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총론편
어법 연구에 관한 漫談 / 呂叔湘 ... 17
대비를 통한 어법연구 / 呂叔湘 ... 35
Ⅰ. 중국어와 외국어의 대비 ... 35
Ⅱ. 현대중국어(現代漢語)와 고대중국어(古漢語)의 대비 ... 49
Ⅲ. 표준어와 방언의 대비 ... 52
Ⅳ. 표준어 내부에서의 대비 ... 54
Ⅴ...
더보기
목차 전체
총론편
어법 연구에 관한 漫談 / 呂叔湘 ... 17
대비를 통한 어법연구 / 呂叔湘 ... 35
Ⅰ. 중국어와 외국어의 대비 ... 35
Ⅱ. 현대중국어(現代漢語)와 고대중국어(古漢語)의 대비 ... 49
Ⅲ. 표준어와 방언의 대비 ... 52
Ⅳ. 표준어 내부에서의 대비 ... 54
Ⅴ. 맺음말 ... 56
朱德熙 先生의 어법연구에 관한 논술 / 馬慶株 ... 61
Ⅰ. 시야(眼界) ... 61
Ⅱ. 현대중국어 어법연구의 대상 ... 64
Ⅲ. 중국어어법의 특징과 어법체계 ... 68
Ⅳ. 중국어 어법학사(漢語語法學史) ... 74
Ⅴ. 서방어법학 유파 ... 77
Ⅵ. 어법연구방법 ... 80
Ⅶ. 품사(詞類), 어소와 형태음위(形態音位) ... 88
Ⅷ. 결구(結構), 어의(語義), 표달(表達) 세 가지 평면 ... 96
Ⅸ. 전면적인 중국어어법 연구 ... 101
Ⅹ. 학풍과 논문창작 ... 105
어법연구의 시야 확대 / 文삭·胡附 ... 113
중국어 어법연구의 회고 / 공千炎 ... 121
중국어 어법연구의 전망 / 邢福義 ... 147
Ⅰ. 목표 ... 147
Ⅱ. 요구 ... 152
Ⅲ. 사고의 방향 ... 158
Ⅳ. 국면 ... 162
Ⅴ. 결어 ... 168
어떻게 어법논문을 읽을 것인가? / 徐樞 ... 169
부록 - 어법연구부분 논문목록 ... 183
어법논문을 쓰는 몇 가지 문제에 관한 담론 / 饒長溶 ... 197
Ⅰ. 간행물의 성질과 문장 ... 197
Ⅱ. 논제의 선택 ... 201
Ⅲ. 자료의 수집과 처리 ... 207
Ⅳ. 문장의 배치 ... 210
어법연구의 10大 관계 / 范曉 ... 215
Ⅰ. 형식과 의미 ... 215
Ⅱ. 정태와 동태 ... 218
Ⅲ. 생성과 분석 ... 221
Ⅳ. 결구와 기능 ... 224
Ⅴ. 언어와 말 ... 226
Ⅵ. 중국어와 타 민족어 ... 229
Ⅶ. 組合과 집합(聚合) ... 232
Ⅷ. 규칙과 예외 ... 236
Ⅸ. 사실과 이론 ... 239
Ⅹ. 계승과 창조 ... 242
시각편
경음(經音)현상에서 본 어음과 어법연구의 관계 / 沈炯 ... 249
'字'와 중국어의 어의문법 / 徐通장 ... 265
Ⅰ. '字'는 중국어 문법결구의 기본단위 ... 265
Ⅱ. '字'의 결구 특징 ... 271
Ⅲ. 중국어의 '字'와 '단어' ... 276
Ⅳ. '字'와 중국어 문법결구의 ... 283
Ⅴ. '字'와 중국어 어의문법의 결구틀 ... 292
語義語法의 범주 / 胡明揚 ... 299
중국어 어법범주 연구에 대하여 / 劉叔新 ... 307
논리와 어법 / 王維賢 ... 327
인지심리(認知心理)와 어법연구 / 沈家煊 ... 351
Ⅰ. 어법결구의 인지기초 ... 351
Ⅱ. 어순과 시간순서 ... 352
Ⅲ. 긍정/부정과 수량등급 ... 355
Ⅳ. 어의중점과 注意초점 ... 360
Ⅴ. 인지에서 출발하여 어법을 연구하다 ... 363
자연언어 이해와 어법연구 / 兪士汶 ... 367
Ⅰ. 자연언어 이해의 연구대상 ... 367
Ⅱ. 당대 자연언어 처리의 기본 ... 368
Ⅲ. 어법분석이 자연언어 처리에서 갖는 위치 ... 370
Ⅳ. 자연언어 처리를 지향하는 어법연구 ... 372
계통기능어법과 중국어 어법연구 / 胡壯麟 ... 383
Ⅰ. 급물성(及物性) ... 383
Ⅱ. 어태(語態) ... 391
Ⅲ. 어기(語氣) ... 394
Ⅳ. 情態 ... 396
Ⅴ. 主位 ... 398
Ⅵ. 정보이론 ... 401
Ⅶ. 연결(銜接) ... 403
어용과 어법연구 / 沈家煊 ... 411
Ⅰ. 무엇이 어용학인가? ... 411
Ⅱ. 어용과 어법연구 ... 413
Ⅲ. "不暖和"와 "足量准則" ... 414
Ⅳ. "好不××"과 "禮貌原則" ... 416
Ⅴ. "但/而"와 "언어행위" ... 418
Ⅵ. 어용법에서 어법에 ... 421
活語어법연구의 성질, 범위와 대상 / 左思民 ... 425
현대중국어어법 규범문제 / 鄒韶華 ... 443
Ⅰ. 현대중국어어법 규범의 기준 ... 443
Ⅱ. 건국이래 어법규범작업 개괄 ... 444
Ⅲ. 어법규범의 범위와 원칙 ... 448
방법편
층차(層次)·어법단위와 분포특징 / 馬慶株 ... 455
Ⅰ. 층차(層次) ... 455
Ⅱ. 어법단위 ... 462
Ⅲ. 분포특징 ... 468
변환, 어의특징과 어의지향 / 馬慶株 ... 481
Ⅰ. 변환 ... 481
Ⅱ. 어의특징 ... 484
Ⅲ. 어의지향 ... 499
蘊含, 預設과 寓義 / 石安石 ... 503
문법空位와 성분찾기 / 袁毓林 ... 519
Ⅰ. 술위결구와 문법空位 ... 519
Ⅱ. 空范疇연구 ... 523
Ⅲ. 성분 찾기 및 그 어의표시 ... 528
Ⅳ. 명사의 어의결구 ... 533
岐義 - 어법연구의 돌파구 / 邵敬敏 ... 541
Ⅰ. 연구개황 ... 542
Ⅱ. 기의유형 ... 548
Ⅲ. 기의분화의 방법 ... 552
Ⅳ. 기의제거의 수단 ... 562
어떻게 口語句型을 정리하고 귀납시킬 것인가 / 陳建民 ... 567
Ⅰ. 휴지법(停頓法) ... 567
Ⅱ. 환원법(還原法) ... 572
Ⅲ. 교정법(校正法) ... 580
전제편
중국어 품사 분류 / 陸儉明 ... 589
Ⅰ. 서문 ... 589
Ⅱ. 품사 분류 기준 ... 590
Ⅲ. 분류 전 명확히 해야할 몇 가지 문제 ... 594
Ⅳ. 중국어 품사 大系와 구체적 분류기준 ... 602
Ⅴ. 단어의 겸류, 예외현상과 분류 곤란한 단어에 관하여 ... 605
동사연구 述要 - 吳爲章 ... 609
Ⅰ. 동사의 중요작용 ... 609
Ⅱ. 동사연구 범위 ... 614
Ⅲ. 동사차류(次類)의 연구 ... 618
Ⅳ. 동사연구 방법 ... 639
Ⅴ. 동사연구의 전경 ... 644
허사에 관한 연구 / 馬眞 ... 651
Ⅰ. 분류 예시 ... 651
Ⅱ. 허사연구의 세 가지 방면 ... 668
사조 연구 / 馬慶株 ... 675
Ⅰ. 어법단위에 있어서의 사조의 중요성 ... 675
Ⅱ. 사조 연구 각도 ... 676
Ⅲ. 사조의 연구방법 ... 690
時間方所 / 邢福義, 李向農, 儲澤祥 ... 693
Ⅰ. 시간(時間) ... 693
Ⅱ. 방소(方所) ... 700
Ⅲ. 결론 ... 706
문장 : 세 가지 평면적 어법 연구대상 / 施關감 ... 709
Ⅰ. 두 가지 관점 ... 710
Ⅱ. 두 가지 문장 ... 713
Ⅲ. 어언의 문장은 어디에 있는가 ... 734
句型硏究에 관하여 / 李臨定 ... 741
특수구식연구 / 宋玉柱 ... 753
Ⅰ. 현상황과 문제 ... 753
Ⅱ. 몇 가지 터득한 것 ... 751
복구 / 邢福義 ... 765
Ⅰ. 복구와 단구 ... 765
Ⅱ. 복구관계사어와 복구관계구별 ... 773
Ⅲ. 복구의 어표(語表)·어리(語里)와 어치(語値) ... 779
Ⅳ. 결론 ... 785
의문구 연구 / 邵敬敏 ... 787
Ⅰ. 연구개황 ... 787
Ⅱ. 의문구 분류 ... 790
Ⅲ. 의문어기사의 연구 ... 795
Ⅳ. 의문점과 대답에 관한 연구 ... 798
Ⅴ. 의문정도에 관한 연구 ... 801
Ⅵ. 의문구 내부 유형에 관한 연구 ... 804
Ⅶ. 특수의문구 연구 ... 811
어단연구 / 沈開木 ... 817
후기 / 馬慶柱 ... 83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