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5장 김용옥, 김수환추기경 만나다
1. 우리시대 최고의 지적 퍼포먼스 ... 8
2. 천인합일(天人合一)에서 공통점을찾아 ... 12
3. 이성(理性)은 인간의 존엄성 지킬 수 없어 ... 17
4. 살아있는공자·노자, 김수환추기경 ... 24
5. 죽음의 문화를 생명의 문화로 ... 27
6. 나의 인류학적 토론 : 인류의 삶의 새로운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5장 김용옥, 김수환추기경 만나다
1. 우리시대 최고의 지적 퍼포먼스 ... 8
2. 천인합일(天人合一)에서 공통점을찾아 ... 12
3. 이성(理性)은 인간의 존엄성 지킬 수 없어 ... 17
4. 살아있는공자·노자, 김수환추기경 ... 24
5. 죽음의 문화를 생명의 문화로 ... 27
6. 나의 인류학적 토론 : 인류의 삶의 새로운 민속분류학을 위하여 ... 31
6장 김용옥과 강신표의 비교연구
1. 서론 ... 52
2. 집안과 학문편력 ... 64
3. 대표적 논문 ... 70
4. 김용옥·강신표의 비교론 ... 73
5. 두 학자의 학사적(學史的) 의미 ... 96
6. 두 학자에 대한 비판들 ... 101
7. 결론 ... 107
7장 한국 지성인의 고민에 관한 사례연구
1. 한국의 지성 : 그 시대적 역할을 생각해본다 ... 118
2. 김용옥교수의 양심선언과 그 파동 ... 122
3. 김용옥교수 사건의 문화인류학적 고찰 ... 134
4. 기(氣)철학의 이(理)철학적 이해 ... 140
5. 김용옥과 강신표, 시(詩)를 주고받다 ... 142
8장 김용옥에 보내는 에세이서신
1. 원효의 일심(一心)과 퇴계의 이발(理發)에 대한 비교연구 ... 148
2. 인문학 위기와 지식인의 직무유기 ... 175
3. 한국인이 인법지(人法地)를 하지 못하는 데 대한토론 ... 197
4. 21세기 인류의 큰 길, 욕망의 최대 수렴으로서의 선(禪)문화 ... 230
5. 영어 공용화는 신제국주의에 대한 항복문서 ... 24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