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제1부 한자음·훈론
「東國正韻」音系의 性格 / 姜信沆 ... 13
「東國正韻」의 編韻과 訓民正音의 中聲 / 金武林 ... 37
유리왕대 「兒率歌」의 兒率攷 / 金雄培 ... 59
動詞類語 訓에 관한 通時的 考察 / 朴乘喆 ... 71
洪啓禧의 「三韻聲彙」硏究 / 배윤덕 ... 105
高麗本 「金光明經」에 나타...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제1부 한자음·훈론
「東國正韻」音系의 性格 / 姜信沆 ... 13
「東國正韻」의 編韻과 訓民正音의 中聲 / 金武林 ... 37
유리왕대 「兒率歌」의 兒率攷 / 金雄培 ... 59
動詞類語 訓에 관한 通時的 考察 / 朴乘喆 ... 71
洪啓禧의 「三韻聲彙」硏究 / 배윤덕 ... 105
高麗本 「金光明經」에 나타난 特異 형태에 대하여 / 백두현 ... 121
15세기 새김 어휘 연구(1) / 손희하 ... 139
美室戀歌 設疑辨證 / 沈在箕 ... 173
朝鮮 初期 吏讀文의 語中 '-叱-'에 대하여 / 李丞宰 ... 185
「朝鮮館譯語」 聲母字音에 대한 연구 / 李潤東 ... 205
현대 한자 어휘의 기원에 대한 고찰 / 황금연 ... 235
東アジア語比較硏究の方法 / 藤井茂利 ... 263
일본 上代文獻에 나타난 '聯合假名'에 대해서 / 水野後平 ... 285
'不'의 字音에 대하여 / 迂星兒 ... 309
민南語 文音解讀 / 林慶勳 ... 325
제2부 지명·방언론
백제의 시조 이름과 나라 이름의 어원 연구 / 권재선 ... 339
여수방언의 형태론적 특성 / 기세관 ... 375
「方言集」(1937)의 평안방언에 대하여 / 김영배 ... 391
삼척 방언과 울진 방언 음조형의 비교 / 김차균 ... 405
地名 解釋 二題 / 도수희 ... 439
蟾津江 流域의 地名 / 柳在渶 ... 461
고흥방언의 용언어간의 축소 / 배주채 ... 499
서남 방언의 의존 명사 / 이기갑 ... 525
韓日古代地名考 / 李炳銑 ... 551
鶴城의 語原 / 조강봉 ... 563
동남방언과 동북방언의 대조연구 / 崔明玉 ... 585
금산 지역어의 자음 분화 / 한영목 ... 631
제3부 음운·문법의미론 외
'N1+N2'형 합성명사에 대한 의미구조 분석 / 강보유 ... 663
합성어 형성과 의미 / 강진식 ... 679
음운 변화의 유형과 양상 / 고광모 ... 707
중세어의 'ㅸ, ㅿ'규칙활용론에 대하여 / 고영근 ... 731
동사의 핵자질과 논항구조에 기초한 문맥조응 대명사류의 결속이론 / 김광희 ... 761
소쉬르 언어이론의 일면 / 김방한 ... 793
'ㄹ' 벗어난 끝바꿈의 까닭 고찰 / 김승곤 ... 811
「訓民正音」의 創制目的 / 南禮鉉 ... 821
중세국어 이중모음의 통시적 발달 / 박종희 ... 849
의미론의 유형과 동적언어이론 / 배해수 ... 879
'하게체'의 위계에 대하여 / 서상준 ... 911
15세기 '삽'의 의미기능 탐색을 위한 전제 / 양영희 ... 925
국어의 선택적 표현에 대한 고찰 / 윤평현 ... 953
컴퓨터에 의한 국어 '하'-형 용언의 분석과 생성 / 李基用 ... 973
고양이(猫)의 語彙史 / 李秉根 ... 1019
통일시대 국어학의 전망 / 이성연 ... 1041
念素(文)의 意味 體系 / 李吳烈 ... 1057
Why We Should Still Read Otto Jespersen? / 이환묵 ... 1075
형용사 파생에 관여하는 어근 접미사 연구 / 임성규 ... 1093
국어 어휘 계량의 단위 설정에 대하여 / 임칠성 ... 1121
語彙變化의 한 樣相 / 池春洙 ... 1153
의존동사 '싶다, 보다, 하다'구문의 통사구조 분석 / 최재희 ... 1179
용언 활용의 비생성적 성격과 부사형어미 '-아 / 어'의 교체 현상 ... 1207
한어(漢語)가 중국 조선어에 미친 영향 / 최희수 ... 1259
풀이씨는 어떤 월조각(월성분)을 가려잡는가? / 허웅 ... 1279
誠齋 李敦柱 先生 年譜/論考 目錄 ... 1307
필자 소개 ... 13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