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序論 - 문제 제기와 연구의 방향 ... 15
제1장 時代背景과 生涯
1. 元世祖의 佛敎政策 ... 27
1) 帝師制度의 成立 ... 30
2) 釋敎總統所의 性格 ... 40
3) 宗敎葛藤의 仲裁에서 나타난 佛敎政策 ... 46
(1) 儒敎와 佛敎 ... 47
(2) 道敎와 佛敎 ... 52
(3) 禪敎의 對立...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序論 - 문제 제기와 연구의 방향 ... 15
제1장 時代背景과 生涯
1. 元世祖의 佛敎政策 ... 27
1) 帝師制度의 成立 ... 30
2) 釋敎總統所의 性格 ... 40
3) 宗敎葛藤의 仲裁에서 나타난 佛敎政策 ... 46
(1) 儒敎와 佛敎 ... 47
(2) 道敎와 佛敎 ... 52
(3) 禪敎의 對立 ... 55
2. 生涯의 主要課題 ... 63
1) 傳記 資料 ... 64
2) 生涯에 나타난 主要課題 ... 67
(1) 誕生과 成長 ... 68
(2) 出家와 文字話頭의 參究 ... 69
(3) 大悟와 善知識 參問 ... 73
(4) 元朝의 懷柔와 隱遁 ... 79
(5) 高麗道友와의 交流 ... 85
제2장 德異本 『六祖壇經』의 思想的 性格 - 간화선의 철학적 기초로서
1.『壇經』의 構成과 內容分析 ... 95
1)「傳記篇」 ... 100
2)「法門篇」 ... 105
3)「問答篇」 ... 108
2. 三種異本의 주요 禪思想 比較 ... 111
1) 敦煌本의 自性定慧 ... 111
2) 惠昕本의 性起思想 ... 115
3) 德異本의 禪問答話 ... 124
3. 德異本 『壇經』의 禪宗史認識 ... 138
1)『壇經』編者의 관한 諸說 ... 138
2) 法海 批判과 印可方式의 變化 ... 146
3) 禪會 批判과 禪思想史的 意味 ... 158
제3장 看話禪思想의 展開 - 무자화두를 중심으로
1. 祖師活句禪 ... 175
1) 僧問答 ... 178
2) 上堂과 示衆法門 ... 182
3) 三關語 ... 190
2. 無字話頭의 禪風 ... 194
1)『法語略錄』에 나타난 話頭參究의 過程 ... 194
2) 無字話頭의 形成 ... 200
(1) 成立 背景 ... 200
(2) 五祖法演 ... 203
(3) 大慧宗고 ... 209
(4) 無門慧開 ... 211
3) 無字話頭의 哲學的 意味 ... 214
(1) 方法論的 疑心 ... 217
(2) 思量分別의 否定 ... 221
(3) 廻光自看 ... 225
3. 巫禪觀과 十節目 ... 229
1) 休休庵의 巫禪觀 ... 229
2) 無字 十節目 ... 236
제4장 念佛話頭法 - 간화선과 정토의 융합
1. 禪淨一致의 歷史 ... 255
1) 禪淨一致의 理念的 統合 ... 256
2) 念佛話頭의 方法的 融合 ... 264
2. 蒙山의 念佛話頭法 ... 270
1) 德異本『壇經』의 淨土觀 ... 270
2) 蒙山의 念佛話頭法 ... 275
(1) 新資料의 主要 內容 ... 275
(2) 蓮宗과 明本의 교류 ... 281
(3) 蒙山과『蓮宗寶鑑』 ... 287
제5장 高麗後期 看話禪의 受容과 展開
1. 德異本『壇經』과 高麗後期 禪思想形成 ... 299
1) 普照의 『法寶記壇經』과 德異本『壇經』과의 關係 ... 300
2) 『六祖壇經』受容의 두 方式 ... 311
(1) 普照의 三門에 의한 受容 ... 311
(2) 麗末三師의 看話一門的 受容 ... 317
2. 蒙山 看話禪의 受容과 展開 ... 332
1) 萬恒의 看話禪 受容 ... 332
2) 麗末三師의 禪思想과의 關係 ... 342
(1) 白雲과 三關語 ... 342
(2) 뢰翁과 工夫十節目 ... 346
(3) 太古와 無字話頭 ... 357
3. 念佛話頭法의 受容 ... 336
1)念佛의 두 전통, 修禪社와 白蓮社의 淨土觀 ... 336
2)參究念佛의 受容 ... 377
(1) 뢰翁의 自性彌陀 ... 377
(2) 太古普愚와 念佛話頭法 ... 385
結論 ... 399
부록 ... 415
참고 문헌 ... 419
Abstract ... 433
찾아보기 ... 44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