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문학교육의 담론과 권력
제1장 서론 ... 3
1. 연구의 패러다임 ... 3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 9
제2장 문학교육과정과 지배적 담론의 형성 과정 ... 16
1. 작품 섭렵 중심의 구성 원리와 정전의 형성 과정 ... 16
(1) 정전 중심의 교육과정과 정전 구성의 성격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문학교육의 담론과 권력
제1장 서론 ... 3
1. 연구의 패러다임 ... 3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 9
제2장 문학교육과정과 지배적 담론의 형성 과정 ... 16
1. 작품 섭렵 중심의 구성 원리와 정전의 형성 과정 ... 16
(1) 정전 중심의 교육과정과 정전 구성의 성격 ... 16
(2) 정전의 형성 과정 : 순수문학적 담론의 지배화 ... 26
2. 작품 주해 중심의 구성 원리와 주해 방식의 형성 과정 ... 60
(1) 주해 중심의 교육과정과 주해 방식의 성격 ... 60
(2) 주해 방식의 형성 과정 : 분석주의적 담론의 지배화 ... 68
제3장 문학교육의 지배적 담론과 담론 효과 ... 100
1. 순수문학 중심의 정전 구성과 담론 효과 ... 100
(1) 정전 구성의 이념성 ... 100
(2) 문학의 신비화와 권위에의 종속 ... 113
2. 분석주의 중심의 주해 방식과 담론 효과 ... 127
(1) 주해 방식의 보수성 ... 127
(2) 유기체론의 본질화와 분석주의의 절대화 ... 140
3. 지배적 담론의 결합 효과 ... 155
(1) 포괄과 배제의 기능 ... 155
(2) 이론의 부가와 갈등의 은폐 ... 163
제4장 문학교육과 비판적 주체 형성 ... 176
1. 문학교육의 지배적 담론과 주체 형성의 관계 ... 176
2.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과제와 전망 ... 198
제5장 결론 ... 214
제2부 문학교육학의 지평과 지향
제1장 문학교육사회학 서설 ... 239
1. 문학교육사회학의 필요성 ... 239
2. 문학교육사회학의 가능성 ... 249
3. 문학교육사회학의 전망 ... 254
제2장 문학교육학과 질적 연구 방법론 ... 260
1. 방법론 논의에 앞서 ... 260
(1) 그 섬에 가고 싶다 ... 260
(2) 그들도 우리처럼 ... 262
2. 질적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해 ... 264
(1)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과 그 의의 ... 264
(2) 질적 연구 방법론의 문제들 ... 269
3. 질적 연구 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전망과 과제 ... 276
(1) 칠수와 만수 ... 276
(2) 세상 밖으로 ... 279
제3장 죽은 시인의 사회와 그 적들 - 영화를 통한 문학교육 현상 읽기 ... 289
1. 프롤로그 ... 289
2. 키팅은 누구인가 ... 292
3. 키팅은 어떻게 가르쳤는가 ... 304
4. 키팅의 제자는 어떻게 되었는가 ... 317
5. 키팅과의 대담 ... 328
6. 에필로그 ... 330
제4장 21세기 문학교육학의 전망 ... 335
1. 1999년도 비망록 중에서 ... 335
2. 사이와 차이(差異), 혹은 차이(差移)의 교육 ... 339
(1) 패러다임의 전환 ... 339
(2) 패러다임 사이의 대화 ... 341
3. 문학을 쓰는 교육 ... 350
(1) 문학을 쓰는[用] 교육 ... 350
(2) 문학을 쓰는[書] 교육 ... 356
4. 다시 1999년도 비망록 중에서 ... 360
사항 찾아보기 ... 363
인명 찾아보기 ... 366
제1부 문학교육의 담론과 권력
제1장 서론 ... 3
1. 연구의 패러다임 ... 3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 9
제2장 문학교육과정과 지배적 담론의 형성 과정 ... 16
1. 작품 섭렵 중심의 구성 원리와 정전의 형성 과정 ... 16
(1) 정전 중심의 교육과정과 정전 구성의 성격 ... 16
(2) 정전의 형성 과정 : 순수문학적 담론의 지배화 ... 26
2. 작품 주해 중심의 구성 원리와 주해 방식의 형성 과정 ... 60
(1) 주해 중심의 교육과정과 주해 방식의 성격 ... 60
(2) 주해 방식의 형성 과정 : 분석주의적 담론의 지배화 ... 68
제3장 문학교육의 지배적 담론과 담론 효과 ... 100
1. 순수문학 중심의 정전 구성과 담론 효과 ... 100
(1) 정전 구성의 이념성 ... 100
(2) 문학의 신비화와 권위에의 종속 ... 113
2. 분석주의 중심의 주해 방식과 담론 효과 ... 127
(1) 주해 방식의 보수성 ... 127
(2) 유기체론의 본질화와 분석주의의 절대화 ... 140
3. 지배적 담론의 결합 효과 ... 155
(1) 포괄과 배제의 기능 ... 155
(2) 이론의 부가와 갈등의 은폐 ... 163
제4장 문학교육과 비판적 주체 형성 ... 176
1. 문학교육의 지배적 담론과 주체 형성의 관계 ... 176
2.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과제와 전망 ... 198
제5장 결론 ... 214
제2부 문학교육학의 지평과 지향
제1장 문학교육사회학 서설 ... 239
1. 문학교육사회학의 필요성 ... 239
2. 문학교육사회학의 가능성 ... 249
3. 문학교육사회학의 전망 ... 254
제2장 문학교육학과 질적 연구 방법론 ... 260
1. 방법론 논의에 앞서 ... 260
(1) 그 섬에 가고 싶다 ... 260
(2) 그들도 우리처럼 ... 262
2. 질적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해 ... 264
(1)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과 그 의의 ... 264
(2) 질적 연구 방법론의 문제들 ... 269
3. 질적 연구 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전망과 과제 ... 276
(1) 칠수와 만수 ... 276
(2) 세상 밖으로 ... 279
제3장 죽은 시인의 사회와 그 적들 - 영화를 통한 문학교육 현상 읽기 ... 289
1. 프롤로그 ... 289
2. 키팅은 누구인가 ... 292
3. 키팅은 어떻게 가르쳤는가 ... 304
4. 키팅의 제자는 어떻게 되었는가 ... 317
5. 키팅과의 대담 ... 328
6. 에필로그 ... 330
제4장 21세기 문학교육학의 전망 ... 335
1. 1999년도 비망록 중에서 ... 335
2. 사이와 차이(差異), 혹은 차이(差移)의 교육 ... 339
(1) 패러다임의 전환 ... 339
(2) 패러다임 사이의 대화 ... 341
3. 문학을 쓰는 교육 ... 350
(1) 문학을 쓰는[用] 교육 ... 350
(2) 문학을 쓰는[書] 교육 ... 356
4. 다시 1999년도 비망록 중에서 ... 360
사항 찾아보기 ... 363
인명 찾아보기 ... 36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