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총서를 기획하며 ... 5
동아시아 사회 질서의 전통과 근대적 의미 ... 13
제1부 동아시아 사회의 전통적 질서 성립 ... 29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문명은 어떻게 보급되고 수용되었을까 ... 31
들어가며 ... 31
변경 지역의 사회 변화 ... 33
유교 이념의 보급과...
더보기
목차 전체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총서를 기획하며 ... 5
동아시아 사회 질서의 전통과 근대적 의미 ... 13
제1부 동아시아 사회의 전통적 질서 성립 ... 29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문명은 어떻게 보급되고 수용되었을까 ... 31
들어가며 ... 31
변경 지역의 사회 변화 ... 33
유교 이념의 보급과 내용 ... 40
이치(吏治)와 유교 이념 ... 50
나오며 ... 56
고려의 운수관과 도읍 경영 ... 59
들어가며 ... 59
수덕의 진통 ... 60
목덕으로의 지향 ... 67
묘청의 이상세계 ... 74
묘청 좌절 이후의 경향 ... 85
나오며 ... 89
일본 근세 무사의 직분과 '병농공상'의 사회 ... 91
들어가며 ... 91
'사농공상' 형식의 적용과 '문'의 수용 ... 93
태평시대의 무사와 '무국(武國)' 일본의 전통 ... 100
무사의 직분 ... 106
나오며 ... 113
제2부 <B><FONT color ... #0000
대한제국의 재정, 그 이념적 굴절에 대하여 ... 117
대한제국의 재정정책 ... 117
갑오재정개혁의 근대성 재고 ... 119
국가재분배의 관점에서 ... 123
왕토사상의 굴절 ... 127
20세기 초 국제 질서의 재편과 한국 신지식인층의 대응 ... 130
들어가며 ... 130
대한제국 멸망 전후 신지식층의 분화 ... 132
망명자들의 재분화 ... 137
국내의 급진적 전통 : 배달모듬과 주시경 ... 143
나오며 ... 151
3.1운동에 대한 일본 언론의 인식 ... 154
들어가며 ... 154
일본 언론의 왜곡된 조선 인식과 보도 방향 ... 156
3·1운동을 바라보는 시각의 일정한 변모 ... 162
일부 '지한파' 지식인들의 조선 인식과 그 한계 ... 167
대물림하는 역사인식 ... 173
20세기 서울의 민족운동과 민주화운동 ... 178
들어가며 ... 178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과 서울 ... 181
해방 후 민주화운동과 서울 ... 194
1980년대의 민주화·자주화운동과 6월 민주대항쟁 ... 207
나오며 ... 210
제3부 전환기 근대 동아시아 사회 질서와 구조 ... 213
명청 시기 광동에서의 국가권력·종족의 위상 ... 215
들어가며 ... 215
지방관의 허시(墟市)개설 ... 217
신사의 허시 개설 ... 224
종족의 허시 개설 ... 229
개인과 향(鄕)의 허시 개설 ... 237
나오며 ... 241
러시아의 의화단운동진압전쟁 참가에 대하여 ... 245
들어가며 ... 245
진압전쟁 참가 전야의 러시아 ... 247
8국 연합군에서의 활동 ... 262
러시아의 만주 점령 ... 273
나오며 ... 286
20세기 초 동아시아 시장과 중국 제당업 ... 290
들어가며 ... 290
20세기 초 동아시아 지역의 설탕 생산과 유통 ... 294
1930년대 중국의 근대적 제당건설 ... 308
세계대공황하의 설탕전쟁과 중국 시장 ... 319
나오며 ... 329
1930년 전반기 일본의 전향 정책과 천황제 ... 333
들어가며 ... 333
전향정책의 창출 과정과 천황제 ... 336
전향정책의 획기 - 만주사변과 대량전향시대의 출현 ... 348
천황제 신앙과 전향 정책의 비약적 전환 ... 352
나오며 ... 360
주석 ... 36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