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의 사상가 10人'을 출간하며 ... 5
남명 사상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 오이환 ... 15
1. 머리말 ... 15
2. 연구성과 ... 16
1) 시대 및 형태별 ... 19
2) 전공 및 게재지별 ... 20
3. 연구 경향 ... 22
4. 선정한 논문 ... 33
5. 앞으로의 연구 과...
더보기
목차 전체
'한국의 사상가 10人'을 출간하며 ... 5
남명 사상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 오이환 ... 15
1. 머리말 ... 15
2. 연구성과 ... 16
1) 시대 및 형태별 ... 19
2) 전공 및 게재지별 ... 20
3. 연구 경향 ... 22
4. 선정한 논문 ... 33
5. 앞으로의 연구 과제 ... 39
제1부 남명과 그 학맥
남명 조식 선생의 생애와 학문정신 / 김충열 ... 49
1. 처사로 곧게 살아간 생애 ... 49
2. 실천을 중시한 주경과지학(主敬果義之學) ... 53
3. 고고하면서도 우국애민한 선비정신 ... 56
4. 사림과 국가에 끼친 영향과 공적 ... 59
1) 처사상(處士像)의 확립 ... 59
2) 사존관비(士尊官卑)의 가치관 조성 ... 61
3) 영재교육과 국난극복 ... 63
5. 남명의 상소문 ... 65
1) 단성소丹城疏 ... 65
2) 선조에게 올린 마지막 헌책 ... 66
6. 국왕의 사제문 및 선비우대정책 ... 70
1) 사제문(賜祭文) ... 70
2) 선비우대정책 ... 72
7. 대곡 성운이 쓴 묘갈문 ... 73
남명 조식과 남명학파 / 이수건 ... 79
1. 문제 제기 ... 79
2. 조식의 가계와 생애 ... 86
3. 조식의 사상과 경세관 ... 96
1) 조식의 기질과 사상 ... 96
2) 조식의 현실 대응 자세와 경세관(經世觀) ... 108
4. 남명학파와 퇴계학파 및 기호학파와의 관계 ... 122
1) 남명학파의 성립 ... 122
2)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와의 관계 ... 127
3) 남명학파와 기호학파와의 관계 ... 139
5. 맺음말 ... 146
제2부 남명의 경의사상
남명 사상의 특징 / 이상필 ... 151
1. 경의(敬義) 사상 ... 151
1) 시살적(시殺的) 존양성찰(存養省察) ... 154
2) 방단적(方斷的) 처사접물(處事接物) ... 162
3) 경(敬)과 의(義)의 상호관련성 ... 165
2. 존양성찰(存養省察)의 방식과 그 인격상 ... 167
1) 인귀관(人鬼關)과 몽교관(夢覺關) ... 167
2) 노장 사상 수용의 의미 ... 169
3) 추상열일(秋霜烈日)·벽립천인(壁立千인)의 기상 ... 178
3. 출처관(出處觀)과 현실지향적 성향 ... 182
1) 엄정한 출처관 ... 182
2) 사회적 실천지향과 현실비판 ... 191
4. 학문 방법상의 특징 ... 198
1) 교학상(敎學上)의 개오식(開悟式) 방법 ... 198
2) '정주후불필저술(程朱後不必著述)'의 태도 ... 201
남명 조식의 『학기도』와 도학 체계 / 금장태 ... 204
1. 『학기도』의 의미 ... 204
2. 『학기도』의 성립과 남명 성리학의 체계 ... 207
1) 『학기도』의 성립 ... 207
2) 남명 사상의 학문적 기초 ... 214
3. 『학기도』의 구성과 체계 ... 219
1) 『학기유편(學記類編)』24도圖의 구조와 성격 ... 219
2) 학기육도學記六圖와 학기십도學記十圖의 구성 ... 227
4. 『학기도』의 성리학적 개념과 쟁점 ... 234
1) 태극(太極) - 리기론적(理氣論的) 이해 ... 234
2) 심성론적(心性論的) 이해 ... 239
5. 『학기도』의 수양론적(修養論的) 개념 ... 244
1) 경(敬)·성(誠)의 개념과 실천 방법 ... 244
2) 의(義)의 개념과 실천 방법 ... 249
6. 『학기도』와 『성학십도』의 비교 ... 253
남명학파의 실학사상 연구 / 권인호 ... 257
1. 서론 ... 257
2. 시대적 상황과 성리학 및 실학 ... 260
3. 남명 조식의 실학적 학문사상 ... 264
1) '부賦'를 중심으로 한 민본사상 ... 264
2) '상소문'에 나타난 우환의식(憂患意識)의 실학사상 ... 266
3) 『학기유편(學記類編)』의 실학정신 ... 273
4. 남명의 제자와 사숙인의 실학사상 및 그 연원과 계승 ... 276
1) 내암 정인홍의 의병과 '상소문'에서의 실학사상 ... 276
2) 동강 김우옹의 『속자치통감강목』편찬과 실학적 역사의식 ... 282
3) 미수 허목의 학문 경향과 그 연원 ... 286
4) 경세치용 학파와 성호 이익의 실학사상적 연원 ... 291
5. 결론 ... 300
남명 '경의(敬義)' 사상의 기저로서의 정좌수행 / 손병욱 ... 303
1. 서론 ... 303
2. 남명 '경의(敬義)' 사상의 본질 ... 304
1) '경의' 사상의 내용 ... 304
2) '경의' 사상의 성격 ... 311
3. 남명의 정좌수행(靜坐修行)과 정좌관(靜坐觀) ... 315
1) 남명의 정좌수행의 실례 ... 315
2) 정좌(靜坐)에 관한 학설 ... 316
3) 남명 정좌관의 특색 ... 328
4. 남명의 정좌수행(靜坐修行)이 '경의(敬義)' 사상에 미친 영향 ... 335
5. 결론 ... 337
제3부 남명 사상의 독자성
남명 조식의 주체성 확립 이론과 사림의 정신(Ⅰ) / 손영식 ... 343
1. 조식 사상의 위상과 좌표 ... 343
2. 조식 이론의 특징 ... 350
1) 성리학과의 관련 ... 351
2) 조식의 양명학적 경향 ... 358
3. 조식의 주체성 확립의 이론 ... 363
1) 조식의 기질과 출처 문제 - 안회와 이윤 ... 363
2) 조식이 처한 현실 - 이림과 이준경의 길 ... 370
3) 강한 주체성의 확립 - 그가 붙인 이름들의 분석 ... 376
남명 조식의 주체성 확립 이론과 사림의 정신(Ⅱ) / 손영식 ... 387
1. 조식의 글쓰기와 강한 자아 ... 387
1) 형이상학 - 그 은유의 체계 ... 387
2) 형이상학 표현의 두 가지 방법 - 조식과 이황의 길 ... 391
3) 이미지의 폭력적 결합, 허공의 발자국 ... 399
4) 시간의 형이상학, 공간의 형이상학 ... 404
2. 절대적 주체, 조식의 이미지들 ... 406
1) 절대적인 자아의 확립 - 영웅, 사나이, 대장부 ... 407
2) 솟아나는 샘 - 「원천부」 ... 414
3) 마음은 엄한 선생 ... 418
4) 칼의 이미지 ... 424
5) 관문의 이미지 ... 432
6) '첫 순간(幾)'에서 마음 수양 ... 443
7) 용의 이미지 ... 448
남명의 유(儒)·도(道) 사상 비교연구 / 오이환 ... 456
1. 서언 ... 456
2. 퇴계(退溪)와 금계(錦溪)의 왕복 서간 ... 458
3. 퇴계의 남명관(南冥觀) ... 466
4. 남명과 도가 ... 475
5. 결어 ... 482
남명과 육왕학(陸王學) / 오이환 ... 484
1. 서언 ... 484
2. 『광해군일기』의 기사(記事) ... 488
3. 문제의 발단 ... 493
4. 남명과 퇴계의 왕복 서한 ... 498
5. 남명의 퇴계관(退溪觀) ... 504
6. 결어 ... 511
남명의 불교관 / 김경수 ... 514
1. 들머리 ... 514
2. 시대적 배경 ... 516
3. 남명의 불교에 대한 이해 ... 520
1) 이론적 이해 ... 520
2) 현실적 시각 ... 527
4. 승려와의 관계와 사찰에서 느낀 감상 ... 534
1) 승려와의 관계 ... 534
2) 사찰에서 느낀 감상 ... 542
5. 마무리 ... 548
부록
남명조식연구논저목록 ... 553
수록 논문 원게재지 ... 569
필진 소개 ... 570
'한국의 사상가 10人'을 출간하며 ... 5
남명 사상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 오이환 ... 15
1. 머리말 ... 15
2. 연구성과 ... 16
1) 시대 및 형태별 ... 19
2) 전공 및 게재지별 ... 20
3. 연구 경향 ... 22
4. 선정한 논문 ... 33
5. 앞으로의 연구 과제 ... 39
제1부 남명과 그 학맥
남명 조식 선생의 생애와 학문정신 / 김충열 ... 49
1. 처사로 곧게 살아간 생애 ... 49
2. 실천을 중시한 주경과지학(主敬果義之學) ... 53
3. 고고하면서도 우국애민한 선비정신 ... 56
4. 사림과 국가에 끼친 영향과 공적 ... 59
1) 처사상(處士像)의 확립 ... 59
2) 사존관비(士尊官卑)의 가치관 조성 ... 61
3) 영재교육과 국난극복 ... 63
5. 남명의 상소문 ... 65
1) 단성소丹城疏 ... 65
2) 선조에게 올린 마지막 헌책 ... 66
6. 국왕의 사제문 및 선비우대정책 ... 70
1) 사제문(賜祭文) ... 70
2) 선비우대정책 ... 72
7. 대곡 성운이 쓴 묘갈문 ... 73
남명 조식과 남명학파 / 이수건 ... 79
1. 문제 제기 ... 79
2. 조식의 가계와 생애 ... 86
3. 조식의 사상과 경세관 ... 96
1) 조식의 기질과 사상 ... 96
2) 조식의 현실 대응 자세와 경세관(經世觀) ... 108
4. 남명학파와 퇴계학파 및 기호학파와의 관계 ... 122
1) 남명학파의 성립 ... 122
2)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와의 관계 ... 127
3) 남명학파와 기호학파와의 관계 ... 139
5. 맺음말 ... 146
제2부 남명의 경의사상
남명 사상의 특징 / 이상필 ... 151
1. 경의(敬義) 사상 ... 151
1) 시살적(시殺的) 존양성찰(存養省察) ... 154
2) 방단적(方斷的) 처사접물(處事接物) ... 162
3) 경(敬)과 의(義)의 상호관련성 ... 165
2. 존양성찰(存養省察)의 방식과 그 인격상 ... 167
1) 인귀관(人鬼關)과 몽교관(夢覺關) ... 167
2) 노장 사상 수용의 의미 ... 169
3) 추상열일(秋霜烈日)·벽립천인(壁立千인)의 기상 ... 178
3. 출처관(出處觀)과 현실지향적 성향 ... 182
1) 엄정한 출처관 ... 182
2) 사회적 실천지향과 현실비판 ... 191
4. 학문 방법상의 특징 ... 198
1) 교학상(敎學上)의 개오식(開悟式) 방법 ... 198
2) '정주후불필저술(程朱後不必著述)'의 태도 ... 201
남명 조식의 『학기도』와 도학 체계 / 금장태 ... 204
1. 『학기도』의 의미 ... 204
2. 『학기도』의 성립과 남명 성리학의 체계 ... 207
1) 『학기도』의 성립 ... 207
2) 남명 사상의 학문적 기초 ... 214
3. 『학기도』의 구성과 체계 ... 219
1) 『학기유편(學記類編)』24도圖의 구조와 성격 ... 219
2) 학기육도學記六圖와 학기십도學記十圖의 구성 ... 227
4. 『학기도』의 성리학적 개념과 쟁점 ... 234
1) 태극(太極) - 리기론적(理氣論的) 이해 ... 234
2) 심성론적(心性論的) 이해 ... 239
5. 『학기도』의 수양론적(修養論的) 개념 ... 244
1) 경(敬)·성(誠)의 개념과 실천 방법 ... 244
2) 의(義)의 개념과 실천 방법 ... 249
6. 『학기도』와 『성학십도』의 비교 ... 253
남명학파의 실학사상 연구 / 권인호 ... 257
1. 서론 ... 257
2. 시대적 상황과 성리학 및 실학 ... 260
3. 남명 조식의 실학적 학문사상 ... 264
1) '부賦'를 중심으로 한 민본사상 ... 264
2) '상소문'에 나타난 우환의식(憂患意識)의 실학사상 ... 266
3) 『학기유편(學記類編)』의 실학정신 ... 273
4. 남명의 제자와 사숙인의 실학사상 및 그 연원과 계승 ... 276
1) 내암 정인홍의 의병과 '상소문'에서의 실학사상 ... 276
2) 동강 김우옹의 『속자치통감강목』편찬과 실학적 역사의식 ... 282
3) 미수 허목의 학문 경향과 그 연원 ... 286
4) 경세치용 학파와 성호 이익의 실학사상적 연원 ... 291
5. 결론 ... 300
남명 '경의(敬義)' 사상의 기저로서의 정좌수행 / 손병욱 ... 303
1. 서론 ... 303
2. 남명 '경의(敬義)' 사상의 본질 ... 304
1) '경의' 사상의 내용 ... 304
2) '경의' 사상의 성격 ... 311
3. 남명의 정좌수행(靜坐修行)과 정좌관(靜坐觀) ... 315
1) 남명의 정좌수행의 실례 ... 315
2) 정좌(靜坐)에 관한 학설 ... 316
3) 남명 정좌관의 특색 ... 328
4. 남명의 정좌수행(靜坐修行)이 '경의(敬義)' 사상에 미친 영향 ... 335
5. 결론 ... 337
제3부 남명 사상의 독자성
남명 조식의 주체성 확립 이론과 사림의 정신(Ⅰ) / 손영식 ... 343
1. 조식 사상의 위상과 좌표 ... 343
2. 조식 이론의 특징 ... 350
1) 성리학과의 관련 ... 351
2) 조식의 양명학적 경향 ... 358
3. 조식의 주체성 확립의 이론 ... 363
1) 조식의 기질과 출처 문제 - 안회와 이윤 ... 363
2) 조식이 처한 현실 - 이림과 이준경의 길 ... 370
3) 강한 주체성의 확립 - 그가 붙인 이름들의 분석 ... 376
남명 조식의 주체성 확립 이론과 사림의 정신(Ⅱ) / 손영식 ... 387
1. 조식의 글쓰기와 강한 자아 ... 387
1) 형이상학 - 그 은유의 체계 ... 387
2) 형이상학 표현의 두 가지 방법 - 조식과 이황의 길 ... 391
3) 이미지의 폭력적 결합, 허공의 발자국 ... 399
4) 시간의 형이상학, 공간의 형이상학 ... 404
2. 절대적 주체, 조식의 이미지들 ... 406
1) 절대적인 자아의 확립 - 영웅, 사나이, 대장부 ... 407
2) 솟아나는 샘 - 「원천부」 ... 414
3) 마음은 엄한 선생 ... 418
4) 칼의 이미지 ... 424
5) 관문의 이미지 ... 432
6) '첫 순간(幾)'에서 마음 수양 ... 443
7) 용의 이미지 ... 448
남명의 유(儒)·도(道) 사상 비교연구 / 오이환 ... 456
1. 서언 ... 456
2. 퇴계(退溪)와 금계(錦溪)의 왕복 서간 ... 458
3. 퇴계의 남명관(南冥觀) ... 466
4. 남명과 도가 ... 475
5. 결어 ... 482
남명과 육왕학(陸王學) / 오이환 ... 484
1. 서언 ... 484
2. 『광해군일기』의 기사(記事) ... 488
3. 문제의 발단 ... 493
4. 남명과 퇴계의 왕복 서한 ... 498
5. 남명의 퇴계관(退溪觀) ... 504
6. 결어 ... 511
남명의 불교관 / 김경수 ... 514
1. 들머리 ... 514
2. 시대적 배경 ... 516
3. 남명의 불교에 대한 이해 ... 520
1) 이론적 이해 ... 520
2) 현실적 시각 ... 527
4. 승려와의 관계와 사찰에서 느낀 감상 ... 534
1) 승려와의 관계 ... 534
2) 사찰에서 느낀 감상 ... 542
5. 마무리 ... 548
부록
남명조식연구논저목록 ... 553
수록 논문 원게재지 ... 569
필진 소개 ... 57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