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국군 관련 과제
전쟁중 국군의 충원과 교육훈련 / 박일송
1. 서론 ... 3
2. 전쟁 발발 이전의 병역제도와 충원 및 교육훈련 과정 ... 6
(1) 국방경비대의 창설과 모병 ... 6
(2) 국군의 창설과 병역법의 제정 ... 15
3. 전쟁 초기 충원 및 훈련과정 : 1950년 6월~11월 ... 25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국군 관련 과제
전쟁중 국군의 충원과 교육훈련 / 박일송
1. 서론 ... 3
2. 전쟁 발발 이전의 병역제도와 충원 및 교육훈련 과정 ... 6
(1) 국방경비대의 창설과 모병 ... 6
(2) 국군의 창설과 병역법의 제정 ... 15
3. 전쟁 초기 충원 및 훈련과정 : 1950년 6월~11월 ... 25
(1) 지연전 단계에서의 충원과 훈련 ... 26
(2) 북진과 국군의 팽창 : 1950년 9월~12월 ... 32
4. 국민방위군과 병역법의 개정 : 1950년 12월~1951년 6월 ... 35
5. 전선의 안정과 교육훈련의 강화 : 1951년 6월~1952년 9월 ... 41
6. 국군의 확장과 징집의 실시 : 1952년 9월~1953년 7월 ... 46
7. 결론 ... 51
학도의용군의 활동유형 분석 / 손규석
1. 머리말 ... 55
2. 학도의용군의 형성과 발전과정 ... 58
(1) 학도의용군의 기원과 학도호국단 결성 ... 58
(2) 학도의용군의 발족과 변화과정 ... 61
3. 전시 학도의용군의 활동유형 ... 64
(1) 정규작전 수행 ... 65
(2) 비정규작전(유격전) 수행 ... 77
(3) 공비토벌작전 수행 ... 79
(4) 정훈공작 및 선무활동 수행 ... 81
4. 전시활동에 대한 평가 ... 84
(1) 병력충원의 역할 ... 84
(2) 전황반전의 역할 ... 85
5. 맺음말 ... 88
전쟁을 전후한 첩보부대의 조직과 활동 / 조성훈
1. 머리말 ... 91
2. 전쟁이전 첩보전 ... 93
(1) 첩보 조직 ... 93
(2) 첩보 수집활동 ... 97
3. 전쟁시기 첩보부대의 조직과 활동 ... 107
(1) 조직 ... 107
(2) 교육과 파견 규모 ... 113
(3) 성과 ... 118
(4) 휴전 후 부대 해산과 재편 ... 126
4. 맺음말 ... 128
제2부 북한군 관련 과제
해방 후 중국 동북지방 조선인 부대의 활동과 북한입국 / 염인호
1. 머리말 ... 133
2. 사단의 창설과 長春 圍困 및 衛戌 ... 136
(1) 사단의 창설 ... 136
(2) 長春 圍困戰 參戰 ... 146
(3) 長春 衛戌 활동과 訓練 ... 160
3. 북한으로의 귀국 ... 163
(1) 귀국의 결정 ... 163
(2) 부대원들의 귀국 열망의 원인 ... 171
(3) 귀국 준비 활동 ... 180
4. 맺음말 ... 188
북한군의 기갑부대 운용 / 박기련
1. 서론 ... 191
2. 북한군 기갑부대의 창설 ... 193
(1) 제105기갑여단 ... 193
(2) 독립 전차연대 창설 및 16, 17기갑여단 ... 202
(3) 전차병 훈련 ... 202
3. 대전 선까지 기갑부대 운용 ... 204
(1) 제1단계 작전(개전-한강) ... 204
(2) 제2단계 작전(한강-대전) ... 215
4. 대전 선에서 낙동강 선까지 기갑부대 운용 ... 226
(1) 북한군의 상황판단 및 작전 방침 ... 226
(2) 북한군의 낙동강 방어선까지의 진출 ... 227
5. 낙동강교두보 형성 이후의 북한군 전차운용 ... 229
(1) 북한군 전차 손실 및 보충 현황 ... 229
(2) 미군의 기갑전력 증원 ... 230
(3) 낙동강 전선에서 북한군 기갑 운용 ... 230
(4) 인천상륙 작전 시 기갑부대 운용 ... 234
(5) 제16기갑 및 17기갑 여단작전 ... 235
6. 결론 ... 242
남한지역에서 북한의 전시동원 / 배경식
1. 머리말 ... 249
2. 한국전쟁의 발발과 북한의 전시동원정책 ... 252
(1) 북한의 전쟁인식과 전시동원정책의 기본방향 ... 252
(2) 전시동원의 논리와 선전방법 ... 258
3. 전시동원활동 ... 266
(1) 인력동원 ... 266
(2) 물자동원 ... 280
4. 전시동원과정의 문제점 ... 283
5. 맺음말 ... 291
자료 : 「인민의용군을 조직할 데 대하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사위원회 제4차회의에서 한 결론, 1950년 7월 1일) ... 293
북한군의 양민학살에 관한 연구 / 김행복
1. 서론 ... 295
2. 선행연구의 양민 피해 현황 ... 301
(1) 내무부 자료상의 민간인 피해 현황 ... 301
(2) 기타 자료상의 민간인 피해 현황 ... 301
3. 남침 초기의 양민 학살 ... 303
(1) 인민군의 서울 점령 ... 303
(2) 점령정책과 좌익지하조직의 발호 ... 305
(3) 바닥 빨갱이의 출현 ... 307
(4) 반동분자의 색출과 인민재판 ... 310
(5) 학살사례 ... 315
4. 후퇴기의 양민 학살 ... 318
(1) 절체절명의 북한군 ... 318
(2) 학살사례 ... 322
5. 북한지역서의 양민 학살 ... 329
(1) 유엔군 협력자 처리 ... 329
(2) 외국인 학살 ... 330
(3) 종교인 학살 ... 333
6. 결론 ... 340
제3부 주변국 관련 과제
주북한 소련군사고문단의 북한군 지원활동(1946~1953년) / 안승환
1. 머리말 ... 345
2. 소련의 대외군사지원과 군사고문단의 임무 ... 356
3. 주북한 소련군사고문단의 조직 ... 364
(1) 군사고문단 조직과 지휘체계, 주요 군사고문들 ... 364
(2) 군사고문 선발과 파견 ... 367
(3) 고문단 규모와 성격 ... 370
(4) 군사고문의 기본사업 ... 383
(5) 군사고문의 주요 협력자들 ... 387
(6) 군사고문 입북시기와 직책(사례 연구 1) ... 391
(7) 군사고문의 북한군내 정탐과 통제장악 활동(사례연구 2) ... 397
4. 주북한 소련군사고문단의 활동 ... 404
(1) 1946년 중순~1948년 12월 : 북한군 창설과 훈련 지원 ... 404
(2) 1949년 1월~1950년 4월 : 북한군 증강 지원 ... 408
(3) 1950년 5월~1950년 6월 : 북한군 남침준비 지원 ... 422
(4) 1950년 7월~1950년 10월 : 북한군 초기전투 지원 ... 441
(5) 1950년 11월~1953년 7월 : 북한군 후방 및 보충 지원 ... 455
5. 맺음말 ... 465
전쟁기 駐韓美軍事顧問團(KMAG)의 활동 / 박동찬
1. 머리말 ... 473
2. 주한군사고문단의 조직과 임무 ... 476
(1) 조직 ... 476
(2) 임무 ... 481
3. 주한미군고문단의 활동 ... 484
(1) 한국군 작전지원 ... 484
(2) 한국군 교육 및 훈련 지원 ... 490
(3) 한국군 군수지원 ... 500
4. 맺음말 ... 504
일본의 대 유엔군 육상지원 활동 / 田中恒夫
1. 서론 ... 507
2. 전쟁발발 직후(1950년 6월 25일~1950년 8월) - 정신적 협력 ... 509
3. 강화조약발효까지(1950년 8월~1952년 4월) - 적극적 협력 ... 512
4. 강화조약발효 후(1952년 8월~1953년 7월) - 협력 계속 ... 516
5. 결론 ... 519
일본 특별소해대 활동 / 谷村文雄
1. 머리말 ... 541
2. 제2차 대전후 美 해군의 대기뢰전 태세 ... 542
3. 점령하에서 일본의 해상활동 ... 545
4. 점령군으로부터 한반도해역에 대한 소해활동 명령 ... 546
5. 원산상륙작전의 소해작업 ... 550
6. 제2소해대 귀국과 일본정부의 대응 ... 555
7. 특별소해대 파견의 교훈 ... 557
(1) 미 해군의 대기뢰전 상황판단 과오 ... 557
(2) 특별소해대 임무편성 취급 ... 558
(3) 특별소해대지휘관의 고뇌 ... 559
8. 맺음말 ... 560
전쟁기 중국지도부와 북한지도부 사이의 모순과 갈등 / 梁鎭三
1. 시작하는 말 ... 575
2. 중국군의 출병을 둘러싼 갈등 ... 577
3. 작전통수권을 둘러싼 중국과 북한의 갈등 ... 587
4. 38선을 넘은 후, 계속 남진을 할 것인가에 대한 갈등 ... 596
5. 철로 운송 관리체제를 둘러싼 갈등 ... 603
6. 정전협정의 체결 시기를 둘러싼 갈등 ... 613
7. 맺음말 ... 623
영문제목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