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서론 ... 7
Ⅱ. 하서시학의 시대적 배경 ... 15
1. 기묘년 사림의 만남과 문학수업 ... 15
2. 성규관 유학과 정치현실의 목적 ... 21
3. 사환(仕宦)의 의지와 목민의 수행 ... 29
4. 인종의 승하와 불사(不仕)의 충절 ... 39
5. 도학의 정진과 학문의 완성 ... 45
Ⅲ. 하서시학의 학문적 ...
더보기
목차 전체
Ⅰ. 서론 ... 7
Ⅱ. 하서시학의 시대적 배경 ... 15
1. 기묘년 사림의 만남과 문학수업 ... 15
2. 성규관 유학과 정치현실의 목적 ... 21
3. 사환(仕宦)의 의지와 목민의 수행 ... 29
4. 인종의 승하와 불사(不仕)의 충절 ... 39
5. 도학의 정진과 학문의 완성 ... 45
Ⅲ. 하서시학의 학문적 기반 ... 51
1. 학문적 계통과 입장 ... 51
2. 사상적 영역과 향방 ... 59
Ⅳ. 하서시학의 연원적 고찰 ... 71
1. 자득의 개념과 그 범주 ... 71
2. 『시경』의 전범적 가치인식 ... 83
3. 비분강개와 자명(自鳴)의 『초사』 수용 ... 93
4. 귀거래의 실천과 도시(陶詩)의 의미 ... 104
5. 충군과 아유(雅遊)의 두보 시심 ... 119
6. 호방과 청진(淸眞)의 이백 풍격 ... 137
7. 당시의 수용과 시적 전변(轉變) ... 151
Ⅴ. 호남시단과 교유의 양상 ... 167
1. 호남시단의 형성과 교유 인물 ... 167
2. 〈면앙정삼십영(면仰亭三十詠)〉 ... 179
3. 식영정 시선 (詩仙)과 환벽당 ... 191
4. 〈소쇄원사십팔영(瀟灑園四十八詠)〉 ... 199
5. 풍영정과 〈칠계십영(漆溪十詠)〉 ... 212
6. 시교(詩交)의 문사과 문하 ... 223
7. 시승(詩僧)과의 만남 ... 235
Ⅵ. 하서시학의 시사적 의의 ... 243
Ⅶ. 결론 ... 254
참고문헌 ... 263
찾아보기 ... 27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