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Ⅰ. '소설', '고전소설', '고전소설비평'의 개념 ... 11
(1) 소설의 전통적 개념 ... 11
(2) 전통적 '소설' 개념의 변화 ... 15
(3) 고전소설의 개념 ... 25
(4) 고전소설비평의 개념 ... 27
Ⅱ. 국문소설에 대한 유학자의 비평의식 ... 30
1. 서론 ... 30
2. 본론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Ⅰ. '소설', '고전소설', '고전소설비평'의 개념 ... 11
(1) 소설의 전통적 개념 ... 11
(2) 전통적 '소설' 개념의 변화 ... 15
(3) 고전소설의 개념 ... 25
(4) 고전소설비평의 개념 ... 27
Ⅱ. 국문소설에 대한 유학자의 비평의식 ... 30
1. 서론 ... 30
2. 본론 ... 32
(1) 자료의 선정 ... 32
(2) 유학자의 국문소설관 ... 37
① 부정적 측면 ... 37
(ㄱ) 착공구허(鑿空構虛)에 대한 비난 ... 37
(ㄴ) 세도(世道)를 위미(萎靡)케 하는 폐해 ... 39
(ㄷ) 가무(家務) 혹은 공무(公務)에의 방해 ... 41
(ㄹ) 비루(鄙陋)한 말(상말)에 대한 공격 ... 43
(ㅁ) 작가와 작품의 동일시 ... 45
(ㅂ) 이덕무의 '소설삼혹론(小說三惑論)' ... 46
② 긍정적 측면 ... 48
(3) 국문소설관의 변모양상 ... 52
① 허구성에 대한 인식면 ... 52
② 국문소설의 가치면 ... 56
3. 결론 ... 58
Ⅲ. 소설옹호론의 역사적 전개양상 ... 61
1. 서론 ... 61
2. 본론 ... 63
(1) 김시습과 '세교(世敎)·감인(感人)'의 효용성 ... 63
(2) 허균과 좋은 글쓰기로서의 교훈 ... 66
(3) 정태제와 연의소설 형식의 활용 ... 71
(4) 김만중과 통속소설의 대중교화성 ... 75
(5) 김춘택과 우리말 소설의 가치 인식 ... 78
(6) 홍만종과 〈수호전〉 옹호론 ... 82
(7) 이양오와 간접체험·개연성(蓋然性)의 가치 인식 ... 87
3. 결론 ... 91
Ⅳ. 소설비평사상의 박지원 ... 95
1. 서론 ... 95
2. 본론 ... 97
(1) 사실주의적 특성 ... 97
(2) 현실주의적 특성 ... 103
(3) 민족주의적 특성 ... 111
(4) 형식주의적 특성 ... 119
(5) 연암의 소설관 ... 129
① 연암소설관의 대략적 모습 ... 129
② 연암소설관의 비평사적 위상 ... 131
3. 결론 ... 133
Ⅴ. 이덕무의 소설배격론 ... 136
1. 서론 ... 136
2. 본론 ... 138
(1) 당시의 소설유행의 실상 ... 138
(2) 소설배격의 양성 ... 144
① 소설위상의 부정 ... 145
② 소설삼혹론 ... 147
③ 소설제작에 대한 시각 ... 149
(3) 소설작자 및 평자에 대한 비평 ... 151
① 소설작자에 대한 비평 ... 152
(ㄱ) 김인서에 대한 비평 ... 152
(ㄴ) 시내암에 대한 비평 ... 153
② 소설평자에 대한 비평 ... 154
(ㄱ) 홍문과에 대한 비평 ... 154
(ㄴ) 김성탄에 대한 비평 ... 156
(4) 소설비평사상의 위상 ... 158
3. 결론 ... 162
Ⅵ. 이양오의 소설관 ... 165
1. 서론 ... 165
2. 본론 ... 167
(1) 소설의 가치인식 ... 167
① 교훈과 재미의 문제 ... 167
② 허구와 개연성의 문제 ... 169
③ 현실원리를 바탕으로 한 작품평가 ... 171
(2) 〈구운몽〉 비평 ... 173
① 평시형태의 작품비평 ... 173
② 〈구운몽〉 비평양상 ... 175
(3) 〈사씨남정기〉 비평 ... 179
① '사평(史評)' 형식을 이용한 작품비평 ... 179
② 인물비평의 전형 마련 ... 180
③ 도덕비평의 토대 구축 ... 182
3. 결론(반계 소설비평의 의의) ... 184
Ⅶ. 19세기 고전소설비평의 한 양상 ... 187
1. 서론 ... 187
2. 본론 ... 190
(1) 자아시현(自我示顯)으로서의 소설 창작 ... 190
(2) 소설양식에 대한 발전적 인식의 확대 ... 196
(3) 소설작품의 이해를 위한 다각적 접근 ... 201
① 소설형성의 원인에 대한 문제 ... 202
② 소설과 문체의 문제 ... 207
③ 죽계의 작품에 대한 호평의 원인 ... 211
3. 결론 ... 217
Ⅷ. 탕옹의 '패설론' ... 220
1. 서론 ... 220
2. 본론 ... 222
(1) 새로운 소설논의 형식의 개척 ... 222
(2) '패설론'의 저술동기 ... 226
(3) 탕옹의 소설인식 ... 230
① '패설' 개념의 정립 ... 230
② 패설의 출현과 성행 원인 ... 234
③ 탕옹의 소설옹호론 ... 238
(ㄱ) 창선징악론(彰善懲惡論) ... 238
(ㄴ) 진미간진론(珍味間進論) ... 242
3. 결론 ... 246
Ⅸ. 이우준의 소설관 ... 248
1. 서론 ... 248
2. 본론 ... 249
(1) 소설의 효용성에 대한 견해 ... 249
① 규방교화(閨房敎化)의 효용 ... 249
② 문장력(文章力) 신장의 효용 ... 252
(2) 소설의 본질에 대한 가치인식 ... 254
(3) 우리 소설에 대한 자부심 ... 258
(4) 작품평가상의 새로운 시각 ... 261
① 독특한 사대기서 비평 ... 261
② 작품평가의 다양함 ... 267
3. 결론 ... 269
Ⅹ. 〈광한루기〉 비평고(Ⅰ) ... 271
1. 서론 ... 271
2. 본론 ... 273
(1) '도'의 경지로서의 문학 ... 273
(2) 불후의 문학으로서의 위상 ... 278
(3) 본원적 존재의미로서의 문학 ... 281
(4) 소설배격론자들에 대한 비판 ... 287
3. 결론 ... 293
XI. 〈광한루기〉 비평고(Ⅱ) ... 295
1. 서론 ... 295
2. 본론 ... 296
(1) 허구론 ... 296
(2) 소설문장론 ... 299
① 간명·곡진한 표현 ... 299
② 이치의 중시 ... 303
③ 문장묘처론 ... 305
(3) 형체와 그림자론 ... 310
(4) 작품구성론 ... 314
① 명화론(名畵(花)論) ... 314
② 풍수론(風水論) ... 319
③ 운진론(運陣論) ... 320
(5) 등장인물론 ... 323
①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척 ... 323
② 개성적 인물의 창조 ... 327
③ 내면심리의 분석 ... 331
(6) 결말처리 문제 ... 333
(7) 소재의 불경성(不敬性) 문제 ... 335
(8) 작품제목에 대한 해설 ... 336
3. 결론 ... 337
XII. 소설위상의 변천양상 ... 340
1. 서론 ... 340
2. 본론 ... 341
(1) 소설 효용론의 대두 ... 341
(2) 여가선용의 자(資) ... 343
(3) 재미의 인식과 활용 ... 346
(4) 대중교화의 가치인식 ... 348
(5) 소설의 개연성에 대한 인식 ... 351
(6) 자아시현의 수단으로서의 소설창작 ... 354
(7) 소설출현의 불가피성 ... 357
(8) 도덕적 효용론의 확대·심화 (1) ... 361
(9) 도덕적 효용론의 확대·심화 (2) ... 366
(10) 소설 예찬론의 대두 ... 372
3. 결론 ... 379
찾아보기 ... 38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