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B>권호명 : < / B>1
일러두기 ... 10
해제 / 왕몽구 ... 11
악기 서문 ... 61
악의 기록(記樂之義) / 鄭玄 ... 63
『악기』의 연원(河簡獻王, 王禹, 劉向) / 孔穎達 ... 63
『악기』의 모습(刪取要略, 非全文也) / 陳澔 ... 65
『악기』의 저자(作於孔門) / 權近 ... 66
악의...
더보기
목차 전체
<B>권호명 : < / B>1
일러두기 ... 10
해제 / 왕몽구 ... 11
악기 서문 ... 61
악의 기록(記樂之義) / 鄭玄 ... 63
『악기』의 연원(河簡獻王, 王禹, 劉向) / 孔穎達 ... 63
『악기』의 모습(刪取要略, 非全文也) / 陳澔 ... 65
『악기』의 저자(作於孔門) / 權近 ... 66
악의 효용(移易性情, 鼓舞以遷於善) / 王夫之 ... 66
악의 근본(樂以義理爲本) / 孫希旦 ... 69
악을 우듬짓는 이유(孤標一眞, 以救誠亡) / 丁若鏞 ... 70
제1편 악본(樂本) ... 73
1. 성(聲)·음(音)·악(樂)의 정의 ... 75
2. 여섯 가지 마음은 어떤 성(聲)으로 나오는가 ... 88
3. 예(禮)·악(樂)·형(刑)·정(政)의 귀결점 ... 98
4. 성(聲)·음(音)은 정치와 통한다 ... 105
5. 궁(宮)·상(商)·각(角)·치(徵)·우(羽)가 표상하는 것들 ... 113
6. 오음(五音)과 정치 ... 127
7. 정음(鄭音)과 위음(衛音) 그리고 복수(복水)가 상간(桑間)의 음(音) ... 137
8. 군자라야 악(樂)을 알고, 악을 알면 예(禮)와 가깝다 ... 147
9. 유음(遺音)·유미(遺味) 속에 담긴 선왕의 뜻 ... 160
10. 천리를 잃고 욕망을 다하니 크게 어지러워진다 ... 178
11. 예(禮)·악(樂)·형(刑)·정(政)으로 왕도를 갖추다 ... 196
제2편 악론(樂論) ... 209
1. 악(樂)·예(禮)의 효험 : 화합과 구별 ... 211
2. 악(樂)·예(禮)는 어떻게 지어지는가 ... 225
3. 악(樂)·예(禮)의 정(情)은 사랑과 공경이다 ... 240
4. 악(樂)·예(禮)의 표현 방식 : 그릇과 문채 ... 256
5. 악(樂)·예(禮)와 천지의 관계 : 화해와 질서 ... 267
6. 악(樂)·예(禮)의 본질 그리고 백성과 함께 하는 방법 ... 273
제3편 악례(樂禮) ... 283
1. 공업이 이루어져 악을 짓고, 정치가 구현되어 예를 만든다 ... 285
2. 예악이 밝아지고 갖추어지니 천지의 일이 마땅해진다 ... 301
3. 예(禮)는 천지의 구별이다 ... 314
4. 악(樂)은 천지의 화해이다 ... 327
5. 천지의 정(情) ... 336
6. 예악, 천지, 음양 그리고 귀신 ... 340
7. 악(樂)은 만물을 낳고, 예(禮)는 만물을 이룬다 ... 346
제4편 악시(樂施) ... 361
1. 춤을 보고 덕을 안다 ... 363
2. 고대의 악명(樂名) ... 375
3. 악(樂)이 선하면 교화가 이루어진다 ... 386
4. 악교(樂敎)의 목적 : 기풍을 옮기고 습속을 바꾼다 ... 391
제5편 악언(樂言) ... 405
1. 여섯 가지 음(音)으로 인한 마음의 상태는 어떠한가 ... 407
2. 악(樂)은 정성(情性)에 근본한다 ... 427
3. 세상이 어지러우면 악(樂)은 지나친다 ... 445
제6편 악상(樂象) ... 455
1. 간성(姦聲)과 정성(正聲) ... 457
2. 악(樂)이 행해지니 천하가 안녕하다 ... 467
3. 악(樂)은 즐거움(樂)이다 ... 488
4. 악(樂)에서 덕을 살피다 ... 492
5. 악(樂)은 거짓으로 할 수 없다 ... 496
6. 악(樂)은 마음의 움직임이다 ... 508
7. 악(樂)은 시은(施恩)이요, 예(禮)는 보답이다 ... 524
8. 천자가 제후에게 보답하는 예(禮) ... 532
附錄Ⅰ ... 539
中國民族樂器圖鑑
<B>권호명: < / B>2
일러두기 ... 578
제7편 악정(樂情) ... 579
1. 악은 변할 수 없는 감정이고, 예는 바뀔 수 없는 이치이다 ... 581
2. 근본을 궁구하여 변화를 아는 것이 악(樂)의 정(情)이다 ... 586
3. 성인이 예악을 실행하니 천지 만물이 소생한다 ... 597
4. 악(樂)의 말절(末節) ... 607
제8편 위문후(魏文侯) ... 619
1. 고악(古樂)과 신악(新樂)의 차이는 무엇인가 ... 621
2. 고악(古樂) ... 627
3. 신악(新樂) ... 639
4. 악(樂)과 음(音)의 차이 ... 645
5. 덕음(德音)이 악(樂)이다 ... 648
6. 익음(溺音) : 정음(鄭音), 송음(宋音), 위음(衛音), 제음(齊音) ... 664
7. 고악(古樂)의 특질 ... 674
8. 임금이 호오(好惡)를 삼가야 하는 이유 ... 677
9. 선왕의 작악(作樂) ... 680
10. 종성(鍾聲) ... 692
11. 석성(石聲) ... 697
12. 사성(絲聲) ... 702
13. 죽성(竹聲) ... 706
14. 고비성(鼓비聲) ... 710
15. 군자가 소리를 듣는 방법 ... 714
제9편 빈무고(賓牟賈) ... 719
1. 공자의 질문① : 북을 치며 한참 경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721
2. 공자의 질문② : 네 가지 남은 물음들 ... 728
3. 빈무고의 질문 : 무위(舞位)에 왜 오래 있는가 ... 746
4. 공자의 대답① : 악(樂)은 공업의 성취를 표상한다 ... 750
5. 공자의 대답② : 「대무(大武)」6성의 구성 ... 756
6. 공자의 대답③ : 춤추는 동작과 표상 ... 766
7. 공자의 대답④ : 목야(牧野)의 일 ... 779
8. 공자의 대답⑤ : 군대 해산의 의미 ... 794
9. 공자의 대답⑥ : 다섯 가지 가르침 ... 803
10. 공자의 대답⑦ : 삼로오경(三老五更)의 봉양 ... 813
11. 공자의 대답⑧ : 주도(周道)와 예악 ... 820
제10편 악화(樂化) ... 825
1. 악(樂)을 살펴 마음을 다스린다 ... 827
2. 예(禮)를 살펴 몸을 다스린다 ... 836
3. 악(樂)은 안에서 감동하고, 예(禮)는 밖으로 발현된다 ... 842
4. 악(樂)은 채우고, 예(禮)는 줄인다 ... 850
5. 즐거운 마음은 성음(聲音)으로 나오고, 동정(動靜)으로 드러난다 ... 863
6. 선왕이 악(樂)을 세운 이유① : 올바른 즐거움 ... 867
7. 선왕이 악(樂)을 세운 이유② : 부자·군신·만민의 화합 ... 877
8. 악(樂)은 천지의 가르침이고, 중화(中和)의 벼리이다 ... 887
9. 기뻐할 때 기뻐하고 성낼 때 성낸다 ... 894
제11편 사을(師乙) ... 901
1. 자공의 질문 : 나에게 맞는 노래는 어떤 것인가 ... 903
2. 사을의 대답① : 노래는 덕을 드러낸다 ... 907
3. 사을의 대답② : 상음(商音)과 제음(齊音) ... 918
4. 사을의 대답③ : 노래의 형상 ... 925
5. 사을의 대답④ : 노래에서 춤으로 상생(相生)한다 ... 931
편역자후기 ... 939
附錄Ⅱ ... 949
樂記學論著目錄 ... 951
人名·書名 解說 ... 969
索引 ... 103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