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자 서문 ... 5
서(序) ... 13
일러두기 ... 22
서장 신화적 사고(思考) ... 23
1. 몸과 우주 ... 25
2. 종교적 우주관에서 본 동양과 서양 ... 35
제1장 동양의 사고(思考) ... 39
1. 중국 고대 사상의 형성 ... 42
1) 신정군주(神政君主)와 조상숭배(祖上崇拜) - 유교의 종교성은 어...
더보기
목차 전체
역자 서문 ... 5
서(序) ... 13
일러두기 ... 22
서장 신화적 사고(思考) ... 23
1. 몸과 우주 ... 25
2. 종교적 우주관에서 본 동양과 서양 ... 35
제1장 동양의 사고(思考) ... 39
1. 중국 고대 사상의 형성 ... 42
1) 신정군주(神政君主)와 조상숭배(祖上崇拜) - 유교의 종교성은 어디에 있는가? ... 42
2) 진한(秦漢) 제국의 사상 상황 - 신앙습속과 방사(方士)의 출현 ... 48
3) 고대 중국의 과학사상 - 자연관과 수행론의 형성 ... 60
2. 동양과 서양의 사고양식 ... 72
1) 혼돈과 질서 - 역(易)의 사고 ... 72
2) 인과성(因果性)과 공시성(共時性) - 동·서양의 시·공간관 ... 82
3) 동양의학에서 보는 몸〔身〕 - 심신(心身)관계의 공시성(共時性) ... 96
3. 기술적(技術的) 사고(思考) ... 110
1) 기술의 철학인 역(易) - 성(聖)과 속(俗)은 하나다 ... 110
2) 사람과 우주의 감응(感應) - 천인상관(天人相關) ... 116
3) 명상에서 몸과 우주 - 존사(存思)와 내단(內丹) ... 124
4) 기술적 자연관 - 수행(修行)과 복점(卜占) ... 137
4. 동아시아의 불교 ... 149
1) 수행과 신비주의 - 불교는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 149
2) 도교와 불교의 교류 - 신불(神佛)의 세계를 보다 ... 166
3) 불교사상의 중국화 과정 - 천태(天台)·화엄(華嚴)의 우주관 ... 182
4) 중국불교와 일본불교 - 밀교(密敎)의 즉신성불론(卽身成佛論) ... 200
5. 동양 사고의 완성 ... 219
1) 명상과 철학 - 타자(他者)·자연(自然)· 성(聖)스러운 것 ... 219
2) 반철학(反哲學)으로서의 선(禪) - 주체의 밑바탕은 우주와 통한다 ... 223
3) 이기철학(理氣哲學)의 체험적 밑바탕 - 내향적 실천과 외향적 실천 ... 238
4) 근대적 주체로 전회(轉回) - 동양과 서양의 양심(良心) ... 262
제2장 서양의 사고(思考) ... 285
1. 고대 헬레니즘 사고 ... 288
1) 고대 철학의 심리학적 성격 - 정념(情念)의 극복과 평안 ... 288
2) 스토아철학의 몸〔身〕이론 - 로고스(logos)와 프뉴마(pneuma) ... 295
3) 그노시스적 명상 - 세 개의 세계와 세 개의 몸 ... 304
4) 로고스와 성령 -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의 성립 ... 317
2. 서양 사고(思考)의 발전 ... 326
1) 삼위일체의 빛과 그림자 - 외면적 인간과 내면적 인간 ... 326
2) 주체적 체험에서 관념과 존재 - 형상〔形〕과 마음〔心〕 ... 339
3) 연금술(鍊金術)의 자연관 - 정신과 물질은 공감적(共感的)으로 변용한다 ... 350
4) 잊혀진 데카르트 - 최후의 고대 철학자 ... 355
종장 고대의 사고(思考)와 현대 ... 383
주 ... 391
찾아보기 ... 40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