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B>권호명 : < / B>1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19세기 여항 문예와 조희룡의 예술 세계 - 해제 ... 21
해설 ... 35
석우망년록 ... 41
찾아보기 ... 229
<B>권호명: < / B>2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해설 ... 21
화구암난묵 ... 27
찾아보기 ... 157
<B>권호명: < ...
더보기
목차 전체
<B>권호명 : < / B>1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19세기 여항 문예와 조희룡의 예술 세계 - 해제 ... 21
해설 ... 35
석우망년록 ... 41
찾아보기 ... 229
<B>권호명: < / B>2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해설 ... 21
화구암난묵 ... 27
찾아보기 ... 157
<B>권호명: < / B>3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해설 ... 21
한와헌제화잡존(漢瓦軒題畵雜存) ... 29
찾아보기 ... 183
<B>권호명: < / B>4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해설 ... 21
우해악암고(又海岳庵稿) ... 35
【1】신해년 팔월 이십이일 임자도(荏子島)에 귀양을 가게 되었다. 무릇 눈으로 보는 바와 마음에 기억되는 바를 모두 시로 지어, 애오라지 근심과 울적함을 풀었다… ... 35
【2】관촉사(灌燭寺) 석불(石佛)은 우리나라의 한 장관으로 치는데 석신(石身)이 땅에서 솟아 올랐다고 하니, 이는 천고에 들어 보지 못한 일이다… ... 75
【3】우석선생 또한 이 섬에 유배와 있었는데 나와 함께 정답게 지내면서 날마다 돌을 주워 모으는 것으로 일거리를 삼았다… ... 78
【4】괴석 무더기 속에서 특히 기이한 것 하나를 골라 자리 옆에 놓아 두고 이에 백 자를 제(題)한다 ... 81
【5】섬이 푸른 바다에 임하여 있어 주민들이 때로 용이 하늘에 오르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 84
【6】중양일에 우석선생이 나를 불러 해안 죽림 속에서 술을 마셨다… ... 86
【7】구월 보름 우석선생과 함께 해안에 올라 달을 구경하고 야밤이 넘어 돌아오다 ... 88
【8】구월 이십사일 다시 괴석 밭에 이르러 돌을 싣고 돌아왔는데, 아이 둘과 개 한 마리가 따라왔다 ... 90
【9】객지의 회포가 쌓이고 쌓여 시도 짓지 않고 책도 보지 못하고 다만 와선하며 흐릿한 정신으로 잠만 잘 뿐이었다… ... 91
【10】눈보라가 몰아쳐서 문을 닫고 혼자 앉아 있는데, 마침 마을아이가 들오리를 잡아서 팔러 왔다… ... 94
【11】유산초(柳山樵)는 나의 바다 밖의 귀양 걸음을 가지고 큰 시료(詩料)를 삼으니 장편 대작의 기세가 도도하여 사람을 압도한다… ... 95
【12】죽은 처의 묘가 풍수의 설에 맞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어 적이 이장하고자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 101
【13】섣달 스무아흐렛날 밤에 등잔불을 돋우고 외로이 앉으니 백가지 느낌이 밀려든다… ... 103
【14】섬 서남쪽에 수문동(壽門洞)이 있는데, 산자락이 둘러쳐 감싸여 있고 서남쪽 한 면만이 트여져 큰 바닷가 그 앞에 비껴 있다… ... 104
【15】안개 바다 적막한 물가, 황량한 산 고목 사이의 달팽이마냥 작은 집에서 몸을 움츠려 쓸쓸히 지냄이 마치 병든 중과 같다… ... 107
【16】인근 섬에 대와 돌이 많다. 김용희(金龍羲)가 이곳에 터를 잡고 앉은 언덕 아래에 띠집을 지어 고기잡이로 생계를 삼고 글로 자적(自適)하는데 자못 연하(煙霞)의 기가 있다… ... 110
【17】봄날의 잡시 ... 112
【18】회인절구, 22수 ... 118
【19】시편에는 '백구'(白鷗)라는 글자를 많이 쓰면서도 그 형상을 알지 못했다… ... 131
【20】유월 십삼일에 수도(壽島)에서 돌아오면서 즉흥으로 시 한수를 읊어 같은 배를 탄 젊은이들에게 보여주다 ... 132
【21】나손암(羅蓀菴)이 바다 밖에 있는 나에게 매화를 부탁해 왔기에 그 뜻을 저버릴 수 없어 곧 붓을 들었다… ... 132
【22】섬 남쪽에 용굴이 있다기에 이에 내가 가 보고 시 한 수를 지어 따라 놀러 온 두 소년에게 보여주었다… ... 133
【23】칠월 이십오일 밤에 앉아 귀뚜라미 소리를 듣다가 느낌이 있어서 ... 135
【24】중양절에 동파가 혜주에 있을 때 지은 「병자중구」(丙子重九)시에 차운함. 2수 ... 136
【25】중양절에 김통제사와 함께 수문동에서 노닐었는데 촌로가 홍시와 푸른 배를 대접했다… ... 139
【26】바다 섬 속에 가을이 늦어갈 무렵 문을 닫고 들어앉아 소동파의 시집을 읽었다… ... 141
【27】동파입극상(東坡笠극像)을 자리 오른쪽에 걸어 놓고, 이에 매화 한 폭을 그려 화상 곁에 거니 마치 스승에게 드리는 폐백처럼 보였다… ... 143
【28】바다 산, 가을 밤에 등잔 그림자 아래서 스스로 조그만 자화상을 그려 종유(從遊)하는 홍생(洪生)과 주생(朱生)에게 주어 족자를 만들어 걸게 했다… ... 145
【29】눈 앞에 목도한 것을 쓰다 ... 147
【30】화구암(畵鷗암)에서 대설(大雪) 중에 「동파입극상」을 걸어 두고, 분향하고 차를 올려 홍생, 주생과 함께 동파공의 생일을 기념하였다… ... 154
【31】이날 동파공의 「취성당설」(聚星堂雪)의 금체물시(禁體物詩)의 운을 따라 두 수를 짓다 ... 156
【32】「취성당설」(聚星堂雪)시가 이루어지매, 시령(詩令)이 풀리어 그 시체(詩體)의 모든 물(物)에 관한 자어(字語)가 어느 것이나 불가함이 없게 되니, 이에 장난삼아 금자(禁字)를 사용해 본다… ... 159
【33】섣달 스무여드렛날 우석선생과 더불어 해안에서 설경(雪景)을 감상하고, 돌아와 이를 적어 홍생(洪生), 주생(朱生)에게 보이다 ... 161
【34】섬의 북쪽, 땅이 끝난 곳에 돌이 하나 있는데 너비가 오륙백 칸이요, 그 위에는 작은 돌이 쌓여 산을 이루었다… ... 162
【35】삼월 십사일 바닷가에서 고기잡는 것을 보고 있었다, 이날 집에서 온 편지를 받아 해배(解配)이 명을 듣게 되니, 황감하고 간절한 마음 이길 수 없다 ... 164
【36】마당의 대나무를 작별하며 ... 165
【37】십팔일에 섬을 나가며 ... 165
【38】이십일일 금산사(金山寺)에 이르다 ... 166
【39】다시 금강(錦江)을 건너며 ... 166
일석산방소고(一石山房小稿) ... 169
홰나무 그늘 작은 집에서 눈에 닿는 대로 읊음 ... 169
고금영물근체시(古今詠物近體詩) 초(抄) ... 187
금강잡영, 13수 ... 187
옥순봉 ... 195
사인암 ... 195
선유동 ... 196
연광정 ... 196
촉석루 ... 197
화후재 소장 나비 그림에 제함 ... 198
그림을 논하여 해남 허유에게 줌. 5수 ... 199
승가사 ... 201
패엽사에서 밤을 지내며 ... 202
화장사에서 고려 공민왕의 영정을 알현하다 ... 203
한강 북쪽 가을날 절에서. 3수 ... 203
이평중이 한 매화를 가지고 있어 시로써 바꾸다. 2수 ... 206
매화. 6수 ... 207
반딧불 ... 211
귀뚜라미 소리를 들음 ... 211
예림갑을록(藝林甲乙錄) 제화시(題畵詩) ... 213
북산 김수철(金秀哲)의 「매우행인도」에 제함 ... 213
혜산 유숙(劉淑)의 「소림청장도」에 제함 ... 214
희원 이한철(李漢喆)의 「죽계선은도」에 제함 ... 214
하석 박인석(朴寅碩)의 「고촌모애도」에 제함 ... 215
자산 조중묵(趙重默)의 「추림독조도」에 제함 ... 215
학석 유재소(劉在韶)의 「추수계정도」에 제함 ... 216
고람 전기(田琦)의 「추산심처도」에 제함 ... 217
소치 허유(許維)의 「추강만촉도」에 제함 ... 217
찾아보기 ... 219
<B>권호명: < / B>5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해설 ... 21
수경재해외적독(壽鏡齋海外赤牘) ... 31
【1】백도(伯度)에게 ... 31
【2】석여(錫汝)에게 ... 32
【3】김군(金君)에게 ... 33
【4】소산(小山)에게 ... 35
【5】만취(晩翠)에게 ... 36
【6】석경(石經)에게 답함 ... 38
【7】산초(山樵)에게 답함 ... 39
【8】지도(智島) 진장(鎭將)께 ... 41
【9】경집(景集)에게 답함 ... 43
【10】산초(山樵)에게 ... 44
【11】대숙(大叔)에게 ... 46
【12】정암(鼎암)에게 답함 ... 48
【13】태석(泰碩)에게 답함 ... 49
【14】영이(永而)에게 ... 50
【15】손암(蓀菴)에게 답함 ... 52
【16】석경(石經)에게 답함 ... 54
【17】계선(繼先)에게 답함 ... 57
【18】열경(悅卿)에게 답함 ... 58
【19】경선(景先)에게 답함 ... 60
【20】강생(姜生)에게 답함 ... 61
【21】경미(景眉)에게 답함 ... 62
【22】석경(石經)에게 답함 ... 63
【23】오사주인(梧社主人)에게 답함 ... 64
【24】주려(周旅)에게 답함 ... 66
【25】임령(林令)에게 답함 ... 67
【26】만취(晩翠)에게 답함 ... 69
【27】석경(石經)에게 답함 ... 70
【28】고람(古藍)에게 답함 ... 71
【29】산초(山樵)에게 답함 ... 73
【30】사원(士元)에게 답함 ... 75
【31】열경(悅卿)에게 답함 ... 76
【32】손암(蓀菴)에게 답함 ... 78
【33】산초(山樵)에게 답함 ... 79
【34】하경(夏卿)에게 답함 ... 81
【35】지도(智島) 진장(鎭將)께 답함 ... 82
【36】혜사(蕙史)에게 답함 ... 83
【37】산초(山樵)에게 답함 ... 84
【38】경미(景眉)에게 답함 ... 86
【39】열경(悅卿)에게 답함 ... 88
【40】산초(山樵)에게 답함 ... 89
【41】학손(鶴孫)에게 답함 ... 91
【42】아들에게 답함 ... 92
【43】이선(而善)에게 답함 ... 93
【44】지도(智島) 진장(鎭將)께 ... 94
【45】석경(石經)에게 ... 96
【46】임생(林生)에게 ... 97
【47】경집(景集)에게 ... 99
【48】춘경(春卿)에게 답함 ... 100
【49】홍생(洪生)에게 ... 102
【50】남쪽에서 돌아온 후 홍생(洪生)에게 답함 ... 110
【51】희조(喜祚)에게 답함 ... 112
우봉척독(又峰尺牘) ... 115
서(序)·기(記) ... 157
【1】그림을 논하여 해남 허생에게 준 시에 대하 서(論畵贈海南許生詩序) ... 157
【2】소은서(小隱序) ... 159
【3】수여당 작은 모임에 대한 서(睡餘堂小集序) ... 160
【4】우현재시초서(又玄齋詩초序) ... 162
【5】우일동합기(又一東閤記) ... 164
【6】이향견문록서(里鄕見聞錄序) ... 168
【7】겸산당영물근체서(兼山堂詠物近體序) ... 171
찾아보기 ... 177
<B>권호명: < / B>6
『조희룡전집』에 부치는 서(序) ... 15
해설 ... 21
호산외기(壺山外記) ... 29
호산외기서(壺山外記序) ... 29
【1】박태성전(朴泰星傳)·박수천전(朴受天傳) ... 32
【2】김수팽전(金壽彭傳) ... 37
【3】유세통전(庾世通傳) ... 40
【4】김신선전(金神仙傳) ... 43
【5】이상조전(李湘藻傳) ... 48
【6】최북전(崔北傳) ... 59
【7】이단전전(李亶佃傳) ... 60
【8】김억전(金檍傳)·임희지전(林熙之傳) ... 62
【9】권효자전(權孝子傳) ... 67
【10】이익성전(李益成傳) ... 69
【11】김홍도전(金弘道傳) ... 74
【12】김종귀전(金鍾貴傳) ... 77
【13】박영석전(朴永錫傳) ... 81
【14】김석손전(金석孫傳) ... 83
【15】김완철전(金完喆傳) ... 85
【16】장우벽전(張友璧傳) ... 88
【71】김영면전(金永冕傳) ... 91
【18】박기연전(朴基淵傳) ... 92
【19】조신선전(曺神仙傳) ... 99
【20】엄열부전(嚴烈婦傳) ... 100
【21】김완전(金琬傳) ... 104
【22】이양필전(李陽馝傳) ... 105
【23】강치호전(姜致祜傳) ... 108
【24】이흥윤전(李興潤傳) ... 109
【25】천수경전(千壽慶傳) ... 111
【26】장혼전(張混傳) ... 112
【27】왕한상전(王漢相傳) ... 115
【28】이동전(李同傳) ... 118
【29】김양원전(金亮元傳) ... 122
【30】이재관전(李在寬傳) ... 128
【31】유동자전(劉童子傳) ... 130
【32】장오복전(張五福傳)·천흥철전(千興喆傳) ... 135
【33】엄계흥전(嚴啓興傳) ... 141
【34】조수삼전(趙秀三傳) ... 143
【35】오창열전(吳昌烈傳) ... 145
【36】신두병전(申斗柄傳) ... 147
【37】전기전(田琦傳) ... 149
【38】농산대사전(聾山大師傳) ... 152
【39】박윤묵전(朴允默傳) ... 154
찾아보기 ... 15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