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서론 ... 11
Ⅱ. 전근대(前近代) ... 12
Ⅲ. 근대의 여명(黎明) ... 14
1. 평민의식(平民意識)의 자생(自生) ... 14
1) 하층의 신분격상과 계층의식의 약화(弱化) ... 14
2) 정절 관념의 이완(弛緩)과 새 여성관의 대두 ... 18
2. 평민의식(平民意識)과 장시조(長時調) ... 27
...
더보기
목차 전체
Ⅰ. 서론 ... 11
Ⅱ. 전근대(前近代) ... 12
Ⅲ. 근대의 여명(黎明) ... 14
1. 평민의식(平民意識)의 자생(自生) ... 14
1) 하층의 신분격상과 계층의식의 약화(弱化) ... 14
2) 정절 관념의 이완(弛緩)과 새 여성관의 대두 ... 18
2. 평민의식(平民意識)과 장시조(長時調) ... 27
1) 이성(異性)간의 육정(肉情) 강조 ... 28
2) 계층체제의 모순과 비리(非理) 풍자(諷刺) ... 29
3) 자질 능력에 따른 개성(個性) 중시 ... 31
4) 여성의 개성, 여권의 공인(公認) ... 32
3. 실학사상(實學思想)의 정립(定立) ... 33
1) 실학의 주류(主流) ... 33
2) 정립(定立)의 계기(契機) ... 36
3) 실학과 농업 ... 39
4) 실학과 상공업 ... 40
5) 실학과 사장(詞章) ... 42
4. 실학사상(實學思想)과 가사(歌辭) ... 44
1) 실사구시(實事求是)·이용후생(利用厚生)의 가사(歌辭) ... 47
(1) 권본(權本) 복원계녀가(復元誡女歌) ... 49
(2) 계아가(戒兒歌) ... 56
2) 경세치용(經世致用)의 가사(歌辭) ... 57
(1) 순수(純粹) 여탄(女歎) 규방가사(閨房歌辭) ... 57
(2) 애정(愛情) 규방가사(閨房歌辭) ... 60
(3) 풍류(風流) 규방가사(閨房歌辭) ... 62
(4) 풍자(諷刺) 규방가사(閨房歌辭) ... 66
Ⅳ. 근대(近代)의 시발(始發) ... 71
1. 동학사상(東學思想)의 탄생(誕生) ... 71
1) 동학사상의 탄생의 배경 ... 71
2) 최수운(崔水雲)과 동학사상(東學思想) ... 74
2. 반봉건(反封建)의 근대화(近代化) 운동 ... 77
1) 천주교(天主敎)의 선교(宣敎) 활동 ... 79
2) 개신교(改新敎)의 선교(宣敎) 활동 ... 83
3) 동학(東學)의 일차(一次) 반봉건 농민전쟁 ... 85
3. 동학(東學)의 이차(二次) 민족주의적 농민전쟁 ... 91
4. 동학사상(東學思想)과 가사(歌辭) ... 95
1) 조선 유교 사회의 소극적 부정(否定) ... 100
2) 근대 사회 지향(指向)의 적극적 반봉건(反封建) ... 105
(1) 만민 평등의 인간과(人間觀) ... 106
(2) 민중 주도의 국가·사회관(國家·社會觀) ... 109
(3) 성(誠)·경(敬)의 윤리관(倫理觀) ... 112
3) 척외(斥外)의 자주(自主) 민족주의 강조 ... 115
Ⅴ. 결론 ... 120
附錄
근대(近代) 후기(後期) 여류시 연구 수편(數篇)
1. 김명순(金明淳) 시 연구 ... 129
2. 노천명(盧天命) 시 연구 ... 168
3. 모윤숙(毛允淑) 시 연구 ... 221
索引 ... 26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