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제1편
Ⅰ. 한국불교의 정신성 ... 3
1. 서언 ... 3
2. 원효(元曉)의 일심(一心) ... 4
3. 지눌(知訥)의 진심(眞心) ... 10
4. 서산(西山)의 선심(禪心) ... 16
5. 만해(萬海)의 유심(唯心) ... 23
6. 결어 ... 28
Ⅱ. 법화...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제1편
Ⅰ. 한국불교의 정신성 ... 3
1. 서언 ... 3
2. 원효(元曉)의 일심(一心) ... 4
3. 지눌(知訥)의 진심(眞心) ... 10
4. 서산(西山)의 선심(禪心) ... 16
5. 만해(萬海)의 유심(唯心) ... 23
6. 결어 ... 28
Ⅱ. 법화(法華)·천태사상(天台思想)의 전개 ... 29
1. 서언 ... 29
2. 법화사상(法華思想)의 구명(究明) ... 30
3. 법화·천태(法華·天台)의 융섭(融攝) ... 41
4. 법화·천태(法華·天台)의 한국적 수용 ... 50
Ⅲ. 한국불교와 밀교(密敎) ... 57
1. 서언 ... 57
2. 신라불교에 있어서 밀교적인 수용 ... 59
3. 고려불교에 있어서 밀교적 전개 ... 68
4. 조선시대의 밀교 ... 89
5. 결어 ... 95
Ⅳ. 미륵사상(彌勒思想) ... 97
1. 서언 ... 97
2. 삼국시대의 미륵사상 ... 98
3. 고려시대의 미륵사상 ... 106
4. 조선시대의 미륵사상 ... 114
5. 근세의 미륵신앙과 그 사회적 기능 ... 120
6. 미륵사상의 현대적 수용과 전개 ... 130
Ⅴ. 화엄(華嚴)과 법계도(法界圖) ... 137
1. 의상화엄(義湘華嚴)의 승계(承繼) ... 137
2. 설잠(雪岑)과 법계도(法界圖) ... 142
3. 법계도주(法界圖注)의 사상 ... 147
4. 결어 ... 172
Ⅵ. 현대 한국선의 위치와 전망 ... 175
1. 선문정로(禪門正路)의 길 ... 175
2. 견성즉불(見性卽佛) ... 182
3. 중생불성(衆生佛性) ... 186
4. 해오점수(解悟漸修) ... 191
5. 현대에 있어서 선(禪)의 위치 ... 197
제2편
Ⅰ. 계율사상의 의의 ... 205
1. 전환의 세기와 불교의 시대적 사명 ... 205
2. 계율의 본질과 중도적 실천 ... 207
3. 계율사상의 현대적 조명(照明) ... 211
Ⅱ. 계율에 나타난 불교의 생명관(生命觀) ... 227
1. 서언 ... 227
2. 생명(生命), 그 무한의 가치 ... 228
3. 사분율(四分律)의 생명관 ... 232
4. 범망경(梵網經)의 생명관 ... 237
Ⅲ. 삼취정계(三聚淨戒)의 현대적 의미 ... 253
1. 현대와 계(戒) ... 253
2. 대승계(大乘戒)의 정의 ... 255
3.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삼취정계 ... 258
4.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의 삼취정계 ... 265
5. 삼취정계의 현대적 의미 ... 274
제3편
Ⅰ. 관음신앙(觀音信仰)과 휴머니즘(Humanism) ... 279
1. 서언 ... 279
2. 불교의 현실관(現實觀) ... 280
3. 구고구난(救苦救難)의 관음보살(觀音菩薩) ... 286
4.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의 관음보살 ... 294
5. 종교적 신앙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299
6. 현대사회에서의 관음신앙의 구현(具現) ... 304
7. 결어 ... 306
Ⅱ. 미륵신앙(彌勒信仰)의 의의 ... 309
1. 서언 ... 309
2. 미륵사상의 구명 ... 310
3. 미륵사상의 현대적 의의 ... 350
4. 결어 ... 365
Ⅲ. 지장신앙(地藏信仰)의 현대적 의미 ... 349
1. 지장(地藏)의 출현(出現) ... 349
2. 대지(大地)의 파황(破荒) ... 350
3. 지장보살의 내림(來臨) ... 353
4. 오늘의 지장보살 ... 365
Ⅳ. 정토신앙과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 ... 369
1. 서언 ... 369
2. 신라사회와 불교(佛敎) ... 369
3. 미타신앙(彌陀信仰)의 전개 ... 374
4.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의 성립 ... 384
5. 결어 ... 391
제4편
Ⅰ. 한국불교운동사 ... 395
1. 합방이전의 일본불교 ... 395
2. 본원사파(本願寺派)의 정체 ... 401
3. 사찰령(寺刹令)과 한국 불교계 ... 408
4. 3·1운동과 불교 ... 418
5. 불교교육(佛敎敎育)의 당위성 ... 425
6. 결어 ... 431
Ⅱ. 심핵(心核)과 물핵(物核) ... 433
1. 서언 ... 433
2. 환경과 공해 ... 434
3. 불교와 환경 ... 441
4. 심핵과 물핵 ... 449
5. 결어 ... 457
Ⅲ. 한국의 미륵사상(彌勒思想) ... 461
1. 서언 ... 461
2. 미륵신앙(彌勒信仰)의 발생과 성립 ... 462
3. 삼국시대 미륵신앙의 독자적 전개 ... 466
4. 고려시대의 미륵사상 ... 474
5. 조선시대의 미륵사상 ... 478
6. 근대의 미륵신앙 ... 483
7. 결어 ... 48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