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부 고소설사의 쟁점 ... 13
「최치원」의 작자와 원작의 문제 ... 15
1. 「쌍녀분기」와 쌍녀분 ... 17
2. 「최치원」의 작자와 창작 경위 ... 26
3. 「최치원」의 문헌 성격 ... 33
4. 맺음말 ... 38
고려시대 전기의 유형적 특성 ... 40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부 고소설사의 쟁점 ... 13
「최치원」의 작자와 원작의 문제 ... 15
1. 「쌍녀분기」와 쌍녀분 ... 17
2. 「최치원」의 작자와 창작 경위 ... 26
3. 「최치원」의 문헌 성격 ... 33
4. 맺음말 ... 38
고려시대 전기의 유형적 특성 ... 40
1. 고려시대 전기의 유형과 작품 세계 ... 41
2. 고려시대 전기의 존재 양태와 그 특성 ... 57
3. 고려 후기 전기문학의 침체와 지속 ... 61
필화소설「설공찬전」의 문헌 성격 ... 66
1. 「설공찬이」와「설공찬전」의 거리 ... 67
2. 「설공찬전」의 형성 동인 ... 74
3. 「설공찬전」의 정치적 성격 ... 80
4. 맺음말 ... 85
이옥 전의 작품 세계와 주제 의식 ... 87
1. 傳을 통해 본 패사소품적 특성 ... 88
2. 주제 의식의 구현 양상 ... 98
3. 맺음말 ... 103
가문소설「취미삼선록」의 여성주의적 시각 ... 104
1. 역사적 배경의 차용 양상과 창작의식 ... 106
2. 갈등의 설정과 전개 양상 ... 112
3. 문제 해결의 구도에서 드러난 의의와 한계 ... 120
4. 가문소설 전개 과정에 있어서「취미삼선록」의 위상 ... 125
5. 맺음말 ... 130
쟁장형 우화소설의 사회사적 의미 ... 133
1. 조선 후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잔치'의 사회적 성격 ... 135
2. 중세 신분구조의 분해와 등장인물의 시대적 현상 ... 143
3. 주요 모티프의 성격과 기능 ... 151
4. 맺음말 ... 161
제2부 고소설과 서사문학 ... 163
선초 잡록과 전기소설 ... 164
1. 잡록의 편찬 과정과 훈구 문인의 역할 ... 166
2. 잡록 찬자들의 교유 관계 - 그 동호인적 모임 ... 171
3. 잡록의 문헌적 속성 ... 179
4. 잡록의 전기문학 수용 양상 ... 183
연명설화와「홍연전」 ... 187
1. 연명설화의 전이와 수용 ... 187
2. 정렴이야기의 문헌설화적 특성 ... 190
3. 연명설화의 구비적 변용 ... 193
4. 연명설화의 소설적 수용 ... 196
5. 맺음말 ... 202
서사무가와 판소리「심청가」 ... 203
1. 「심청굿」과「심청가」의 대비적 고찰 ... 204
2. 서사무가 기원설의 비판적 검토 ... 214
3. 맺음말 ... 220
북한의 서사문학사 기술 양상 ... 227
1. 소설사 이해의 기본 시각 ... 228
2. 산문 양식들의 특징과 의의 및 계승·발전의 맥락 ... 229
3. 맺음말 ... 241
서해안 지역 설화의 특성 ... 243
1. 광포 전설 ... 245
2. 지역 전설 ... 255
3. 맺음말 ... 272
판소리의 이해 ... 275
1.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 ... 275
2.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 283
3. 판소리의 문학적 특질 ... 286
4. 판소리 열두 마당 ... 288
민속극의 이해 ... 299
1. 민속극의 개념과 유래·분포 ... 300
2. 민속극의 공연 방식 ... 301
3. 내용적 특성과 주제 의식 ... 30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