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5
【客愁】
초봄에 남쪽으로 갔다가 낙양의 여러 친구들에게 보내다(早春南征寄洛中諸友) ... 14
뱃길로 가다가 기러기에게 보내다(江行贈雁) ... 16
비파정에서 짓다(琵琶亭上作) ... 18
하북에서 저주로 폄적가다가 변하로 처음 들어서면서 기러기 소리를 듣다(自河北貶저州初入변河聞雁) ... 22
수주에 머물러 내...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5
【客愁】
초봄에 남쪽으로 갔다가 낙양의 여러 친구들에게 보내다(早春南征寄洛中諸友) ... 14
뱃길로 가다가 기러기에게 보내다(江行贈雁) ... 16
비파정에서 짓다(琵琶亭上作) ... 18
하북에서 저주로 폄적가다가 변하로 처음 들어서면서 기러기 소리를 듣다(自河北貶저州初入변河聞雁) ... 22
수주에 머물러 내자에게 보내다(行次壽州寄內) ... 26
모래바람(風吹沙) ... 29
저녁에 악양에서 머물다(晩泊岳陽) ... 32
【別情】
비서성의 교서랑 장지에게 보내다(寄張至秘校) ... 38
자야를 전송하다(送子野) ... 41
회숭루에서 저녁술을 마시다 - 서무당과 서무일 형제에게 보여주다(懷嵩樓晩飮示徐無黨無逸) ... 46
용도각 직학사 매공의가 항주의 지주로 나가는 것을 전송하다(送梅龍圖公儀知杭州) ... 53
한림시독학사 유원보가 영흥으로 나가는 것을 삼가 전송하다(奉送原甫侍讀出守永興) ... 55
오효종이 남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送吳生南歸) ... 58
저주를 떠나다(別저) ... 64
【感時】
원진에게 장난삼아 답하다(戱答元珍) ... 68
초봄(初春) ... 71
봄날 서호에서 사법조에게 보내는 노래(春日西湖寄謝法曹歌) ... 74
풍락정의 봄놀이(豊樂亭游春) ... 77
가을벌레의 울음소리(蟲鳴) ... 81
감흥(感興) ... 83
입추의 느낌 - 소자미에게 보내다(立秋有感寄蘇子美) ... 85
가을의 정회(秋懷) ... 88
【悼亡】
흰머리에 딸 사(師)를 잃고서 짓다(白髮喪女師作) ... 92
녹죽당에서 혼자 술 마시다(綠竹堂獨飮) ... 95
만경의 죽음을 슬퍼하다(哭曼卿) ... 100
성유의 죽음을 슬퍼하다(哭聖兪) ... 108
【議論】
감람(橄欖) ... 116
술지게미를 먹는 백성(食糟民) ... 120
양벽의 〈희우장구〉에 답하다(答楊벽喜雨長句) ... 124
주채의 〈메뚜기 잡기〉 시에 답하여(答朱寀捕蝗詩) ... 128
임처사가 태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送任處士歸太原) ... 134
추관 장동이 영흥경략사로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다(送張洞推官赴永興經略司) ... 138
한자화가 강남으로 안무가면서 보내온 작품에 받들어 답하다(奉答子華學士安撫江南見寄之作) ... 144
변방사람(邊戶) ... 151
소금 운송을 책임진 직방랑중 주표신을 전송하다(送朱職方提擧運鹽) ... 155
【歸田】
반가운 비(喜雨) ... 164
전원의 사계절 - 봄과 여름 2수(歸田四時樂春夏二首) ... 169
소(牛) ... 175
낚시꾼(釣者) ... 176
서리(霜) ... 178
감흥(感事) ... 181
다시 여음에 오다 - 절구 3수(再至汝陰三絶) ... 184
초피를 추억하다(憶焦陂) ... 187
태위 왕소에게 답하다(寄答王仲儀太尉素) ... 189
두기공의 사당에 쓰다(題杜祁公祠堂) ... 192
한자화에게 보내다(寄韓子華) ... 196
추밀부사 오충이 보내준 시에 답하다(答樞密吳給事見寄) ... 198
초여름의 서호(初夏西湖) ... 200
여시독에게 답하다(答和呂侍讀) ... 202
절구(絶句) ... 204
【구양수의 대표작】
여산고 - 과거시험 동기생인 태자중윤 유환이 남강으로 돌아가는 길에 보내다(廬山高贈同年劉中允歸南康) ... 208
명비곡(明妃曲和王介甫作) ... 215
재화명비곡(再和明妃曲) ... 220
반도시를 읽고서 자미에게 보내다(讀蟠桃詩寄子美) ... 223
수곡에서 밤길을 가다가 자미와 성유에게 보내다(水谷夜行寄子美聖兪) ... 229
해설 ... 236
송대문학연표 ... 26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