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4
제1장 서론 ... 13
1. 문제제기 ... 13
2. 연구사 검토 ... 15
1) 『화용도』형성에 대한 논의 ... 16
2) 이본 연구 ... 18
3) 주제에 대한 논의 ... 20
4) 구조에 대한 논의 ... 21
5) 기타 논의 ... 22
3. 연구 자...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4
제1장 서론 ... 13
1. 문제제기 ... 13
2. 연구사 검토 ... 15
1) 『화용도』형성에 대한 논의 ... 16
2) 이본 연구 ... 18
3) 주제에 대한 논의 ... 20
4) 구조에 대한 논의 ... 21
5) 기타 논의 ... 22
3. 연구 자료 및 대상 ... 25
제2장 『화용도』형성의 동인과 신재효본 〈적벽가〉의 의미 ... 31
1. 『화용도』형성의 동인 ... 31
1) 『삼국지』의 전승 과정 ... 32
2) 『화용도』형성의 구조적 요인 ... 36
3) 『화용도』형성의 사회·문화적 요인 ... 45
2. 〈화용도타령〉과 신재효본〈적벽가〉의 성격 ... 51
1) 〈화용도타령〉의 성격 ... 51
2) 신재효본〈적벽가〉 형성의 의미 ... 63
제3장 『화용도』작품군의 성격과 서지 ... 79
1 『화용도』작품군의 성격 ... 81
2 『화용도』작품군의 서지 ... 93
1) 창본 계열 ... 93
2) 완판 계열 ... 114
3) 창본과 완판의 교합본 ... 119
4) 독서물(소설본) ... 123
제4장 『화용도』작품군의 변이 양상 비교 ... 131
1. 서두 - 정세 제시와 인물 소개 ... 136
1) 정세 제시 ... 137
2) 도원결의 ... 140
3) 서서의 공명 천거 ... 142
2. 공명의 등장 ... 144
1) 인물치레 ... 145
2) 와룡강 경개풀이 ... 147
3) 삼고초려 ... 151
4) 장판교대전 ... 158
3. 촉과 오의 연합 ... 160
1) 전쟁의 결정 ... 162
2) 공명차전 ... 169
3) 동남풍 기원 ... 172
4) 자룡탄궁 ... 179
4. 적벽대전 ... 186
1) 출전 준비 ... 188
2) 조조 설연 ... 202
3) 적벽대전 ... 229
5. 조조의 패주 ... 242
1) 오림 대목 ... 245
2) 이릉 대목 ... 257
3) 화용도 대목 ... 261
6. 결말 ... 308
7. 총괄적 논의 ... 313
제5장 『화용도』작품군 전승의 의의 ... 325
1. 『화용도』사설의 담당층 ... 326
2. 『화용도』작품군의 연행적 성격 ... 341
1) 수용과 해체, 그리고 변용 ... 341
2) 공식적 표현구의 수용 ... 352
3) 당대 연행 관습의 반영 ... 355
제6장 결론 ... 365
참고문헌 ... 377
Abstract ... 385
찾아보기 ... 38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