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 ⅲ
머리말 ... ⅴ
일러두기 ... xxv
제1장 서장 ... 1
1.1. 학문과 학문론 ... 5
1.1.1. 기본입장 ... 5
1.1.2. 분과학문의 자기소개 ... 11
1.1.3. 제반 인문·사회과학적 관점 ... 19
1.1.4. 분석철학 ... 26
1.1.5. 인지심리학 ... 36
1.1.6. 지식사회...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 ⅲ
머리말 ... ⅴ
일러두기 ... xxv
제1장 서장 ... 1
1.1. 학문과 학문론 ... 5
1.1.1. 기본입장 ... 5
1.1.2. 분과학문의 자기소개 ... 11
1.1.3. 제반 인문·사회과학적 관점 ... 19
1.1.4. 분석철학 ... 26
1.1.5. 인지심리학 ... 36
1.1.6. 지식사회학 ... 41
1.1.7. 교육학적 접근의 모색 ... 49
1.2. 새로운 접근 ... 57
1.2.1. 다원주의적 세계관 ... 58
1.2.2. 세속계와 수도계 ... 70
1.2.3. 수도계의 하나로서 학문계 ... 78
1.2.4. 수도계와 교육계 ... 83
1.2.5. 본위의 선택 ... 98
1.3. 우리의 역사적 과제 ... 106
1.3.1. 학문계의 전래 ... 106
1.3.2. 학문계의 수용태도 ... 112
1.3.3. 선의의 경쟁 ... 117
1.3.4. 동도서기적 관점의 극복 ... 135
1.3.5. 선인의 귀감 ... 147
1.4. 학문계, 교육계 그리고 학교 ... 155
1.4.1. 학문발전과 교육의 역할 ... 155
1.4.2. 학문관의 발달단계 ... 160
1.4.3. 우리나라의 학교실정 ... 170
1.4.4. 새로운 출발의 향방 ... 191
1.4.5. 본 저서의 내용 ... 200
제2장 학문 제 양상 ... 209
2.1. 학문적 전통의 원류 ... 210
2.1.1. 고대 희랍의 철학 ... 210
2.1.2. 교육의 三代 ... 213
2.1.3. 근대의 자연과학 ... 221
2.1.4. 시민사회와 사회과학 ... 224
2.2. 학문의 내재성 ... 227
2.2.1. 내재적 관점과 외재적 관점 ... 227
2.2.2. 동기와 가치 ... 235
2.2.3. 학문계와 세속계 ... 249
2.2.4. 학문계와 예술계 ... 256
2.2.5. 학문계와 도덕계 ... 258
2.3. 학문적 지식의 조건 ... 266
2.3.1. 체계성과 암묵성 ... 266
2.3.2. 학문 내재성 ... 279
2.3.3. 상식의 초월 ... 294
2.3.4. 교조화에 대한 경계 ... 302
2.3.5. 이데올로기적 기능의 거부 ... 312
2.3.6. 끊임없는 부정과 자기교정 ... 325
2.4. 실재, 언어 그리고 지식 ... 332
2.4.1. 현전의 형이상학 ... 332
2.4.2. 급진적 구성주의의 등장 ... 336
2.4.3. 언어학적 전회 ... 345
2.4.4. 인격적 지식과 공적 지식 ... 360
2.5. 진리의 기준 ... 373
2.5.1. 학문의 발전 ... 373
2.5.2. 인식론의 문제 ... 384
2.5.3. 대응설의 붕괴 ... 391
2.5.4. 여타의 진리관 ... 400
2.5.5. 교육적 인식론의 윤곽 ... 411
제3장 분과학문 ... 427
3.1. 근대학문의 형성 ... 429
3.1.1. 학문의 세분화 ... 429
3.1.2. 물리학 ... 439
3.1.3. 화학 ... 442
3.1.4. 생물학 ... 444
3.1.5. 수학 ... 445
3.1.6. 심리학 ... 448
3.1.7. 경제학 ... 449
3.1.8. 사회학 ... 451
3.1.9. 언어학 ... 454
3.1.10. 철학 ... 457
3.2. 학문의 분류기준 ... 460
3.2.1. 대표적인 분류의 사례 ... 460
3.2.2. 독특한 문제와 개념틀 ... 472
3.2.3. 진리관과 방법론 ... 487
3.2.4. 학문공동체 ... 497
3.2.5. 학문적 분화의 역동성 ... 504
3.3. 인식대상의 구조 ... 509
3.3.1. 학문적 대상 ... 509
3.3.2. 대상의 구조성 ... 522
3.3.3. 횡적 상대성 ... 533
3.3.4. 종적 상대성 ... 547
3.4. 분과학문간의 협응 ... 556
3.4.1. 분과학문의 통합가능성 ... 556
3.4.2. 횡적 다양성의 위기 ... 571
3.4.3. 학제연구와 그 한계 ... 584
3.4.4. 전문교육과 교양교육 ... 600
제4장 응용학문 ... 611
4.1. 순수학문과 응용학문 ... 617
4.1.1. 학문계의 안과 밖의 관심 ... 617
4.1.2. 구분의 두 가지 기준 ... 622
4.1.3. 대중적 관심의 불균형 ... 628
4.2. 응용학문의 출현 ... 633
4.2.1. 과학과 기술간의 제휴 ... 633
4.2.2. 자연과학의 응용영역으로서의 공학 ... 638
4.2.3. 사회과학의 응용사례 ... 644
4.3. 지식의 선용과 악용의 책임 ... 647
4.3.1. 가치기준의 공립과 갈등가능성 ... 647
4.3.2. 자연인의 다면성 ... 651
4.3.3. 유용성이라는 개념의 양극성 ... 653
4.3.4. 환경공해의 문제 ... 655
4.3.5. 행동통제의 문제 ... 657
4.3.6. 선용의 책임소재 ... 660
4.3.7. 우리 모두의 책임 ... 666
4.4. 전문교육의 문제 ... 672
4.4.1. 직업과 교육 ... 672
4.4.2. 대학에서의 직업교육 ... 676
4.4.3. 직업교육에 대한 재인식 ... 680
4.4.4. 학문계적인 전문성과 대상세계적인 전문성 ... 682
4.4.5. 학문계적 교육의 한계 ... 684
4.4.6. 학자양성을 위한 교육 ... 690
4.5. 교직과 교육학 ... 693
4.5.1. 외래학문과 실증주의의 유입 ... 693
4.5.2. 논점이탈과 개념적 혼미 ... 701
4.5.3. 기술적 합리주의의 한계 ... 708
4.5.4. 교육학교육과 교직교육의 분리 ... 712
제5장 학문의 방법론 ... 719
5.1. 실증주의적 방법 ... 726
5.1.1 제반 특징 ... 729
1. 자연의 齊一性에 대한 신념 ... 729
2. 인과적 법칙 ... 730
3. 설명과 예측의 형식 ... 730
4. 관찰과 실험 ... 731
5. 수량화와 통계적 방법 ... 733
6. 진리의 기준으로서 대응설 ... 734
7. 반형이상학주의 ... 735
8. 논리적 원자론 ... 736
9. 방법적 일원론 ... 737
5.1.2. 비판적 전개 ... 738
1. 귀납적 지식의 불확실성 ... 738
2. 관찰과 실험의 이론의존성 ... 739
3. 의미의 맥락적 상대성 ... 742
4. 개념형성의 후천성 ... 743
5. 지식체계의 검증 ... 745
6. 변증법적 합리주의 ... 747
7. 지식의 暗默性에 근거한 검증 ... 748
8. 방법적 통일의 문제 ... 749
5.2. 개념분석방법 ... 752
5.2.1 제반 특징 ... 753
1. 개념적 문제와 철학적 방법 ... 753
2. 개념의 논리적 조건 ... 755
3. 언어게임의 이해 ... 756
4. 사회적 고유현상으로서의 규칙 ... 759
5. 사회과학의 고유한 방법 ... 760
6. 참여적 이해 ... 761
7. 문화적 상대주의 ... 762
5.2.2. 비판적 전개 ... 764
1. 방법적 이원주의의 문제 ... 764
2. 제한된 언어관 ... 765
3. 언어의 상대성 ... 768
4. 언어의 생명력 ... 769
5. 사회적 지식과 사회학적 지식의 차이 ... 772
6. 일상어와 학문적 언어의 차이 ... 774
7. 개념의 변증법적 발전 ... 777
8. 언어의 규칙과 실천적 삶의 차이 ... 779
5.3. 현상학적 방법 ... 782
5.3.1 제반 특징 ... 784
1. 무전제의 학문 ... 784
2. 현상적 사실과 본질의 구분 ... 784
3. 본질직관 ... 785
4. 자연스러운 태도의 변경 ... 786
5. 자연과학주의적 태도의 변경 ... 788
6. 형상적 환원 ... 788
7. 선험적 태도에로의 전환 ... 790
8. 선험적 환원 ... 791
9. 노에시스와 노에마 ... 792
10. 범주적 직관과 현상학적 구성 ... 793
11. 현상학적 자아 ... 794
12. 개인적 주관성 ... 796
5.3.2. 비판적 전개 ... 797
1. 지나친 엄격성 ... 797
2. 주체의 오류가능성과 시간상의 변화 ... 799
3. 세속계에서 학문계로의 태도전환 ... 802
4. 판단중지의 실험성 ... 803
5. 선이해의 구조 ... 804
6. 역사성과 체험의 단속성 ... 806
7. 현상학적 확증의 문제 ... 807
8. 확증의 보편화의 문제 ... 808
9. 대안의 가능성 ... 810
5.4. 해석학적 방법 ... 811
5.4.1 제반 특징 ... 815
1. 체험 ... 815
2. 인식대상으로서의 텍스트 ... 816
3. 창작과정의 소급적 재구성으로서의 해석 ... 818
4. 이해의 선험적 기반 ... 820
5. 개성기술 ... 822
6. 의미연관성 ... 823
7. 해석학적 순환 ... 825
8. 해석의 타당성 ... 827
5.4.2. 비판적 전개 ... 829
1. 텍스트의 의미의 개방성 ... 829
2. 해석의 선험적 동질성에 대한 요구 ... 831
3. 진리의 기준 ... 832
4. 해석의 맥락 ... 836
5. 세속계적 이해 ... 839
6. 수도계적 이해 ... 842
7. 학문적 이해 ... 844
8. 교육적 이해 ... 847
5.5. 구조주의적 방법 ... 852
5.5.1 제반 특징 ... 854
1. 반역사주의 ... 854
2. 반인간주의 ... 856
3. 전체성 ... 858
4. 차이와 의미화 ... 860
5. 이항대립 ... 862
6. 변환 ... 863
7. 자기제어 ... 864
8. 형식과 내용의 상대성 ... 866
9. 기술과 설명의 동일성 ... 866
10. 진리의 기준으로서 정합성 ... 867
11. 지식체계의 자율화에의 응용 ... 869
5.5.2. 비판적 전개 ... 871
1. 구조의 횡적 상대성과 종적 상대성의 구분 ... 871
2. 일상어와 학문어 ... 873
3. 언어구조의 통시적 변화 ... 874
4. 언어구조와 인지구조의 차이 ... 877
5. 인지구조의 개체발생 ... 878
6. 인지구조의 계통발생 ... 879
7. 상대적인 주체의 복권 ... 882
8. 구조발생의 기제 ... 887
9. 학문적 체험구조의 단계별 구축 ... 889
10. 정합설의 문제 ... 890
5.6. 변증법 ... 893
5.6.1 제반 특징 ... 896
1. 존재의 논리 ... 896
2. 존재의 모순적 구조의 용인 ... 897
3. 부정 ... 899
4. 지양의 개념 ... 901
5. 변증법적인 3단계 ... 902
6. 양의 질로의 변화 ... 904
7. 형식과 내용의 통일 ... 905
8. 전체와 부분간의 상관 ... 906
9. 내부와 외부간의 상관성 ... 907
10. 절대자와 유한자 ... 908
11. 보편과 특수의 종합 ... 910
12. 인식의 발전 ... 912
13. 진리의 과도성 ... 915
14. 절대적 관념론 ... 917
5.6.2. 비판적 전개 ... 919
1. 인식대상과 사유의 혼동 ... 919
2. 수도계의 종류와 수준의 혼동 ... 922
3. 무한정한 낙관주의 ... 925
4. 역사적 주체의 모호성 ... 927
5. 미래에 대한 개방성 ... 929
6. 역사적 체험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변성 ... 932
7. 주체내의 모순과 타자간의 모순 ... 937
8. 대화적 방법 ... 941
9. 간접전달 ... 944
10. 변증법의 난해성 ... 945
11. 변증법의 지양 ... 947
참고문헌 ... 955
인명색인 ... 977
주제색인 ... 98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