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5
엮은이의 말 ... 8
이끄는 말 - 현학의 시대와 오늘의 철학 / 정세근 ... 19
1. 현학이란 ... 19
2. 현학의 연구사 ... 21
3. 현학의 분류 ... 29
4. 현학의 주요 인물 ... 33
5. 우리 나라의 현학 연구 ... 38
하안의 역학적 해석론 / 정세근 ... 44
1. 새 시대 ... 44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5
엮은이의 말 ... 8
이끄는 말 - 현학의 시대와 오늘의 철학 / 정세근 ... 19
1. 현학이란 ... 19
2. 현학의 연구사 ... 21
3. 현학의 분류 ... 29
4. 현학의 주요 인물 ... 33
5. 우리 나라의 현학 연구 ... 38
하안의 역학적 해석론 / 정세근 ... 44
1. 새 시대 ... 44
2. 하안의 중요성 ... 45
3. 경전과 『주역』 ... 47
4. 역학적 방법 ... 50
5. 『논어집해』 ... 52
6. 도론 ... 60
7. 무명론 ... 63
8. 무의 쓰임 ... 67
9. 음양론 ... 68
왕필의 현학 / 김시천 ... 71
1. 자연과 제도 - 위진 철학의 근본 문제 ... 71
2. 위진 철학에서 '유무'의 의미와 '유무 논쟁' ... 75
1. '유무' 관념의 함의와 논쟁의 전개 : 귀무와 숭유 ... 76
2. 왕필의 유무론 ... 82
3. 왕필 철학에서의 자연 ... 88
1. 만물제일론 ... 91
2. 만물종시론 ... 94
4. 왕필 철학에서의 제도 ... 98
1. 성인의 '무위'와 '적용' ... 100
2. 올바른 제도와 왕필의 이상 사회 ... 106
5. 왕필 현학의 의미 ... 112
배위의 숭유론 / 김학목 ... 116
1. 들어가는 말 ... 116
2. 왕필의 귀무론 ... 118
1. 공간과 마음 비움 ... 118
2. 마음 비움과 물아일체의 상태 ... 122
3. 배위의 「숭유론」 ... 123
1. 「숭유론」의 근본 입장 ... 125
2. 배위의 왕필 비판 ... 130
3. 『도덕경』의 저술 목적 ... 133
4. 분별심이 지나칠 때의 폐단 ... 137
4. 곽상의 독화론 ... 140
5. 맺는 말 ... 144
곽상의 독화론 - 그 장자 철학의 변주에 관하여 / 이종성 ... 147
1. 시작하는 말 ... 147
2. 곽상의 인물과 『장자주』대한 논란 ... 148
3. '독화론'의 현학사상사적 위치 ... 154
4. '독화론'의 현학 체계에 있어 유·무의 문제 ... 159
1. 왕필의 '무' 개념에 대한 비판 ... 160
2. 배위의 '유' 개념에 대한 포월적 지양 ... 164
5. '적정소요설'을 위한 '독화론' 또는 장자 철학의 변주 ... 168
6. 맺는 말 :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 173
장잠의 우주론 / 원정근 ... 176
1. 우주만물에 대한 위진 현학의 두 가지 기본 관점 ... 176
2. '지허'의 우주본체론 ... 178
1. '지허론'의 형성 배경 ... 178
2. 우주본체와 사물 현상의 통일 ... 182
3. '태허'와 우주구성론 ... 191
1. '태허론'의 형성 과정 ... 191
2. 우주전체와 개별 사물의 통일 ... 194
4. 장잠의 우주관의 역사적 의미와 한계 ... 201
구양건의 언진의론 / 이재권 ... 204
1. 시작하는 말 ... 204
2. 언진의론의 사상사적 의의 ... 205
1. 구양건의 인물 ... 205
2. 「언진의론」의 의의 ... 207
3. 언진의론 ... 210
1. 언진의론의 일반적 성격 ... 210
1. 언진의론의 비판 대상으로서의 언부진의론 ... 210
2. 언진의론의 성격 ... 213
2. 언진의론 ... 216
1. 「언진의론」의 구조 ... 216
2. 문제 제기 ... 217
3. 사물과 이치의 일차성 ... 223
4. 존재와 언표의 불가분적 관계 ... 228
5. 사물과 명칭, 이치와 언명과의 일치성 ... 232
6. 언진의 ... 239
4. 비판적 검토 ... 240
5. 맺는 말 ... 243
승조의 삼가 비판 이유와 중도에 대한 두 가지 해석 / 이병욱 ... 245
1. 서론 ... 245
2. 승조의 삼가 비판 이유 ... 247
1. 『중론』과 「반야무지론」의 중도 이해 ... 248
2. 삼가 비판 이유 ... 251
1. 본무의와 「답유유민서」의 비교 ... 252
1. 즉색의와 「답유유민서」의 비교 ... 256
1. 심무의와 「답유유민서」의 비교 ... 259
3. 「부진공론」과 「물불천론」에 나타난 중도 이해의 차이점 ... 261
1. 「부진공론」의 중도 이해 ... 261
2. 「물불천론」의 중도 이해 ... 266
4. 결론 ... 27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