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서론 ... 7
1.1 문제의 제기 ... 7
1.2 몇 가지 개념과 범주 ... 9
2.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형성과 전개 ... 14
2.1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형성 조건 ... 14
2.1.1 재일 한국인 노동자의 정치문화적 훈련 양식 ... 14
2.1.2 재일 한국유학생의 대중교육적 실천 전략 ... 17
2.1.3 재일...
더보기
목차 전체
1. 서론 ... 7
1.1 문제의 제기 ... 7
1.2 몇 가지 개념과 범주 ... 9
2.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형성과 전개 ... 14
2.1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형성 조건 ... 14
2.1.1 재일 한국인 노동자의 정치문화적 훈련 양식 ... 14
2.1.2 재일 한국유학생의 대중교육적 실천 전략 ... 17
2.1.3 재일 전문 연극인의 연극 훈련과 수용 ... 22
2.2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전개 과정 ... 32
2.2.1 카프동경지부 연극부 ... 32
2.2.2 무산자사와 무산자극장 ... 34
2.2.3 동지사와 동경조선어극단 ... 35
2.2.4 노동계급사의 해체와 3·1극장 ... 37
2.2.5 동경신극연구회와 조선예술좌 ... 42
2.2.6 동경학생예술좌 ... 47
3.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극 텍스트 구조 ... 52
3.1 희곡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 구조 ... 52
3.1.1 일어체 희곡 텍스트 목록 ... 52
3.1.2 金丹美의 〈황혼의 마을〉과 동시대 농민계급의 몰락 ... 54
3.2 공연 텍스트의 유형과 의미 ... 63
3.2.1 공연 텍스트의 특성 ... 63
3.2.2 창작극의 구조와 의미 ... 67
3.2.2.1 김두용의 〈朝鮮〉 ... 67
3.2.2.2 유치진의 〈빈민가〉 ... 67
3.2.2.3 김상복의 〈漂浪〉 ... 70
3.2.2.4 유치진의 〈소〉 ... 73
3.2.3 번역극의 구조와 의미 ... 76
3.2.3.1 〈이계의 남〉과 〈炭坑夫〉 ... 76
3.2.3.2 오토 뮤라의 〈荷車〉 ... 79
3.2.3.3 〈외쳐라 중국〉과 〈阿片戰爭〉 ... 82
4. 재일 한국인 연극운동의 연극사적 의의 ... 87
5. 결론 ... 92
<부록 1> 金丹美의 〈황혼의 마을〉(1막) ... 99
<부록 2> 朴在成의 〈晩秋〉 ... 12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