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부 설화와 한국인
한민족과 세계의 신화 ... 13
한국인과 범(호랑이) ... 20
민담에 표출된 가족의식으로 통일의 공감대를 ... 24
선조들이 남긴 구전외설의 한계 ... 28
백두산설화에서 찾는 한민족의 원형 ... 32
아버지의 유산, 절구와 바가지와 장구 ... 40
신화와 전설이 살아있는 산 ... 44...
더보기
목차 전체
1부 설화와 한국인
한민족과 세계의 신화 ... 13
한국인과 범(호랑이) ... 20
민담에 표출된 가족의식으로 통일의 공감대를 ... 24
선조들이 남긴 구전외설의 한계 ... 28
백두산설화에서 찾는 한민족의 원형 ... 32
아버지의 유산, 절구와 바가지와 장구 ... 40
신화와 전설이 살아있는 산 ... 44
설화에 나타난 인간의 꿈 ... 48
심청전의 현대적 의미 ... 51
중국설화에 나타난 환생사상 ... 54
단방약 '끼절가리(升麻)'에 얽힌 이야기 ... 61
짐승의 썩은 것도 사람에겐 약 ... 65
2부 민속 종교
한국의 무속신앙 ... 71
무당이 왜 필요한가 ... 75
도깨비 굿 ... 83
신목(神木)을 베는 진산 대관령 ... 86
유령은 원귀의 문학적 미화 ... 89
떡의 풍속과 소묘(素描) ... 93
3부 역(曆)과 민속
대보름의 기원과 세시풍속의 과학적 의미 ... 101
상원(上元)의 달집태우기 ... 105
양괭이 쫓기와 부인의 날 ... 110
키 작은 사람의 설움과 여성의 기피 풍습 ... 113
꽃달임과 혼속(婚俗) ... 117
쑥과 창포와 단오빔 ... 120
망혼일과 고수레 ... 124
중추가절에 마음을 비우다 ... 127
추석은 고향을 생각한다 ... 132
고향가는 길은 마음의 풍요로움을 가지고 ... 135
이웃나라 추석의 이모저모 ... 139
반보기, 근친, 이바지보따리 ... 145
시월은 해를 갈무리하는 상달 ... 149
4부 축제와 놀이
'일촌일품'을 위한 축제 ... 155
도시 지역축제의 과제와 전망 ... 159
지역축제의 활성화 - 영등축제 ... 167
강릉관노탈놀이 ... 170
고성(固城) 오광대 놀이 ... 173
굿과 놀이가 혼합된 대동굿 ... 176
비통한 슬픔을 희화극으로 승화시키는 민중의 낭만 ... 179
진도 다시래기 놀이 ... 182
향토사 발굴, 남사당 남형우의 끼 ... 186
5부 문화와 사회
우리 민족과 쌀 ... 191
바가지에 얽힌 생활문화 ... 196
공동노동의 두레 ... 199
한국인의 행동양식 ... 202
자연과 동물과 사람의 조화 ... 207
인간과 동물의 조화에서 티 없는 마음의 거울을 ... 215
전통문화이해의 시급성 ... 219
옛날엔 차세대 아이로 키웠다 ... 222
서당(書堂)은 애국의 산실이었다 ... 224
남자답게 키우는 문화 ... 228
한국인의 선비정신 ... 232
더위쫓기와 죽부인(竹夫人) ... 236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 ... 242
자신의 일에 즐거움을 갖자 ... 246
뇌물을 모르는 청렴한 공직자 ... 249
인간과 황소 ... 253
독서는 마음의 여유와 양식을 쌓는 일이다 ... 256
까마귀보다 못한 사람이 되어서야 ... 260
신의(信義)가 바탕이 된 사회 ... 263
거짓말을 일삼는 사회 ... 266
나의 이웃은 나의 친족이다 ... 270
조화롭게 사는 세상 ... 274
한민족의 특성은 경노사상과 정 ... 277
고향에 묻어다오 ... 281
6부 얼굴과 웃음
한국인의 얼굴 ... 289
한국인의 웃음 ... 295
웃음은 거울의 빛 ... 298
恨이 맺힌 民衆속의 어머니 얼굴 ... 302
얼굴에 비친 슬픔과 눈물 ... 306
초상화에 나타난 틀거지, 엄(嚴) ... 310
잘 생긴 얼굴이 수난을 ... 314
얼굴은 마음 가는대로 ... 318
화장(化粧)의 의미와 한국인의 美 ... 322
아름다움의 기준은 문화의 산물 ... 326
명기(名妓)들에 얽힌 미담 ... 331
못생긴 얼굴, 마음은 못나지 않았다. ... 336
한국고전에 나타난 유머 - 해학과 웃음 ... 34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