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4
Ⅰ. 해방전 시나리오 연구의 문제점 ... 11
Ⅱ. 조선 사실주의 영화의 준비단계 ... 23
1. 영화의 도입과 근대화의 예술의식 형성 ... 25
1) 영화의 유입에 따른 근대화 ... 25
2) 개화기의 극장문화 ... 27
3) 개화기의 예술문화에 대한 의식 ... 30
2. 신파극과 영화의 접목 ... 37
1)...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4
Ⅰ. 해방전 시나리오 연구의 문제점 ... 11
Ⅱ. 조선 사실주의 영화의 준비단계 ... 23
1. 영화의 도입과 근대화의 예술의식 형성 ... 25
1) 영화의 유입에 따른 근대화 ... 25
2) 개화기의 극장문화 ... 27
3) 개화기의 예술문화에 대한 의식 ... 30
2. 신파극과 영화의 접목 ... 37
1) 신파극의 사실주의적 경향들 ... 37
2) 연쇄극의 출현 ... 41
3. 영화 속에 나타난 사실주의 정신의 구현 ... 47
1) 1920년-1930년대 조선에서 사실주의의 개념 ... 47
2) 해방전 조선 사실주의 영화의 현황 ... 65
Ⅲ. 조선 시나리오의 태동 ... 73
1. 시나리오의 준비단계로서 영화소설의 등장과 그 개념 ... 75
2. 소설과 영화소설의 표현기법 차이 ... 80
3. 영화소설과 시나리오 형식의 차이 ... 97
Ⅳ. 해방전 조선 사실주의 시나리오 분석 ... 125
1. 해방전 조선 시나리오 개괄 ... 128
2. 해방전 조선 사실주의 시나리오 특성에 대한 연구 ... 136
1) 근대정신 ... 137
2) 사조 ... 140
3) 구성 ... 142
4) 인물 ... 144
5) 대사 ... 146
3. 해방전 조선 사실주의 시나리오 작법 분석 ... 153
1) 영화소설 (유랑)의 시나리오작법 분석 ... 161
2) 촬영대본 (탄식하는 해골)의 시나리오작법 분석 ... 187
3) 현대시나리오 (황무지)의 시나리오작법 분석 ... 221
Ⅴ. 맺음말 ... 241
참고문헌 ... 247
부록Ⅰ. 해방전 극영화 제작현황 목록 ... 257
부록Ⅱ. 영화소설 (유랑) ... 265
부록Ⅲ. 콘티뉴이티식 시나리오 (탄식(歎息)하는 해골(骸骨)) ... 3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