗의 政治的 役割 / 金永壽
1. 序論 ... 111
2. 崔益鉉의 癸酉1次上疏와 대립의 발생 ... 111
3. 崔益鉉의 癸酉2次上疏와 고종의 庶政親裁 ... 127
4. 崔益鉉의 推鞫과 事後收拾 ... 138
5. 結論 ... 153
제5장 崔益鉉의 更張論 / 金甲千
1. 崔益鉉의 '問題' ... 156
2. 崔益鉉의 政治論 ... 158
(1) 心論 ... 158
(2) 治論 ... 161
3. 開港批判 ... 167
(1) 批判 ... 168
(2) 沈默 ... 174
4. 開化批判 ... 180
(1) 批判 ... 182
(2) 倡義 ... 186
5. 崔益鉉의 '理論과 實踐' ... 190
제6장 甲午農民革命運動의 政治的 志向 / 鄭起泳
1. 序論 ... 192
2. 甲午農民革命運動의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94
3. 조선후기 농민들의 民權意識 성장 ... 202
4. 갑오농민혁명운동의 政治的 志向 ... 207
(1) 농민군의 초기 정치의식 ... 207
(2) 執綱所體制期의 政治意識 ... 211
(3) 민족의식의 발전 ... 216
5. 結論 ... 219
제7장 韓末 民族運動의 系譜 / 金榮國
1. 序論 ... 221
(1) 系譜的 분류에 관한 문제 ... 223
(2) 역사적 변수와 정치단위의 문제 ... 227
2. 近代民族運動의 의식기반의 형성과정 ... 230
3. 民族運動의 전개과정과 그 系譜的 분류 ... 240
(1) 民族運動 범위의 재조정 ... 240
(2) 정치단위와 의식상황 ... 241
4. 結論 ... 244
제8장 日帝下의 女性運動 / 全美英
1. 서론 ... 246
2. 1920년대 전반기(1919-25) : 두 줄기의 운동론 ... 249
(1) 교육계몽운동의 논리 ... 249
(2) 여성해방운동론의 등장 ... 256
3. 근우회 활동(1926-29) : 통일전선론 ... 264
(1) 통일전선론의 제기 ... 264
(2) 근우회의 여성운동론 ... 269
4. 근우회 해소기(1930-31) : 통일해체를 둘러싼 논쟁 ... 278
5. 결론 ... 286
제9장 趙素昴의 三均主義 / 金容浩
1. 서론 ... 288
2. 독립운동시기의 정치사상 개관 ... 289
3. 삼균주의 이론체계 ... 295
(1) 기본구조 ... 295
(2) 정치균등론 ... 296
(3) 경제균등론 ... 305
(4) 교육균등론 ... 314
4. 결론 : 삼균주의에 대한 평가 ... 317
제10장 解放政局에서의 主導權 論爭 / 沈之淵
1. 서론 ... 320
2. 건준과 한민당의 대립 ... 322
(1) 논쟁의 발단과 성격 ... 322
(2) 건준의 결성 ... 323
(3) 보수진영의 반격 ... 324
(4) 한민당의 논리와 건준의 반론 ... 325
3. 인공과 임정의 대립 ... 329
(1) 논쟁의 성격 ... 329
(2) 인공의 선포 ... 330
(3) 임정의 귀국 ... 333
(4) 논쟁의 전개 ... 335
4. 결론 ... 342
제11장 安在鴻의 해방전후사 인식과 '조선정치철학'적 처방 / 鄭允在
1. 서론 ... 343
2. '해방조선'에 대한 민족주의적 접근 ... 344
(1) 민족주의의 문화적 기원 ... 344
(2) '어설픈 국제주의'의 배격 ... 346
(3) 극단적 민족주의 비판 ... 348
3. '해방조선'의 정치적 과제 : '민족투쟁'의 필요성 ... 350
(1) 투쟁적 역사관 : 민족투쟁과 계급투쟁 ... 350
(2) 한국역사 속의 계급투쟁 ... 352
(3) 해방직후 민족투쟁의 필요성 ... 353
4. '조선정치철학'에 대한 언어분석적 이해 ... 356
(1) 비·씨·몬의 조선철학 ... 357
(2) 종합적 유물사관 ... 358
(3) '나-나라-누리'의 자유사상 ... 360
(4) '다사리'이념 ... 362
5. '해방조선'의 정치적 이상 : '純正右翼'국가의 건설 ... 365
(1) 외래정치사상 비판 ... 366
(2) 민·공협동론 ... 371
(3) 의회제도의 확립 ... 374
(4) 정부주도하의 사회개혁 ... 376
6. 맺음말 : 하나의 평가 ... 379
제12장 유신체제하 반체제운동의 이념적 기초 / 孫鶴圭
1. 서론 ... 383
2. 유신체제의 성립과 그 의미 ... 385
(1) 유신체제의 성립과 반체제세력 ... 385
(2) 유신체제의 정치적 의미 ... 388
(3) 정치적 반대세력의 등장과 그 명분 ... 390
3. 반체제운동의 이념적 기초 ... 392
(1) 민주정치의 기본원칙 : 삼권분립과 정치적 참여 ... 393
(2) 인권과 자유 ... 396
(3) 사회정의 ... 399
(4) 국가안보 ... 403
4. 결론 ... 405
제13장 '80년대 韓國學生運動 / 崔文誠
1. 서론 ... 408
2. 1980-83년의 이론투쟁 ... 409
(1) 1980년까지의 이론투쟁과 유산 ... 409
(2) 1980-83년의 이론투쟁 ... 412
3. 1984-85년 학생운동의 이론 투쟁(CNP논쟁) : MC와 MT-NDR ... 420
4. 1985후반기-87상반기의 이론투쟁 : 자민투와 민민투 ... 423
5. 1987하반기-90상반기의 이론투쟁 : NL과 범PD ... 429
(1) NL과 PD의 이론적 기반 ... 431
(2) 87년 대통령선거투쟁 ... 432
(3) 88-89상반기 조국통일투쟁 ... 433
(4) 5공청산투쟁 ... 434
(5) 학생운동의 변화 ... 435
6. 학생운동의 展望 ... 436
제14장 '80년대 韓國의 民主化過程 / 任爀伯
1. 서론 ... 437
2. 한국의 민주화 분석 ... 443
(1) 유산된 민주화 : 1979. 10. 26-1980. 5. 18 ... 443
(2) 유화국면 : 1984-85년 ... 446
(3) 선거국면 ... 447
(4) 교착된 전환 ... 449
(5) 대치로부터의 전환 ... 451
(6) 전환을 위한 선거 ... 454
3. 결론 : 민주주의 정착에 대한 전망 ... 457
제15장 主體思想의 전개 / 金淵珏
1. 序論 ... 462
2. 「대하여」의 주요 내용 ... 464
(1) 해방 이전시기(1931-43) ... 464
(2) 해방직후 및 전쟁시기(1948-52) ... 466
(3) 4個路線 定立 時期(1955-72) ... 467
(4) 哲學的 原理 導入 時期(1972-75) ... 478
3. 結論 : 주체사상이란 무엇인가? ... 482
(1) 덧씌워진 '철학적 원리' ... 482
(2) 各人에게 各其의 것 ... 483
(3) 民族主義的 呼訴力 ... 484
제16장 主體思想에 대한 評價와 爭點 / 孫浩哲
1. 서론 ... 486
2. 주체사상의 '내용분석' ... 487
(1) 일반 '이론'체계로서의 주체사상 ... 488
(2) 사회주의건설 이론으로서의 주체사상 ... 492
(3) '남한'사회분석 및 변혁이론으로서의 주체사상 ... 495
(4) 총체적 평가 ... 499
3. 주체사상 형성의 '정치경제학' ... 500
4. 주체사상의 기능 ... 502
5. 주체사상과 북한 : 이론과 실제 ... 504
人名索引 ... 507
事項索引 ... 50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