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찾아보기 ... 331
제1부 시문학과 삶의 자취
도은 이숭인의 시문학 ... 11
점필재 김종직 문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 40
퇴계 이황의 은거와 『도산잡영』 ... 69
퇴계 이황의 「화도집음주이십수」 연구 ... 99
남명 조식 시의 낭만주의적 성격 ... 124
『해사록』을 통해 본 학봉 김...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찾아보기 ... 331
제1부 시문학과 삶의 자취
도은 이숭인의 시문학 ... 11
점필재 김종직 문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 40
퇴계 이황의 은거와 『도산잡영』 ... 69
퇴계 이황의 「화도집음주이십수」 연구 ... 99
남명 조식 시의 낭만주의적 성격 ... 124
『해사록』을 통해 본 학봉 김성일의 인간적 풍모 ... 144
제2부 다산과 연암의 실학사상
다산 정약용의 개혁 사상 ... 173
『목민심서』를 통해 본 지방행정의 개혁 ... 193
성리학파 문학과 실학파 문학의 연속과 단절 - 다산과 연암을 중심으로 ... 213
실학파 문인들의 중국 문화 수용 양상 - 다산과 연암을 중심으로 ... 231
제3부 일제 저항기의 문학과 사학
단재 신채호의 역사 인식과 역사소설 - 「일목대왕의 철퇴」를 중심으로 ... 255
소설에 나타난 단재 신채호 사상의 변모 - 「꿈하늘」과 「용과 용의 대격전」을 중심으로 ... 279
중산 박장현의 유교 개신론과 신사학론 ... 30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