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지리학이란 무엇인가 ... 17
제1절 지리학의 정의 ... 17
제2절 지리학의 발달사 ... 20
1. 고대 및 중세의 지리학 ... 20
2. 지리발견 및 르네상스시대의 지리학 ... 26
3. 근대 이후 20세기 중엽까지의 지리학 ... 31
제3절 지리학의 연구과제와 학문적 성격 ... 37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지리학이란 무엇인가 ... 17
제1절 지리학의 정의 ... 17
제2절 지리학의 발달사 ... 20
1. 고대 및 중세의 지리학 ... 20
2. 지리발견 및 르네상스시대의 지리학 ... 26
3. 근대 이후 20세기 중엽까지의 지리학 ... 31
제3절 지리학의 연구과제와 학문적 성격 ... 37
제2장 태양계의 생성과 지구 ... 43
제1절 우주 속의 지구 ... 44
제2절 태양계의 생성과 지구의 진화 ... 46
제3절 지구의 개관 ... 58
제3장 지도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53
제1절 지리학과 지도 ... 54
제2절 지도학의 학문적 성격 ... 55
제3절 지도의 기본적 구성요소 ... 58
1. 제목 ... 58
2. 방위 ... 59
3. 제작자 ... 60
4. 제작일자 ... 60
5. 기호 ... 61
6. 범례 ... 63
7. 축척 ... 63
8. 도법 ... 64
9. 좌표 ... 65
10. 색인 ... 67
11. 출처 ... 67
제4장 GIS란 무엇인가 ... 71
제1절 다양한 지리정보 관리기술 ... 72
1. AM과 CAM ... 72
2. CAD와 CADD ... 72
3. GIS와 AM / FM ... 73
4. Geoprocessing and Network Analysis : 지리적 처리기법 및 네트워크 분석 ... 73
5. LIS ... 74
6. Multipurpose Cadastre : 다목적 지적시스템 ... 74
제2절 GIS 관련분야 ... 74
1. 컴퓨터과학 ... 75
2. 정보관리 ... 75
3. 지도학 ... 75
4. 측지학·사진측량학·원격탐사 ... 76
5. 데이터 통신 ... 77
제3절 GIS의 활용분야 ... 77
1. GIS의 업무별 활용분야 ... 79
2. GIS 활용분야의 사례 ... 80
제5장 한국의 흥미로운 지형들 ... 83
제1절 지형을 형성시키고 변화시키는 힘 ... 83
1. 외적 영역 ... 84
2. 내적 영역 ... 85
3. 지구 밖의 영역 ... 85
제2절 W. M. Davis의 지형윤회이론 ... 85
1. 유년기 산지 ... 86
2. 조장년기 산지 ... 86
3. 중장년기 산지 ... 86
4. 만장년기 산지 ... 86
5. 노년기 산지 ... 87
6. 준평원 ... 87
제3절 흥미로운 지형들 ... 89
1. 밀양 천황산의 얼음굴 : 테일러스(talus) ... 89
2. 삼랑진 만어산의 거력 : 암괴류 ... 90
3. 전북 진안의 마이산 : 타포니(tafoni) ... 92
4. 변산반도의 채석강 : 해식애(sea cliff) ... 95
5. 전남 해남의 땅끝마을 : 파식대와 시이스택(wave-cut platform, sea stack) ... 96
6. 석회동굴 ... 97
7. 제주도의 흥미로운 지형들 ... 99
제6장 화석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 105
제1절 화석이란? ... 105
제2절 화석의 성인과 종류 ... 106
제3절 화석의 가치 ... 107
제4절 한국의 공룡화석 ... 108
제5절 공룡의 멸종 ... 109
제7장 지진과 화산은 왜 발생하는가 ... 113
제1절 지체구조론 ... 113
1. 대륙표리설 ... 114
2. 해저 확장설(concept of sea-floor spreading) ... 115
3. 판구조론 ... 116
제2절 지형재해 ... 118
1. 지진 ... 119
2. 화산 ... 125
제8장 기상현상은 왜 일어나는가 ... 135
제1절 계절변화 ... 135
제2절 대기의 성분과 구조 ... 138
제3절 태양복사에너지 ... 140
제9장 비는 어떻게 내리는가 ... 149
제1절 물의 순환 ... 149
제2절 구름의 발생과 종류 ... 152
제3절 강수의 원리와 종류 ... 153
제4절 강수의 분포와 변화 ... 158
1. 위도별 분포 ... 158
2. 지역적 분포 ... 159
3. 강수량의 변화 ... 160
제5절 안개, 싸라기눈, 우박 ... 162
1. 복사 안개 ... 163
2. 이류 안개 ... 164
3. 증발 안개 ... 164
4. 전선 안개 ... 165
5. 혼합 안개 ... 165
6. 활승 안개 ... 165
7. 스모그 ... 166
8. 싸라기눈, 우박 ... 167
제10장 태풍과 이상기상 ... 169
제1절 태풍의 발생 ... 169
제2절 태풍의 수명과 명칭 ... 171
제3절 태풍의 구조와 진로 ... 174
1. 구조 ... 174
2. 진행 ... 176
제4절 토네이도 ... 179
제5절 뇌우(thunderstorm) ... 181
제6절 엘니뇨(El Ni~no) ... 183
제11장 날씨는 어떻게 예보하는가 ... 187
제1절 일기예보법 ... 187
1. 관천망기의 방법 ... 188
2. 일기도에 의한 방법 ... 191
제2절 일기예보의 이해 ... 194
제3절 수치예보란? ... 197
제4절 일기도 보는 법 ... 199
제5절 신문·TV 매체의 이용 ... 201
제12장 풍토의 기후학적 해석 ... 207
제1절 풍토의 개념 ... 207
제2절 풍토에 대한 인식 ... 210
1. 풍토에 대한 미각적 사례 ... 211
2. 풍토에 대한 시각적 사례 ... 214
제3절 현대적 의의 ... 216
제13장 미래의 지구환경은 어떻게 변할까 ... 219
제1절 기후변화와 인간활동 ... 219
제2절 기후변화와 원인 ... 224
1. 태양활동 ... 224
2. 화산 폭발 ... 224
3. 인위적 기후변동 요인 ... 225
제3절 온실효과 ... 225
1. 이산화탄소(CO₂) ... 226
2. 프레온(CFCs) ... 227
3. 메탄(CH₄) ... 227
4. 아산화질소(N₂O) ... 228
5. 오존(O₃) ... 228
제4절 지구 환경 변화 ... 229
1. 해수위 상승 ... 229
2. 사막화 ... 229
3. 오존층 파괴 ... 230
4. 산성비 ... 230
제5절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활동 ... 231
1. 세계기상기후(WMO) ... 231
2. 세계기후계획(WCP) ... 232
3.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회(IPCC) ... 232
4. 제2차 세계기후회의 ... 232
5. 기후협약 체결 추진 ... 233
6. 몬트리얼 의정서 ... 233
제6절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 234
1. 국제환경협약 대책위원회(가칭) ... 234
2. 오존층 보호 ... 234
3. 온실기체 측정 ... 235
4. 오존측정 ... 235
제14장 미지의 세계 남극 : 신비의 베일을 벗겨본다 ... 237
제1절 남극(Antarctica) ... 237
1. 지리적 환경 ... 238
2. 생물적 환경 ... 241
3. 광물자원 ... 243
4. 킹조지섬 ... 243
5. 남극대륙과 한국 ... 245
제15장 정보화 시대, 지역을 어떻게 조사하고 연구할 것인가 ... 247
제1절 정보화, 지구화, 지방화 그리고 우주화 ... 248
제2절 기존 지역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의 한계와 새로운 조사방법 탐색 ... 249
1. 기존 지역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의 한계 ... 249
2. 새로운 지역조사방법 탐색 ... 250
제3절 기존 지역연구의 한계와 새로운 지역연구 방법의 탐색 ... 250
1. 기존 지역연구의 한계 ... 250
2. 새로운 지역연구 방안 탐색 ... 252
제4절 새로운 지역조사 및 연구방법의 실제 : 인터넷을 활용한 지역조사 및 연구방법 ... 253
1. 인터넷이란? ... 253
2. 인터넷을 활용한 지역 조사 및 연구방법의 탐색 ... 261
3. 웹(web)기반 지리정보체계(GIS)를 통한 지역 조사 및 연구의 실체 ... 261
제16장 세계화시대에 도시는 어떻게 변모되고 있나 ... 265
제1절 세계도시의 개념 ... 266
제2절 세계도시의 계층체계 ... 270
제3절 세계도시화 전략 : 대구시를 중심으로 ... 272
제17장 서양에서 터잡기는 어떻게 해오고 있나 ... 277
제1절 사적 입지론 ... 279
1. 농업입지론 ... 279
2. 공업입지론 ... 280
3. 상업입지론 ... 281
4. 주거입지론 ... 282
제2절 공적 입지론 ... 283
1. 공공재이론 ... 284
2. 제품차별화이론 ... 285
3. 중심지이론 ... 286
4. 입지결정분석 ... 287
제3절 GIS와 입지선정 ... 291
제18장 동양에서 터잡기는 어떻게 해오고 있나 ... 295
제1절 풍수지리의 개념 ... 296
제2절 풍수지리의 기원과 발달 ... 298
1. 풍수지리의 기원 ... 298
2. 풍수지리의 발달 ... 300
제3절 풍수지리와 관련된 용어 ... 301
1. 산(山) ... 301
2. 용(龍) ... 302
3. 맥(脈)·절(節) ... 302
4. 혈(穴) ... 302
5. 사(砂) ... 302
6. 국(局)과 형국(形局) ... 304
7. 명당(明堂) ... 304
8. 명당수(明堂水) : 득(得), 파(破) 또는 수구(水口) ... 305
9. 좌향(坐向) ... 305
10. 양택(陽宅)과 음택(陰宅) ... 305
제4절 풍수지리의 논리체계구조 ... 306
1. 생기론적 인식체계 ... 306
2. 기감응론적 인식체계 ... 306
3. 경험과학적 인식체계 ... 307
제5절 풍수지리사상의 공헌과 비판 ... 311
제19장 공간과 시간은 인간활동을 어떻게 제약하는가 ... 313
제1절 시간의 개념 ... 314
제2절 시간지리학의 의의와 그 개념 ... 317
1. 시간지리학의 의의 ... 317
2. 시간지리학 모델의 개념 ... 319
제3절 사례연구 : 대학생의 일상형태에 관한 시간지리적 연구 ... 324
1. 조사방법과 조사대상자의 속성 ... 324
2. 대학생의 일상적인 시공간행태의 패턴 ... 326
3. 대학생의 일상적 시공간행태상의 제약분석 ... 333
제20장 조선조에 영남지방에는 왜 선비가 많이 배출되었는가 ... 341
제1절 영남사림의 형성과정 ... 342
제2절 문화의 지역성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시각 : 문화생태학 ... 343
제3절 영남사림형성에 대한 가능론적 접근 ... 344
1. 자연환경적 특징과 사림형성의 가능성 ... 344
2. 영남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사림형성 ... 350
제21장 지역의 상징에 담긴 의미는 ... 355
제1절 상징이란? ... 357
제2절 상징의 분류 ... 359
제3절 상징의 기능과 특성 ... 361
제4절 상징과 문화 공간 환경 ... 363
1. 상징노래와 문화공간환경 ... 364
2. 상징기와 문화공간환경 ... 367
제22장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어떻게 개발해야 하나 ... 383
제1절 지역개발의 제이론 ... 384
1. 성장거점이론 ... 384
2. 성장초점이론 ... 386
3. 기초수요 접근방법과 농도통합적 개발론 및 정주생활권 이론 ... 388
4. 내발적 지역개발론 ... 390
5. 지속가능한 지역 및 도시개발론 ... 392
제2절 한국의 지역개발정책 :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중심으로 ... 394
제3절 우리의 지역개발 방향 ... 396
제23장 지구촌 시대 관광을 어떻게 할 것인가 ... 401
제1절 관광이란? ... 403
1. 관광의 정의 ... 403
2. 관광의 기본 요소와 특성 ... 404
제2절 관광의 주체 : 관광객 ... 406
1. 관광의 주체로서 관광객이 가져야 할 기본 자세 ... 408
2. 국제관광시 알아둘 국가관련 정보 ... 408
제3절 관광의 객체(대상) : 주제별 관광자원과 지역별 관광자원 ... 411
1. 지역별 관광자원 ... 411
2. 주제별 관광자원 ... 413
제4절 관광의 매체 : 관광정보 ... 415
1. 관광매체란 ... 415
2. 관광정보와 GIS ... 416
색인 ... 41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