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3
자서 ... 9
고대편
제1장 이학(理學)의 변천과 원·명·청대의 희곡 ... 21
제1절 이학과 희곡의 발전 배경 ... 22
1. 이학의 발전 배경 ... 22
2. 의곡의 발전 배경 ... 24
제2절 이학과 희곡의 사회적 역할 ... 27
1. 이학의 사회적 역할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3
자서 ... 9
고대편
제1장 이학(理學)의 변천과 원·명·청대의 희곡 ... 21
제1절 이학과 희곡의 발전 배경 ... 22
1. 이학의 발전 배경 ... 22
2. 의곡의 발전 배경 ... 24
제2절 이학과 희곡의 사회적 역할 ... 27
1. 이학의 사회적 역할 ... 27
2. 희곡의 사회적 역할 ... 29
제3절 희곡 사상의 변화 ... 31
1. 사회현상에 대한 하층민의 애증 - 송대 ... 31
2. 반봉건적 시민의식 - 원대 초기에서 원대 증기 ... 32
3. 이학사상의 유입과 영향 - 원말에서 명초 ... 34
4. 개성해방과 주관정신의 존중 - 명대 중엽 ... 37
5. 봉건의식으로의 회귀 - 명대 말기 ... 48
6. 정주이학의 보흥과 지방회의 흥성 - 청대 ... 50
제2장 희곡이론비평사 개설 ... 55
제1절 고대 희곡이론비평 ... 56
1. 제1기 - 원대 및 명초의 희곡이론비평 ... 57
2. 제2기 - 전기(傳寄) 번영 시기의 희곡이론비평 ... 60
3. 제3기 - 청대 지방희곡이 흥성하던 시기의 희곡이론비평 ... 73
제2절 근·현대 희곡이론비평 ... 75
1. 만청의 희곡이론비평 ... 75
2. 신해혁명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전까지의 희곡이론비평 ... 76
제3장 전·후칠자와 명대 희곡 ... 79
제1절 전·후칠자가 희곡에 끼친 영향 ... 80
1. 시문의 예술적 특성 강조 ... 82
2. 전·후칠자의 문학이론과 희곡과의 관계 ... 89
제2절 왕세정이 희곡에 끼친 영향 ... 98
1. 희곡작품 평가를 통해 본 왕세정과 하량준의 희곡관 ... 98
2. 왕세정과 하량준의 희곡관에 대한 희곡가들의 반론과 비판 ... 102
제4장 서위와 이지의 희곡이론 ... 112
제1절 서위 ... 113
1. 서위의 생애와 사상 ... 113
2. 서위의 희곡작품 ... 115
3. 서위의 희곡이론 ... 116
제2절 이지 ... 129
1. 이지의 생애와 사상 ... 129
2. 이지의 철학사상 ... 132
3. 이지의 문예사상 ... 136
제5장 탕현조와 심경의 희곡이론 ... 148
제1절 탕현조 ... 150
1. 탕현조의 생애와 사상 ... 150
2. 탕현조의 희곡이론 ... 154
제2절 심경 ... 172
1. 심경의 생애와 저서 ... 172
2. 심경의 희곡 작품과 사상 ... 174
3. 심경의 창작관 ... 179
제3절 탕현조와 심경의 논쟁과 그에 대한 평가 ... 184
1. 탕현조와 심경의 논쟁 ... 184
2. 탕현조와 심경의 논쟁에 대한 제가들의 평가 ... 186
제6장 왕기덕의 《곡률》과 그의 기타이론서 ... 191
제1절 왕기덕의 생애와 저서 ... 192
1. 왕기덕의 생애와 교유 관계 ... 192
2. 왕기덕의 저서 ... 194
제2절 왕기덕의 희곡 창작론 ... 196
1. 희곡 언어론 ... 197
2. 전고 사용론 ... 201
3. 함축론 ... 202
4. 제재와 구성의 허실론 ... 204
5. 희곡 구성론 ... 205
제3절 왕기덕의 희곡비평 ... 207
1. 《서상기》·《비파기》·《배월정기》에 대한 평가 ... 208
2. 심경과 탕현조에 대한 비평 ... 213
제4절 《신교주고본서상기》 ... 218
1. 《신교주고본서상기》의 간행 목적 ... 219
2. 《신교주고본서상기》의 내용 ... 220
3. 《신교주고본서상기》의 성과 ... 225
4. 《신교주고본서상기》에 대한 비판 ... 227
제7장 풍몽룡의 희곡이론 ... 229
제1절 풍몽룡의 생애와 사상 ... 230
제2절 통속문화에 대한 인식과 저서 ... 233
제3절 풍몽룡의 문학관 ... 235
제4절 풍몽룡의 창작론 ... 239
1. 진실성 추구 ... 239
2. 격률 준수 ... 243
3. 구성론 ... 246
4. 연출론 ... 249
제8장 맹칭순의 희곡이론 ... 252
제1절 맹칭순의 생애와 저술 활동 ... 252
1. 생애와 저서 ... 252
2. 작품에 나타난 사상 ... 254
제2절 맹칭순의 희곡이론 ... 260
1. 본색론 ... 260
2. 풍격론 ... 267
제3절 《고금명극합선》 ... 269
1. 편찬 목적과 선별 기준 ... 269
2. 작품 품평론 ... 272
3. 언어론 ... 278
4. 독창성 ... 284
제9장 김성탄 비본《서상기》의 미학사상 ... 286
제1절 김성탄의 생애와 저술 활동 ... 286
제2절 《김비서상》이전의 《서상기》관련서 ... 290
제3절 《김비서상》에 나타난 김성탄의 미학관 ... 293
1. 창작론 ... 293
2. 김성탄의 《서상기》평론 ... 300
제4절 김성탄 미학사상의 문제점 ... 317
제10장 이어의 희곡 창작론 ... 324
제1절 이어의 생애와 저술 활동 ... 325
제2절 이어의 희곡이론 ... 326
1. 창작론 ... 327
2. 공연 예술론 ... 337
제3절 이어 희곡이론의 한계성 ... 352
제11장 고대 희곡 공연 이론 ... 358
제1절 호지휼 ... 359
1. 호지휼의 생애 ... 359
2. 호지휼의 구미설 ... 362
제2절 반지항 ... 365
1. 반지항의 생애 ... 365
2. 반지항의 공연이론 ... 366
제3절 《이원원》의 희곡 공연이론 ... 379
1. 진실성 추구 ... 379
2. 배우들의 공연 태도 ... 386
3. 《이원원》의 한계성 ... 390
제12장 곡보 개관 ... 392
제1절 곡보의 발전과정 ... 393
1. 제1시기 - 명초에서 청초까지 ... 396
2. 제2시기 - 청대 중엽에서 민국 이전까지 ... 400
3. 제3시기 - 민국초 ... 403
제2절 곡보 산생의 필연성 ... 407
1. 곡보에 대한 제가들의 관점 ... 407
2. 곡패 규범화의 당위성 ... 410
3. 곡보 선정의 기준 ... 413
제3절 곡보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한계성 ... 418
근대편
제13장 만청의 희곡개량 운동과 그 이론 ... 423
제1절 희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식 ... 424
제2절 희곡개량에 대한 제 견해 ... 425
1. 엄복(嚴復) ... 426
2. 양계초(梁啓超) ... 428
3. 유아자(柳亞子) ... 429
4. 진독수(陳獨秀) ... 433
제3절 만청 희곡개량 이론의 문제점 ... 435
제14장 왕국유의 미학사상과 희곡 사료학(史料學) ... 439
제1절 왕국유의 생애와 그의 비극관 ... 440
1. 왕국유의 생애 ... 440
2. 왕국유의 비극관과 쇼펜하워 ... 443
제2절 왕국유의 미학관 ... 450
1. 왕국유의 의경설 ... 450
2. 왕국유의 경계설 ... 454
3. 《송원희곡사》 ... 455
4. 왕국유의 학문적 태도와 방법 ... 469
5. 《송원희곡사》의 한계성 ... 474
제15장 「국극운동」과 그 이론 ... 476
제1절 여상원과 국극운동 ... 477
제2절 국극운동의 방향 ... 479
1. 국극운동가들의 연기이론 ... 479
2. 국극운동가들의 무대미술이론 ... 483
3. 국극운동가들의 전통 희곡에 대한 인식 ... 485
4. 국극운동가들의 희극과 사회와의 관계 문제에 대한 인식 ... 492
5. 국극운동가들이 지향하는 국극 ... 495
제3절 국극운동이 실패한 원인 ... 498
제16장 "진부한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발전시킨다(抽陳出新)"는 희곡개혁 방침이 제기된 역사적 배경 ... 501
제1절 아편전쟁에서 신해혁명까지 ... 501
제2절 「5·4」운동에서 1942년까지 ... 506
1. 구양여천의 희곡 개량론 ... 508
2. 전한(田漢)의 신국극운동 ... 510
제3절 모택동의 희곡개혁 방침 ... 513
역자후기 ... 515
인명 및 서명색인 ... 5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