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편 고대의 자연법
제1장 자연법의 전 단계 ... 18
자연법 이념의 출현 ... 18
'자연' 개념의 변천 ... 19
이념적 자연법과 실존적 자연법의 대립 ... 20
제2장 소피스트들의 자연법 ... 22
실존적 자연법의 시작 ... 22
주관주의와 상대주의 ... 23
민주주의의 인간학적 기초 ... 24
제정법의 상...
더보기
목차 전체
제1편 고대의 자연법
제1장 자연법의 전 단계 ... 18
자연법 이념의 출현 ... 18
'자연' 개념의 변천 ... 19
이념적 자연법과 실존적 자연법의 대립 ... 20
제2장 소피스트들의 자연법 ... 22
실존적 자연법의 시작 ... 22
주관주의와 상대주의 ... 23
민주주의의 인간학적 기초 ... 24
제정법의 상대화 ... 26
비판적-인도주의적 자연법 ... 27
개인주의적-혁명적 자연법 ... 28
제3장 소크라테스 ... 32
주관주의와 상대주의의 극복 ... 32
윤리적 인격성의 심화 ... 33
법과 법률의 관계 ... 35
제4장 플라톤 ... 37
이데아론의 창시자 ... 37
이념적 자연법의 초석 ... 38
권위적 국가론 ... 39
주관적 윤리성의 간과 ... 40
인간·법·국가 ... 42
법률에 대한 새로운 평가 ... 44
제5장 아리스토텔레스 ... 47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 ... 47
목적론적 형이상학 ... 48
이념적 자연법론과 순환논법 ... 49
최고의 '목적'은 국가와 법 ... 51
법과 정의의 관계 ... 52
자연법과 역사성의 문제 ... 53
정의와 평등의 관계 ... 55
행위지배와 귀책론 ... 57
착오의 문제 ... 58
제6장 스토아철학 ... 61
도시국가에서 세계도시로 ... 61
제재개념의 확대 ... 62
참된 법은 '올바른 이성' ... 64
사회성 이론 ... 65
'내면화'의 철학 ... 66
스토아철학의 형식주의의 요소 ... 68
수단과 목적의 관계전도 ... 70
양심에 새겨진 자연법 ... 72
제2편 기독교: 중세의 자연법
제1장 기독교 세계로의 변천: 바울과 아우구스티누스 ... 76
그리스 자연법에 나타난 주지주의 ... 76
주의주의의 등장 ... 78
고대의 유산과 기독교 복음의 만남 ... 80
이데아론을 수용하는 아우구스티누스 ... 81
의지원리의 강화 ... 82
영구법·자연법·속세법 ... 84
제2장 토마스 아퀴나스 ... 88
아리스토텔레스 철할의 수용 ... 88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체계 : 영구법·자연법·인정법 ... 89
자연법의 내용 ... 92
다시 나타나는 순환논법 ... 94
자연법의 내용과 십계명 ... 94
양심의 자유의 주창자 ... 96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적 한계 ... 99
제3장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 ... 102
다시 이성에서 의지로 ... 102
보편성보다는 개별성을 강조하는 사고 ... 105
의지의 독자성 ... 107
이데아론과의 대결 ... 110
이념론적 잔재 ... 112
제1의 자연법 : '신을 증오하지 말라' ... 114
제2의 자연법 : 사회적 규범 ... 116
제1의 자연법과 제2의 자연법의 관계 ... 118
실증주의로 가는 길 ... 120
제4장 윌리엄 오캄 ... 123
유명론의 창시자 ... 123
도덕적 실증주의의 입장 ... 125
불투명한 부분들 ... 128
주의주의에서 법실증주의로 ... 130
어두워지는 인간상 ... 132
제5장 후기 스콜라철학과 근대로의 변천 ... 133
자연법의 '세속화'과정의 진행 ... 133
유명론의 승리 ... 134
현상학적 자연법 ... 136
명령하는 법과 지시하는 법 ... 138
스페인 후기 스콜라철학의 가치객관주의 ... 141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하더라도 타당한 법 ... 143
자연법의 확대 ... 145
종교개혁과 루터의 자연법 ... 147
영구법과 결별하는 자연법 ... 149
존재와 당위의 분리 ... 150
신학에서 법학으로 ... 154
근대자연과학이 자연법에 미친 영향 ... 155
제3편 근대 자연법
제1장 근대 자연법의 기반 ... 160
세속적 자연법의 시대 ... 160
'올바른 이성'의 지시만으로는 부족 ... 162
현실 형성력이 있는 자연법에 대한 요청 ... 164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법 ... 165
제2장 토마스 홉스 ... 168
현실적 질서에 대한 관심 ... 168
법적 안정성의 사상 ... 169
홉스의 인간관 ... 171
권력욕과 상호공포의 산물로서의 국가 ... 172
진리가 아니라 권위가 법을 만든다 ... 173
선한 법률과 올바른 법률 ... 175
홉스의 자연법론의 한계 ... 177
제3장 후고 그로티우스 ... 180
이념적 자연법론의 노선 ... 180
스토아의 영향 ... 182
신이 없더라도 타당한 자연법 ... 184
자연의 소리는 만인의 일치 ... 186
제4장 사무엘 푸펜도르프 ... 189
포괄적 자연법체계의 수립 ... 189
홉스의 체계가 가져온 위험 ... 190
물리세계와 도덕세계의 구별 ... 191
세속적 자연법론의 관철 ... 194
자연법과 도덕신학의 구별 ... 196
합법성과 도덕성의 구별 ... 199
그로티우스 기획의 관철 ... 201
인간의 존엄사상 ... 203
미국 인권 선언에 끼친 영향 ... 205
제5장 고트프리드 빌헬름 라이프니츠 ... 209
법학과 신학 ... 209
법에 대한 입장 ... 211
빗나간 비판 ... 213
신과 신앙에 대한 인식의 차이 ... 215
공리주의적 특징 ... 217
이념적 자연법론의 복원 ... 219
미흡한 결론들 ... 221
제6장 쟝 자크 루소 ... 224
루소와 홉스의 유사성 ... 224
포기할 수 없는 개인의 자유 ... 225
일반의지의 특징 : 이익의 공동성 ... 226
이익의 균등원리와 일치되는 정당성 원리 ... 227
형식주의의 요소 ... 228
루소 체계의 오류 ... 229
제4편 독일 관념론(칸트와 헤겔)
제1장 자연-'법'의 붕괴와 그 실질적 문제들의 존속 ... 232
자연-'법'의 붕괴의 의미 ... 232
법과 도덕의 구별 ... 233
자연법의 법으로서의 성격 상실 ... 234
법의 실정성에 대한 인식 ... 236
자연법의 내용적 관심사의 존속 ... 238
제2장 칸트 ... 239
실질적 윤리문제의 축소 ... 239
정언명령의 문제점 ... 240
형식적 심정윤리 ... 242
칸트식 결의론의 맹점 ... 244
제3장 헤겔 ... 246
역사학파가 남긴 숙제 ... 246
자연법적 관심사의 재수용 ... 247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인 것이다' ... 249
구체적 자유의 현실로서의 국가 ... 250
구체적 윤리성의 두 측면 ... 252
개체이익과 공동이익의 통합은 가능한가? ... 255
해결되지 않는 모순 ... 256
제5편 현재
제1장 실증주의와 신칸트학파 ... 260
실증주의 법개념 ... 260
법메카니즘의 위험성 ... 262
방법론적 형식주의 ... 264
법을 힘에 넘겨주고 마는 상대주의 법철학 ... 265
법의 무개념의 거부 ... 267
제2장 마르크스주의 ... 270
법은 권력의 현상양식 ... 270
'상부구조'로서의 법 ... 271
이데올로기의 이중성 ... 273
국가고사론 ... 276
모순의 은폐 ... 278
국가와 법의 복원 ... 279
당의 권력에의 예속 ... 281
제3장 생의 철학 ... 284
비합리적 힘의 분출 ... 284
권력에의 의지 ... 285
생의 철학의 극단화 ... 287
역사의식의 차이 ... 288
결단으로서의 법 ... 290
역사적 우세는 법의 우세 ... 291
법의 물음의 종언 ... 293
제4장 실존주의 ... 295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 295
하이데거의 '탈존주의' ... 296
책임현상의 탈락 ... 298
당위와 법률의 탈락 ... 300
사르트르의 절대적 자유 ... 303
정언명령의 실존주의적 재판 ... 304
당위와 법률의 재등장 가능성 ... 306
법에 대한 존재의 지시는 만족스러운가? ... 307
제5장 자연법의 혁신과 법신학 ... 309
실질적 가치윤리학 ... 309
실질적 가치윤리학의 내용과 한계 ... 310
사회윤리의 일차적 문제 ... 312
카톨릭 진영으로부터의 자연법 소생 ... 314
프로테스탄트 진영으로부터의 자연법 소생 ... 316
법실무에 반영된 자연법 ... 317
판례에 나타난 자연법적 주장들의 문제점 ... 319
신학적 법논증의 갈래들 ... 319
성서적 지시의 모호함 ... 322
교회의 진리로부터 법을 획득할 수 있는가? ... 324
성서보다는 구체적 논증이 중요 ... 327
제6편 회고
남는 것은 무엇인가? ... 332
자연법론에서 남는 것 ... 332
질서의 정당성 추구 ... 333
의무를 부과하는 당위 ... 334
책임있는 인격에 대한 승인 ... 336
합법칙성의 사상 ... 337
당위의 내용도출 문제 ... 338
사회생활을 위한 의미설계의 시도로서의 당위 ... 339
자연법론의 이데올로기성에 대하여 ... 341
의미설계의 내재적 한계 ... 341
사회설계의 기본틀 ... 342
실증주의의 함정 ... 344
법신학의 함정 ... 345
이데올로기론의 함정 ... 347
구체적 논증의 중요성 ... 348
정신적 투쟁을 보장하는 법제도 ... 350
상대주의를 통한 민주주의의 정당화? ... 351
실정법에 위탁된 과제 ... 352
사항색인 ... 355
인명색인 ... 36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