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이 책을 엮어 내며 ... 5
일러두기 ... 16
제1부 한국의 고유 사상 ... 17
1. 신화 ... 19
2. 제천 의식 ... 31
3. 무속 ... 34
1. 정치와 종교의 분화 ... 34
2. 불교·도교와의 습합 ... 37
4. 풍류도 ... 44
제2부 한국의 불교 사상 ... 51
1. 불...
더보기
목차 전체
이 책을 엮어 내며 ... 5
일러두기 ... 16
제1부 한국의 고유 사상 ... 17
1. 신화 ... 19
2. 제천 의식 ... 31
3. 무속 ... 34
1. 정치와 종교의 분화 ... 34
2. 불교·도교와의 습합 ... 37
4. 풍류도 ... 44
제2부 한국의 불교 사상 ... 51
1. 불교의 전래와 수용 ... 53
1. 불교 전래 시기와 사상적 특성 ... 55
2. 삼국 불교의 교학과 신앙 ... 69
2. 신라 유식학의 전개 ... 89
1. 원측과 유식학 ... 92
2. 신·구 유식의 종합 ... 97
3. 의타기성 중심의 삼성설 ... 99
4. 유·무의 통합으로서의 삼무성설 ... 103
3. 신라의 대승기신론 연구 ... 107
1. 중관·유가(유식)의 화회 ... 109
2. 아라야식의 두 가지 의미 ... 115
3. 삼세·아라야식의 새로운 해석 ... 118
4. 부주열반론 사상 ... 126
4. 신라의 화엄학 ... 130
1. '일승의 정의'에 의한 화쟁 사상 ... 132
2. '통합과 화쟁'의 존재론적 근거 ... 139
3. 화엄일승에 의한 통합 사상 ... 154
5. 통일신라의 유식학과 화엄학 ... 160
1. 『기신론』과 화엄학의 유식적 통합 : 태현 ... 162
2. 원효학과 의상학의 기신론적 종합 : 견등 ... 174
6. 고려 천태 사상의 전개 과정 ... 184
1. 제관의 육즉과 실상론 이해 ... 185
2. 의천의 성상겸학과 화쟁 사상 수용 ... 188
3. 요세의 백련사 결사와 실천수행문 ... 192
4. 무기의 불교계 비판과 회통 사상 ... 194
7. 고려 선불교의 성립과 전개 ... 200
1. 정혜결사를 통한 불교개혁운동 ... 201
2. 자성의 공적영지와 성기 ... 208
3. 돈오점수론 ... 212
4. 정혜쌍수론 ... 218
5. 간화경절문 ... 222
8. 조선 전기의 호불론과 삼교론 ... 227
1. 삼교의 원리적인 동일성 ... 229
2. 삼교의 차별성 ... 231
3. 불교의 우월성 ... 234
9. 조선말 삼종선 논쟁 ... 243
1. 임제삼구에 대한 백파의 삼종선 이해 ... 245
2. 삼종선에 대한 초의의 견해와 비판 ... 251
3. 살구과 활구의 이해 차이 ... 258
제3부 한국의 도교 사상 ... 261
1. 도가사상·도교의 도입 ... 263
1. 백제의 도가·도교 사상 ... 263
2. 고구려의 도가·도교 사상 ... 266
3. 신라의 도가·도교 사상 ... 270
4. 통일신라 도당유학생의 도교 사상 ... 274
2. 재초문과 도교 사상 ... 283
1. 재초문의 기본 형식 ... 284
2. 청사에 나타나는 도교적 절대자 ... 287
3. 도 관념의 변용 ... 297
3. 도가 사상의 전개 ... 299
1. 죽림고회의 도가 사상 ... 301
2. 도가 중심의 삼교회통 : 이규보 ... 307
4. 과의도교의 성쇠 ... 319
1. 고려의 도관 ... 321
2. 조선 초기 도관의 철폐와 소격서의 설치 ... 323
3. 소격서의 기능 ... 325
4. 소격서철폐론의 대두 ... 326
5. 소격서철폐운동의 격화 ... 329
6. 소격서복원논쟁 ... 332
5. 수련도교의 전개 ... 335
1. 수련의 방법에 대한 모색 ... 338
2. 선천기와 후천기 ... 341
3. 덕행의 강조 ... 344
4. 역추의 이론 ... 345
5. 성명쌍수론 ... 347
6. 수련도교의 도통 의식 ... 349
7. 한의학적 양생법의 수용 ... 352
6. 조선 유학의 도가 이해 ... 355
1. 도가 사상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 ... 358
2. 도가 사상과 유가 사상의 동이점에 대한 해석 ... 364
3. 도가 사상에 대한 해석방법론상의 특징 ... 369
4. 도가 사상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 372
제4부 한국의 성리학 사상 ... 379
1. 유학의 도입과 전개 ... 381
1. 삼국시대의 유학 ... 382
2. 통일신라 시대의 유학 ... 385
3. 고려 시대의 유학 ... 388
4. 고려 유학의 쇠퇴 ... 399
2. 성리학 수용과 배불론 ... 401
1. 성리학의 수용 ... 402
2. 배불론의 전개 ... 405
3. 정도전과 배불론 저작 ... 408
3. 성리학적 사회질서 확립을 위한 모색 ... 416
1. 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국가운영 체제 설계 ... 416
2.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토대 구축 ... 423
4. 성리학적 실천과 이론의 분화 ... 428
1. 사림파의 실천 지향 ... 428
2. 성리학 이론의 분화 ... 440
5. 이황과 사단칠정 논쟁 ... 453
1. 천명 연구를 통한 인성론의 심화 ... 456
2. 리 중심의 리기론 전개 ... 460
3. 사단칠정 논변의 전개 ... 468
6. 이이와 인심도심 논쟁 ... 485
1. 호발설의 부정과 기발일도설의 전개 ... 487
2. 무실적 경세설과 경장론 ... 494
3. 인심도심 논쟁의 전개 ... 500
7. 예학의 강화 ... 512
1. 예의 기본 정신 ... 514
2. 행위의 구체적 준거로서의 예 ... 518
3. 예에 의한 대의명분과 질서의 강화 ... 521
4. 예의 형식화에 대한 반성 ... 525
8. 퇴·율 학파의 대립과 절충 ... 529
1. 율곡학파와 퇴계학파의 대립 ... 529
2. 퇴계학과 율곡학의 비판과 절충 ... 543
9. 인성물성 논쟁 ... 559
1. 성즉리에 대한 해석 : 성과 리는 같은가, 다른가 ... 563
2. 본연지성·기질지성에 대한 해석의 문제 ... 568
3. 오상론 : 물성에도 오상은 있는가 ... 573
4. 인성과 물성에 관한 견해의 차이 ... 578
10. 새로운 경학 사상의 대두 ... 583
1. 기일원론의 대두와 전개 ... 583
2. 윤휴와 박세당의 탈주자학적 성격 ... 592
3. 조선 양명학의 전개와 특징 ... 605
11. 조선 말기 성리학의 교조적 수호와 좌절 ... 617
1. 이항로 : 주리철학과 척사양이 ... 618
2. 기정진 : 리일원론화에 기초한 개혁론 ... 632
3. 이진상 : 극당으로 간 퇴계주의자 ... 645
4. 전우 : 리의 내재성 강화와 도통의 회복 ... 653
제5부 한국의 실학과 근대사상 ... 661
1. 정주학적 사유에 대한 반성의 단초 ... 663
1. 정치개혁안 ... 664
2. 새로운 사회관의 단서 ... 667
3. 탈정주학의 요소 ... 670
4. 사상적 갈등과 한계 ... 674
2. 성호학파의 형성과 분화 ... 677
1. '주자학의 묵수'와 '자득' ... 679
2. 성리설 논쟁 ... 682
3. 고본대학설과 주희 대학설 ... 688
4. 천주교의 수용과 배척 ... 696
3. 북학 사상과 새로운 세계관 ... 701
1. 실학의 주창 ... 704
2. 기일원론과 만물평등관 ... 707
3. 지전설과 세계관의 전환 ... 710
4. 법고창신의 예술 정신 ... 714
5. 중상론과 새로운 문명 사회 ... 717
4. 정약용과 실학의 집대성 ... 721
1. 성리학의 리기론적 사유틀의 해체 ... 723
2. 조선 성리학 심성론의 비판적 종합 ... 726
3. 새로운 체계의 두 측면 ... 729
4.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존재의 해명 ... 736
5. 태극·상제 관계로 본 존재관의 핵심적 특성 ... 741
5. 최한기 기학의 실학적 성격 ... 746
1. 기학의 학문적 토대와 그 성격 ... 748
2. 기학의 학문 체계와 '기' 개념의 특징 ... 751
3. 기학의 진리관 ... 757
4. 생명천관과 윤리설 ... 761
5. 기학의 탈주자학적 성격 ... 763
6. 기학의 경세관 ... 766
6. 개화 사상의 대두 ... 770
1. 신분질서의 개혁과 국민 역량 강화 ... 772
2. 왕권 중심 체제의 근본적 개혁 논의 ... 776
3. 중국문화중심주의의 극복과 유교 문화의 자부심 ... 779
7. 근대 종교의 모색 ... 784
1. 동학 ... 784
2. 민초들의 메시아와 천지공사 : 증산교 ... 797
3. 대종교 ... 802
4. 세 세상을 위한 정신개벽 : 원불교 ... 808
8. 유학의 경신을 위한 노력 ... 814
1. 박은식 ... 814
2. 장지연 ... 820
3. 신재호 ... 827
부록 ... 839
수록 자료 소개 ... 841
필진 약력 ... 859
인명 찾아보기 ... 86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