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채만식 풍자문학의 정신사적 의미 ... 23
1. 새로 발굴한 자료와 그 의미 ... 23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 28
3. 이론적 고찰 ... 43
(1) 풍자 또는 풍자 정신의 본질 문제 ... 43
(2) 풍자가 동원하는 양식의 문제 ... 50
(3) 채만식 문학이 지니는 풍자성의...
더보기
목차 전체
Ⅰ. 채만식 풍자문학의 정신사적 의미 ... 23
1. 새로 발굴한 자료와 그 의미 ... 23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 28
3. 이론적 고찰 ... 43
(1) 풍자 또는 풍자 정신의 본질 문제 ... 43
(2) 풍자가 동원하는 양식의 문제 ... 50
(3) 채만식 문학이 지니는 풍자성의 특질 문제 ... 61
Ⅱ. 채만식 풍자문학의 원천과 풍자 양식의 단초 ... 67
1. 전통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전망의 부재 ... 68
(1) 전통에 대한 부정과 허무의식 : 「과도기」 ... 68
(2) '과도기적' 혼돈의 제 양상과 전망 부재의 현실 ... 77
2. '신여성'을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의 질곡 : 『인형의 집을 나와서』 ... 98
Ⅲ. 채만식 풍자문학의 범주적 갈래와 그 양식적 특성 ... 119
1. 지식인의 자기 풍자 및 현실 풍자 ... 120
(1) 지식인의 자기 폐쇄성과 냉소적 아이러니 ... 120
(2) 지식인의 존재적 객관화를 통한 대화적 아이러니 ... 139
2. 민중 현실에 대한 풍자의 제 양상 ... 156
(1) 식민지 현실에 나타난 전통의 질곡 : 패러디 및 아이러니 ... 156
(2) 현재적 삶의 조건에 대한 성찰의 약화 : 알레고리의 강화와 아이러니의 약화 ... 175
(3) '구여성'을 통해 본 전통과 근대 현실 : 『濁流』의 패러디와 알레고리 ... 183
3. 전통의 핵심 문제에 대한 직접적 물음 ... 204
(1) 전통적 가부장제의 본질에 대한 물음 : 「沈봉사」 작품군의 패러디와 아이러니 ... 205
(2) 전통적 지식인의 본질에 대한 물음 : 「許生傳」의 패러디와 아이러니 ... 215
Ⅳ. 채만식 풍자문학의 주제적ㆍ양식적 총괄 : 「天下太平春」 ... 225
Ⅴ. 풍자 정신의 와해 및 해소 ... 243
1. 현실에 대한 객관적 시각의 포기와 전통에 대한 퇴행적 시각 ... 244
2. 전통에 대한 재해석과 역사에 대한 묵시적 전망 ... 258
Ⅵ. <B><FONT color ... #0000
참고문헌 ... 278
부록 Ⅰ ... 283
새로 발굴한 채만식의 글 목록 ... 285
생애 연보 ... 287
작품 연보 ... 290
연구 서지 ... 310
부록 Ⅱ : 새로 발굴한 채만식의 작품들(전문 수록) ... 337
「毒舌錄에서」(수필) ... 339
『沈봉사』(미완 장편) ... 342
찾아보기 ... 38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