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한국 신석기 시대 연구사 ... 13
1. 머리말 ... 15
2. 해방 전 일제하에서의 연구상황 ... 17
3. 해방 후 북한의 연구성과 ... 19
4. 해방 후 남한의 연구성과 ... 24
5. 맺는말 ... 33
Ⅱ. 신석기 유적의 분포적 특성 ... 37
1. 머리말 ... 39
2. 각 지역별 유적분포의 특징 ... 41
3...
더보기
목차 전체
Ⅰ. 한국 신석기 시대 연구사 ... 13
1. 머리말 ... 15
2. 해방 전 일제하에서의 연구상황 ... 17
3. 해방 후 북한의 연구성과 ... 19
4. 해방 후 남한의 연구성과 ... 24
5. 맺는말 ... 33
Ⅱ. 신석기 유적의 분포적 특성 ... 37
1. 머리말 ... 39
2. 각 지역별 유적분포의 특징 ... 41
3. 맺음말 ... 49
Ⅲ. 한국 신석기 문화의 편년 ... 53
1. 머리말 ... 55
2. 각 지역 토기의 변천 과정 ... 56
3. 방사성탄소연대에 의한 신석기 시대의 편년 ... 84
4. 한국 신석기 토기의 편년 ... 90
5. 한국 신석기 문화의 편년 ... 93
Ⅳ. 한국 중부 신석기 토기의 상사성과 상이성 ... 95
1. 머리말 ... 97
2. 자료의 성격 ... 98
3. 연구방법 ... 101
4. 환경적 배경 ... 101
5. 유적 ... 105
6. 유물 ... 108
7. 고찰 ... 116
8. 맺음말 ... 120
Ⅴ. 한국 동해안지역의 신석기 문화 ... 121
1. 머리말 ... 123
2. 동북지역의 유적 및 편년 ... 123
3. 동해안 중부지역의 유적 및 편년 ... 136
4. 중부 동해안과 주변지역과의 관련성 ... 141
Ⅵ. 한국 선사시대의 농경 ... 145
1. 머리말 ... 147
2. 우리 나라 농경의 개시 ... 149
3. 벼농사의 기원 ... 150
4. 우리 나라 쌀농사의 성립과 전파경로 ... 152
5. 쌀농사의 확산과 잡곡농사 ... 156
6. 맺음말 ... 159
Ⅶ. 신석기시대의 한국과 중국 요녕지역 ... 161
1. 머리말 ... 163
2. 토기양성으로 본 지역 차이 ... 166
3. 주요 신석기 유적 분포 ... 167
4. 맺음말 ... 175
Ⅷ. 신석ㄱ시대의 한일 문화교류 ... 177
1. 머리말 ... 179
2. 덧무늬토기를 통해 본 한일 문화교류 ... 181
3. 빗살무늬토기와 會畑式土器와의 관계 ... 188
4. 漁具를 통해 본 한일 문화교류 ... 192
5. 맺음말 ... 198
Ⅸ. 한일 문화교류사의 새로운 발굴자료 ... 199
1. 머리말 ... 201
2. 문화교류 관계자료 ... 201
3. 맺음말 ... 211
Ⅹ. 中國 稻作起源 문제에 대한 검토-長江中流起源說 ... 213
1. 머리말 ... 215
2. 多元說 ... 216
3. 黃河下流說 ... 219
4. 雲貴高原說 ... 220
5. 華南說 ... 222
6. 淮河流域說 ... 225
7. 長江下流說 ... 228
8. 長江中下流說 ... 232
9. 長江中流說 ... 233
10. 결론 ... 241
참고문헌 ... 242
Ⅰ. 한국 신석기 시대 연구사 ... 13
1. 머리말 ... 15
2. 해방 전 일제하에서의 연구상황 ... 17
3. 해방 후 북한의 연구성과 ... 19
4. 해방 후 남한의 연구성과 ... 24
5. 맺는말 ... 33
Ⅱ. 신석기 유적의 분포적 특성 ... 37
1. 머리말 ... 39
2. 각 지역별 유적분포의 특징 ... 41
3. 맺음말 ... 49
Ⅲ. 한국 신석기 문화의 편년 ... 53
1. 머리말 ... 55
2. 각 지역 토기의 변천 과정 ... 56
3. 방사성탄소연대에 의한 신석기 시대의 편년 ... 84
4. 한국 신석기 토기의 편년 ... 90
5. 한국 신석기 문화의 편년 ... 93
Ⅳ. 한국 중부 신석기 토기의 상사성과 상이성 ... 95
1. 머리말 ... 97
2. 자료의 성격 ... 98
3. 연구방법 ... 101
4. 환경적 배경 ... 101
5. 유적 ... 105
6. 유물 ... 108
7. 고찰 ... 116
8. 맺음말 ... 120
Ⅴ. 한국 동해안지역의 신석기 문화 ... 121
1. 머리말 ... 123
2. 동북지역의 유적 및 편년 ... 123
3. 동해안 중부지역의 유적 및 편년 ... 136
4. 중부 동해안과 주변지역과의 관련성 ... 141
Ⅵ. 한국 선사시대의 농경 ... 145
1. 머리말 ... 147
2. 우리 나라 농경의 개시 ... 149
3. 벼농사의 기원 ... 150
4. 우리 나라 쌀농사의 성립과 전파경로 ... 152
5. 쌀농사의 확산과 잡곡농사 ... 156
6. 맺음말 ... 159
Ⅶ. 신석기시대의 한국과 중국 요녕지역 ... 161
1. 머리말 ... 163
2. 토기양성으로 본 지역 차이 ... 166
3. 주요 신석기 유적 분포 ... 167
4. 맺음말 ... 175
Ⅷ. 신석ㄱ시대의 한일 문화교류 ... 177
1. 머리말 ... 179
2. 덧무늬토기를 통해 본 한일 문화교류 ... 181
3. 빗살무늬토기와 會畑式土器와의 관계 ... 188
4. 漁具를 통해 본 한일 문화교류 ... 192
5. 맺음말 ... 198
Ⅸ. 한일 문화교류사의 새로운 발굴자료 ... 199
1. 머리말 ... 201
2. 문화교류 관계자료 ... 201
3. 맺음말 ... 211
Ⅹ. 中國 稻作起源 문제에 대한 검토-長江中流起源說 ... 213
1. 머리말 ... 215
2. 多元說 ... 216
3. 黃河下流說 ... 219
4. 雲貴高原說 ... 220
5. 華南說 ... 222
6. 淮河流域說 ... 225
7. 長江下流說 ... 228
8. 長江中下流說 ... 232
9. 長江中流說 ... 233
10. 결론 ... 241
참고문헌 ... 24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