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이 책을 펴내면서 ... 5
제1부 개설서를 통해 본 한국사학사의 전통
개설서를 통해 본 한국사학사의 전통 ... 17
1. 한국사 개설서를 통해 한국사학사를 돌아보면서 ... 17
2. 여명기의 개설서와 安廓안확의 『조선문명사朝鮮文明史』 ... 20
3. 미시나 쇼에이의(三品彰英) 『조선사 개설』 ... 30
...
더보기
목차 전체
이 책을 펴내면서 ... 5
제1부 개설서를 통해 본 한국사학사의 전통
개설서를 통해 본 한국사학사의 전통 ... 17
1. 한국사 개설서를 통해 한국사학사를 돌아보면서 ... 17
2. 여명기의 개설서와 安廓안확의 『조선문명사朝鮮文明史』 ... 20
3. 미시나 쇼에이의(三品彰英) 『조선사 개설』 ... 30
(1) 식민주의 사학자들의 개설서들 ... 30
(2) 미시나 쇼에이(三品彰英), 『조선사개설』 ... 30
4. 해방공간의 역사학 - 한국사학사의 새로운 시작 ... 40
(1) 해방 직후의 개설서들에 대한 개요 ... 40
(2) 전석담全錫淡의 『조선사교정朝鮮史敎程』 ... 45
(3) 이병도李丙燾의 『조선사대관朝鮮史大觀』 ... 49
(4) 손진태孫晉泰의 『국사대요國史大要』 ... 54
(5) 이인영李仁榮의 『국사요론國史要論』 ... 60
(6) 해방 공간의 역사학 ... 67
5. 국사 교육 확대에 따라 출판된 교과서류의 개설서들이 남긴 것 ... 69
6. 이기백, 『한국사신론』 - 민족주의와 내재적 발전론의 조화 ... 86
7. 1980년대 이후 유물사관에 입각한 개설서들의 재등장 ... 102
8. 요약과 전망 ... 113
(1) 요약 ... 113
(2) 전망 ... 122
제2부 북한 역사학의 성격
북한 역사학의 성격 ... 129
1. 개항 이전 역사의 시대 구분 ... 131
(1) 원시 사회 ... 131
(2) 노예 소유자 사회 ... 134
(3) 봉건 사회 ... 137
2. 개항 이후 1945년까지의 역사 서술 체계 ... 141
3. 해방 이후 현대사의 서술 체계 ... 164
4. 북한 역사학의 체제 ... 170
전통시대를 바라보는 북한의 역사 인식 ... 181
1. 『한국사신론』과 비교해서 본 『조선통사(상)』의 서술체제 특징 ... 182
2. 북한의 전통 시대 역사 서술에 나타난 특징 ... 185
(1) 상고 시대 ... 185
(2) 삼국 시대 ... 188
(3) 통일 신라 및 후삼국 시대 ... 191
(4) 고려 시대 ... 194
(5) 조선 시대 ... 199
3. 대외 항쟁사와 농민 전쟁의 강조 ... 204
4. 전통문화론 ... 208
5. 사회 발전론과 봉건사회론 ... 212
6. 북한의 역사 서술을 이해할 때 유의할 몇 가지 것들 ... 216
역사 서술에 투영된 북한의 현실 ... 221
1. 개화사의 구성과 서술 ... 222
2. 항일 혁명 투쟁과 '주체사상'의 탄생 ... 226
3.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창건과 김일성의 역할 ... 229
4. 한국전쟁에 관한 서술과 북한의 현실 ... 233
5. 북한의 역사학과 현실의 관계 ... 238
(1) 관념의 역사학 ... 238
(2) 개인 숭배의 역사학 ... 240
제3부 남과북 - 하나의 역사, 두개의 역사학
남북한 역사학의 학문적 통합은 가능한가 ... 247
1. 남북한 역사학의 유사성 ... 249
(1) 민족주의적 경향 ... 249
(2) 17, 8세기 사회 발전론 ... 255
2. 남북한 역사학의 차별성 ... 261
(1) 북한의 정통론 ... 262
(2) 김일성의 개인 숭배와 현대사 인식 ... 265
3. 남북한 역사학의 학문적 통합은 가능한가 ... 267
(1) 남북한 역사학의 학문적 통합은 가능한가? ... 267
(2) 남북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전망 ... 269
부록Ⅰ 참고한 개설서 ... 279
부록Ⅱ 1970년대 이후 출판된 교과서류의 개설서 목록 ... 281
찾아보기 ... 28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