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부
관객의 일상성에서 벗어나기 위한 연극적 기법-이현화론
1. 머리말 ... 15
2. 반복의 기법과 탈일상성의 세계 ... 17
3. 폭력의 언어와 강요된 죄의식 ... 21
4. 허구적 관객의 발견과 극중극 기법 ... 25
5. 맺음말 ... 30
세대의식과 비극성...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부
관객의 일상성에서 벗어나기 위한 연극적 기법-이현화론
1. 머리말 ... 15
2. 반복의 기법과 탈일상성의 세계 ... 17
3. 폭력의 언어와 강요된 죄의식 ... 21
4. 허구적 관객의 발견과 극중극 기법 ... 25
5. 맺음말 ... 30
세대의식과 비극성-이용찬의 「가족」
1. 머리말 ... 33
2. 타자의 살해와 희생양 ... 38
3. 구세대의 허위성과 왜곡된 성장과정 ... 43
4. 개인의 자각과 비극의 구조 ... 47
5. 맺음말 ... 50
1950년대의 리얼리즘 희곡의 한 양상-차범석의 초기 희곡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52
2. 시대상의 변화와 윤리의 문제 ... 54
3. 멜로드라마의 세계 ... 58
4. 세대의식과 실험정신 ... 62
5. 맺음말 ... 67
상상력과 놀이로서의 역사-이현화의 「키리에」
1. 이현화의 극작세계 ... 70
2. 놀이로서의 역사 ... 73
3. 역사와의 거리두기 ... 77
4. 허구로서의 역사와 역사에 대한 참회 ... 79
5. 맺음말 ... 83
정념과 효 이념의 대립으로서의 역사-윤정선의 「호동」
1. 머리말 ... 85
2. 열정적 사랑과 희생적 사랑의 대립 ... 87
3. 효 이념의 허위성 ... 94
4. 맺음말 ... 100
제2부
오영진의 희곡에 나타난 현실 인식 연구
Ⅰ.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목적 ... 105
2. 연구 방법 ... 110
Ⅱ. 민족 정체성의 추구
1. 민담의 현대적 변용 ... 114
2.「맹진사댁경사」에 나타난 민담의 수용 양상과 대중성
(1) 「신선비」설화와의 관련성 재고 ... 119
(2) 탐욕형 인물과 희극적 전락 ... 128
(3) 대중극적 특성과 양가성 ... 132
(4) 전통적 음악극의 세계 ... 135
3.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에 나타난 정치적 풍자와 세대의식
(1) 「방학중」설화와의 관련성 재고 ... 140
(2) 세대간의 갈등과 도덕성의 문제 ... 148
(3) 언어유희와 극언어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 154
Ⅲ. 정치현실과 문명사회의 비판
1. 역사의 의미와 비극적 세계관 ... 158
2. 「풍운」에 나타난 역사의식 ... 161
(1) 역사의 의미와 비극적 세계관 ... 161
(2) 시적 서정성과 역사적 비극성의 결합 ... 167
(3) 애국심의 양가성 ... 173
3. 「해녀 물에 오르다」에 나타난 문명사회의 비판 ... 179
(1) 공간의 대립적 구성과 가정의 의미 ... 179
(2) 비극의 이중성 ... 187
(3) 무대화 기법과 회상 장면 ... 191
Ⅳ. 전통의 현대화
1. 고정소설의 현대적 수용 ... 196
2. 「허생전」에 나타난 패로디의 양상 ... 201
(1) 원텍스트의 수용과 변이 ... 201
(2) 유토피아주의와 비판적 거리 ... 209
(3) 기법적 특성과 작가의식 ... 215
3. 「나의 당신」에 나타난 현대인의 소외문제 ... 220
(1) 가정극의 세계와 시간의 이미지 ... 220
(2) 몽유구조의 극적인 기능 ... 223
(4) 형식적 특성과 교훈적 결말 ... 233
Ⅴ. 결론 ... 236
참고문헌 ... 242
공연기록 ... 249
제3부
영화적 기법의 수용과 작가의식-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천변풍경」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259
2. 오버랩 수법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262
3. 카메라의 리얼리티와 「천변풍경」 ... 266
4. 몽타주 기법의 수용과 행복의 의미 ... 271
5. 맺음말 ... 276
존재의 고독과 모성의 추구-황순원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279
2. 타락한 현실에 맞서기 ... 281
3. 모성의 결핍과 모성의 추구 ... 284
4. 모성과의 결별과 존재의 인식 ... 289
5. 맺음말 ... 292
1970년대 북한 소설 연구-3대 고전과 「불멸의 역사」 총서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294
2. 3대 고전의 재창작 ... 297
1) 「파바다」의 재창작 과정 ... 297
2) 인물 구성의 도식성 ... 300
3) 혁명의식화와 계급적 이타주의 ... 303
3. 「불멸의 역사」 총서 ... 307
1) 수령의 형상화 문제 ... 307
2) 역사적 진실성의 문제 ... 312
4. 맺음말 ... 314
김우진의 시연구
1. 머리말 ... 317
2. 새로운 것의 추구 ... 319
3. 자연의 질서와 인간의 운명 ... 326
4. 죽음의 역설적 의미 ... 329
5. 맺음말 ... 33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