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ⅶ
제1부 퇴계의 삶과 품격
제1장 퇴계의 생애와 사상적 특성 ... 3
1. 생애 ... 3
2. 사상적 특성 ... 8
제2장 고요하고 한가로운 거처 ... 11
1. 養眞庵 시절까지 ... 11
2. 寒棲庵 시절 이후 ... 16
제3장 인간적 품격과 운치 ... 23
1. 인품과 덕성 ... 23
2. 운치와...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ⅶ
제1부 퇴계의 삶과 품격
제1장 퇴계의 생애와 사상적 특성 ... 3
1. 생애 ... 3
2. 사상적 특성 ... 8
제2장 고요하고 한가로운 거처 ... 11
1. 養眞庵 시절까지 ... 11
2. 寒棲庵 시절 이후 ... 16
제3장 인간적 품격과 운치 ... 23
1. 인품과 덕성 ... 23
2. 운치와 풍류 ... 27
제4장 벼슬로 나가는 길과 물러나는 길 ... 35
1. 벼슬길에서 남긴 자취 ... 35
2. 굳이 물러나려는 까닭 ... 43
제5장 배우는 기쁨 가르치는 즐거움 ... 55
1. 배우는 기쁨 ... 55
2. 가르치는 즐거움 ... 59
제2부 퇴계철학의 세계
제6장 퇴계의 학문방법론 ... 69
1. 理·氣의 존재론 ... 69
2. 窮理와 格致의 인식론 ... 71
3. 居敬의 수양론 ... 74
제7장 퇴계철학의 인간이해 ... 79
1. 존재론적 인간 : 天命으로서의 性 ... 79
2. 실존롡거 인간 : 人心 ... 82
3. 善과 惡의 문제 ... 85
4. 인간화의 방법 : 수양론 ... 89
5. 인간과 공동체 : 書院論과 鄕約論 ... 93
6. 인간과 자연 ... 98
제8장 퇴계의 양명학 비판 ... 103
1. 理學의 유형과 퇴계의 道學정통적 비판의식 ... 103
2. 퇴계의 심학 전통에 대한 비판 ... 107
3. 양명학 비판의 논리 ... 110
4. 양명학 비판의 기본성격 ... 118
5. 心學 비판의 의의 ... 120
제9장 퇴계의 天개념과 天人관계론 ... 123
1. 문제의 의미 ... 123
2. 태극과 천명 ... 125
3. 天道와 人性 : 본체론적 인식 ... 131
4. 仁愛와 敬畏 : 정감적 인식 ... 135
5. 修省과 務德業 : 수양론적 인식 ... 140
6. 퇴계에 있어서 天개념의 특성 ... 143
제10장 퇴계의 성리학 - 理氣論과 四七論 ... 145
1. 퇴계 성리학의 기초 ... 145
2. 天·태극과 理氣개념 ... 147
3. 心性개념의 理氣論的 해석 ... 154
4. 四七論辨과 理氣互發說 ... 159
5. 퇴계 성리설의 계승과 전개 ... 169
제11장 퇴계의 物我觀과 생명의 세계 ... 173
1. 退溪에서 자연과 생명의 문제 ... 173
2. 우주의 理氣論的 해석과 人·物의 性 ... 177
3. 敬天을 통한 생명존중의 각성 ... 180
4. 仁의 心性的 근원과 人民을 통한 확장 ... 185
5. 物我관계의 유기적 일체성과 愛物 ... 187
6. 포용의 논리와 절제의 미학 ... 192
제12장 퇴계 수양론의 구조와 실천 ... 199
1. 성리설과 수양론의 연관성 ... 199
2. 수양론의 두 축 : 心과 敬 ... 200
3. 敬의 실천방법 ... 203
4. 修養의 실천에 따른 기본문제 ... 206
5. 퇴계의 수양론적 특성 ... 212
제13장 퇴계의 가정관과 인간관계의 규범 ... 215
1. 가정관의 문제 ... 215
2. 가정의 유교적 의미 ... 217
3. 가정과 인간관계의 규범 ... 223
4. 가정의 규범적 실현 ... 228
5. 가정생활의 실천모범 ... 234
6. 선비家庭의 의미 ... 239
[부록] 퇴계철학 연구의 현황과 문제 ... 243
1. 문제의 성격 ... 243
2. 퇴계학의 철학적 연구영역 ... 244
3. 퇴계학 연구의 회고 ... 246
4. 퇴계학 연구의 전망 ... 255
5. 퇴계학 연구의 오늘과 내일 ... 260
참고문헌 ... 263
찾아보기 ... 26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