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자 서문 ... 3
제1장. 텔레비전 토론과 텔레비전에 대한 논의 ... 13
개관 ... 13
이론적 접근 방식 ... 19
제2장. 매스 미디어, 민주주의, 그리고 공개장 ... 28
서론 ... 28
엘리트 민주주의와 참여 민주주의 ... 31
참여 민주주의와 참여 매스 미디어 ... 36
공개장 ... 39
대...
더보기
목차 전체
역자 서문 ... 3
제1장. 텔레비전 토론과 텔레비전에 대한 논의 ... 13
개관 ... 13
이론적 접근 방식 ... 19
제2장. 매스 미디어, 민주주의, 그리고 공개장 ... 28
서론 ... 28
엘리트 민주주의와 참여 민주주의 ... 31
참여 민주주의와 참여 매스 미디어 ... 36
공개장 ... 39
대중, 공중, 청중 ... 44
비판적·합리적 공개 토론의 가능성 ... 49
특수 이익 단체와 홍보 ... 53
대항적 공개장 ... 56
정치적 행동 ... 63
문화 포럼과 매스 미디어 ... 66
공개 토론과 복수의 목소리 ... 68
결론 ... 74
제3장. 스튜디오 논쟁과 시청자 토론-텔레비전 장르 ... 76
시청자 토론 프로그램 ... 76
장르 경계와 토크쇼 ... 78
제도적 요구: 공개장 장르 ... 83
토크쇼와 정체성의 구축 ... 86
토크쇼에 참여하기 ... 90
가정의 시청자 ... 91
장르에대한 시청자들의 인식 ... 99
시청자 토론 프로그램의 본질 ... 103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참여 구조 ... 108
논쟁 장르 ... 113
로맨스 장르 ... 118
치료 장르 ... 126
설명을 위한 협약 ... 137
제4장. 비판적 시청자 ... 139
비판적 시청의 중요성 ... 139
비판적인 시청자 ... 141
사회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 ... 150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인식 ... 156
프로그램 주제에 대한 인식 ... 161
시청 행위와 관여 ... 164
시청자에 대한 인식 ... 171
비판적인 시청자 ... 173
비판적 응답과 관여 ... 176
사회적 행위로서의 비판적 수용 779
제5장. 전문 지식과 상식 ... 182
대중문화와 전문 문화 ... 182
대중화과정 ... 188
전문 지식에의 도전 ... 192
일반적 경험의 정당화 ... 199
전문가와 일반인의 기여 ... 210
전문 지식의 대중화와 전문가 기여 ... 215
텔레비전에 출연하는 보통 사람들 ... 228
전문가와 일반 참여자의 청중 인식 ... 230
일반 지식과 전문 지식에 대한 청중의 인식 ... 247
참여틀 내에서 전문가와 일반인의 역할 ... 254
결론 ... 260
제6장. 논쟁과 수사학 ... 261
논증의 본질을 넘어서는 철학적 논쟁 ... 262
실제적 추론에 대한 수사적 접근 ... 269
시청자 토론 프로그램에서 이야기하기 ... 272
시청자 토론 프로그램의 논증과 수사학 ... 274
텍스트 분석에 대한 논평 ... 300
텔레비전 논거에 대한 청중의 수용 ... 302
결론 ... 312
제7장. 스튜디오 토론, 사회적 공간, 그리고 포스트모니터 ... 315
서론 ... 315
대화로서의 시청자 토론 프로그램 ... 317
시청자 토론프로그램에의 출연 경험 ... 319
텔레비전에서 자신을 폭로하기 ... 324
참여에 대한 성찰 ... 325
준사회적 상호 작용 ... 329
상상적 장소 ... 331
사회적 공간 ... 333
한계적 공간 ... 336
중개된 공간과 포스트모니터 ... 338
참여 미디어와 사회 변화 ... 342
결론 ... 346
참고문헌 ... 350
(부록1) 자료 수집 ... 370
(부록2) 프로그램 선정 ... 374
(부록3) 포커스 그룹 토론-코딩과 분류 방식 ... 37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