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제1장 서설
서설 - 끼침의 의미와 교과서 ... 18
Ⅰ. 길잡이의 의미 ... 18
Ⅱ. 끼침의 영향력과 문자의 누림 ... 21
Ⅲ. 보고 배우는 것으로의 지향 ... 26
Ⅳ. 우리 교과서의 뒤안길 ... 32
Ⅴ. 전략적 끼침으로서의 교과서 ... 43
Ⅵ. 교과서의 본디와 그 추구하는 것 ... 49
제...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제1장 서설
서설 - 끼침의 의미와 교과서 ... 18
Ⅰ. 길잡이의 의미 ... 18
Ⅱ. 끼침의 영향력과 문자의 누림 ... 21
Ⅲ. 보고 배우는 것으로의 지향 ... 26
Ⅳ. 우리 교과서의 뒤안길 ... 32
Ⅴ. 전략적 끼침으로서의 교과서 ... 43
Ⅵ. 교과서의 본디와 그 추구하는 것 ... 49
제2장 한국의 교과서 변천 과정
한국의 교과서 변천에 대한 연구 ... 60
Ⅰ. 서론 ... 60
Ⅱ. 이론적 고찰 ... 62
1. 관심의 문제 ... 62
2. 연구의 진전 - 선행 연구의 개관을 겸하여 ... 67
Ⅲ. 교과서 출판의 진전 과정 ... 74
1.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 74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75
(2) 근대 교과용 도서의 실현 ... 79
(3) 출판 형식의 특징 ... 100
2. 일본 강점기의 교과용 도서 ... 106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106
(2) 교과서에 나타난 우민화 책략의 증거들 ... 109
(3) 출판 형식의 특징 ... 115
3. 광복 이후의 교과용 도서 ... 122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122
(2) 출판 형식의 특징 ... 129
Ⅳ. 결론 ... 151
제3장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과서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 ... 160
Ⅰ. 서론 ... 160
1. 연구 목적 ... 160
2. 연구 방법 ... 163
3. 시기 구분과 연구의 한계점 ... 166
(1) 시기 구분 ... 166
(2) 연구의 한계점 ... 171
Ⅱ. 미 군정기 교육의 전개와 교과용 도서 편찬 ... 176
1. 한국 교육의 새로운 설계 ... 178
(1) 학무 행정의 성립 ... 178
(2) 교수 요목의 제정과 그 적용 ... 189
2. 교과용 도서의 편찬·발행 ... 204
(1) 교과서 편찬에 따른 당무적 인식 ... 205
(2)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국어 회복 ... 207
(3) 교과용 도서의 편찬·발행 실태 ... 216
Ⅲ. 신생 정부의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와 전시 교육 ... 232
1. 교육 이념 - '홍익 인간'의 구현 ... 232
2.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의 운영 ... 235
(1) 교육 과정의 운영 ... 235
(2) 교과용 도서의 운영 ... 240
3. 전시하의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259
(1) 전시하의 교육 과정 운영 ... 260
(2) 전시하의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265
4. 편수 활동과 그 주변 ... 272
(1) '편수'의 의의 ... 272
(2) 편수 활동의 주변 ... 279
Ⅳ. 결론적 논의 ... 283
(1) 미 군정기 교육의 전개와 교과용 도서 편찬 ... 284
(2) 신생 정부의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와 전시 교육 ... 286
제4장 교과서 편찬 정책과 그 적용 과정
한국의 교과서 편찬 정책과 그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 300
Ⅰ. 서론 ... 300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300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304
Ⅱ. 교과용 도서 편찬 정책의 적용 ... 305
1. 개념의 이해 ... 305
2. 교과용 도서 편찬에서의 규제 적용 ... 309
(1) 법령으로서의 규제 ... 309
(2) 법령 이외의 규제 ... 312
(3) 정형화된 상징성 ... 315
Ⅲ. 교과용 도서 편찬 형식의 적용 ... 316
1. 편찬의 전제 ... 316
2. 편찬 및 체재 적용의 기저(基底)와 그 적용 ... 318
(1) 편찬의 기저 ... 318
(2) 체재 적용의 기저 ... 323
(3) 체재의 적용 ... 328
Ⅳ. 결론적 논의 ... 344
(1) 교과용 도서의 체재 ... 345
(2) 편찬 형식의 정책적 적용 ... 346
(3) 향후의 지향 과제 ... 347
교과서에 적용된 어문 정책의 변천 ... 352
Ⅰ. 글머리 ... 352
1. 말과 글, 어문 정책의 의의 ... 352
2. 교과서는 그 나라 말과 글을 담은 그릇 ... 354
Ⅱ. 교과용 도서에 적용된 어문 정책 ... 358
1. 어문 정책의 적용 과정 ... 360
(1) 어문 정책의 적용기 구분 ... 360
(2) 교과서에 반영된 어문 정책 적용의 흐름 ... 361
Ⅲ. 한글 전용과 교과서 ... 390
1. 광복 직후 - 교과서에서의 되찾은 한글 ... 391
2. 정부 수립 이후 - 한글 전용 정책의 과정 ... 397
(1) 한글 전용 정책의 추진 ... 397
(2) 한글 전용 교과서로 전면 개편 ... 402
Ⅳ. 어문 교육 정책의 방향 ... 408
1. 실험 과정으로서의 어문 정책 ... 408
2. 문자 교육의 과제와 방향 ... 415
(1) 문자 교육의 현황 ... 415
(2) 문자 교육의 과제 ... 418
(3) 문자 교육을 위한 정책적 방향 ... 420
Ⅴ. 맺는 말 ... 425
제5장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교과서
도입을 위한 전제 : 출판 연구와 편집 ... 434
교육 수단의 편집·출판을 위한 이론적 이해 ... 434
출판 연구에 있어 편집의 위상에 관한 연구 ... 437
Ⅰ. 서론 ... 437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437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440
Ⅱ. 출판학과 편집 연구의 상호 관련성 ... 441
1. 출판학 연구 대상으로서의 편집 ... 441
(1) 확대 지향적인 편집 ... 445
(2) 매체 지향적인 편집 ... 450
2. 편집의 학문적 성격 ... 455
(1) 편집과 출판의 결합 ... 455
(2) 편집 연구의 성격 ... 465
Ⅲ. 정보 전달에 있어 편집의 위상 ... 470
1. 정보 전달에 있어 편집의 필연성 ... 471
(1) 정보의 가공 ... 471
(2) 편집의 필연성 ... 473
2. 앞으로의 편집 ... 476
Ⅳ. 결론적 논의 ... 480
교과서 -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전향적(前向的)인식 ... 488
Ⅰ. 글머리 : 책 중의 책 ... 488
Ⅱ. 좋은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교과서 개발 ... 490
1. 편집 저작물로서의 교과서 ... 490
2. 출판 매체로서의 바람직한 지향 ... 494
Ⅲ. 쓰고 읽는 표본으로서의 교과서 - 첨단적 교과서관의 진정한 지향 ... 498
1. 기초 학력의 위기 ... 498
2. 디지털 시대의 교과서 ... 504
Ⅳ. 앞으로의 과제 - 맺음말을 겸하여 ... 507
참고 문헌 ... 511
찾아보기 ... 53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