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총서를 기획하며 ... 5
동아시아 근대를 상상하기 ... 13
제1부 동아시아의 정치경제 ... 23
동아시아 경제 발전 모델의 내용과 전망 ... 25
들어가며 ... 25
동아시아 후발 산업화의 연구경향 : 일본, 한국, 대만 ... 27
'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공통성 : ...
더보기
목차 전체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총서를 기획하며 ... 5
동아시아 근대를 상상하기 ... 13
제1부 동아시아의 정치경제 ... 23
동아시아 경제 발전 모델의 내용과 전망 ... 25
들어가며 ... 25
동아시아 후발 산업화의 연구경향 : 일본, 한국, 대만 ... 27
'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공통성 : 국가주의적 입장 ... 40
동아시아 경제 위기와 '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장래 ... 46
동아시아 경제 협력 : 신지역주의적 접근 ... 57
들어가며 ... 57
지역주의의 이론적 논쟁 ... 58
동아시아 경제의 상호의존도 : 역내 수출과 직접투자 패턴 ... 65
아시아 지역주의의 구조와 특징 : 개방적 지역주의 ... 73
아시아 지역주의의 제도적 한계 ... 78
경제 발전과 정치 발전의 상관관계 ... 90
들어가며 ... 90
경제 발전과 정치 발전 : 'N'가설의 역사적 개관과 이론적 추론 ... 93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의 상관관계에 관한 통계 분석 연구 ... 99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측정 ... 105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의 상관관계 : 통계학적 검정 ... 109
나오며 ... 117
인도차이나 반도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 전환과 정치경제 ... 119
들어가며 ... 119
인도차이나 반도 : 변증법적 역사 진화 과정 ... 120
인도차이나 3국의 체제 전환과 정치경제 ... 122
나오며 ... 146
세계화시대 한국과 일본의 민족주의 지속성과 변화 ... 152
들어가며 ... 152
개념 및 이론적 논의 ... 155
한국의 민족주의 ... 159
일본의 민족주의 ... 169
나오며 ... 177
제2부 한반도의 근대와 정치경제 ... 183
근대 국민과 국가 개념의 수용에 관한 연구 ... 185
들어가며 ... 185
서구에서의 국민과 국가 ... 188
한말 국가 개념의 변용 ... 192
국민 개념의 수용 ... 197
국가와 국민의 결합 ... 199
한국에서 국가와 국민 개념 수용에 나타난 특이성 ... 202
나오며 ... 205
현대 한국 정치와 유교 전통 ... 210
들어가며 ... 210
정치 도덕과 유교 ... 213
정치 문화와 유교 ... 219
정치 미덕과 유교 ... 223
가치다원주의와 유교 ... 228
나오며 ... 233
유교, 강성국가 그리고 남북한의 발전 격차 ... 236
남한의 역동성과 북한의 완고성 ... 236
'유교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 237
유교와 경제 ... 244
사회경제 체제 ... 247
동일한 식민지 경험이 낳은 상이한 강성국가 ... 249
남북한의 국가 ... 253
나오며 ... 258
북한의 근대 노동 주체 형성 ... 260
들어가며 ... 260
근대적 노동 과정의 도입과 보급 ... 263
근대적 노동 과정에 대한 저항과 노동 과정의 관계적 특성 ... 277
새로운 노동 규범과 공장의 이데올로기적 생산 장치 ... 286
나오며 ... 297
북한의 근대 정치경제와 노동 영웅 ... 300
들어가며 ... 300
북한에서의 '영웅'과 노동 ... 301
사회주의적 '스펙터클' : 노동 영웅의 정치경제학 ... 305
북한의 정치경제적 변동과 노동 영웅 ... 310
나오며 ... 329
평화 담론 재론 : 한반도적 맥락 ... 333
들어가며 ... 333
평화의 개념 : '수입품의 시장조사' ... 335
한반도의 평화 담론 ... 340
평화 운동의 평화 담론 ... 350
주석 ... 35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