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5
제1부 김소행의 글쓰기 방식과 삼한습유
제1장 『삼한습유』관련 논의의 현황과 방향 ... 11
제2장 『삼한습유』의 주변 ... 21
제1절 작가 김소행의 삶과 처지 ... 21
제2절 『삼한습유』의 전승 현황 ... 26
제3장 문헌 수용론적 관점에서 본『삼한습유』 ... 51
제1절 문헌과...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5
제1부 김소행의 글쓰기 방식과 삼한습유
제1장 『삼한습유』관련 논의의 현황과 방향 ... 11
제2장 『삼한습유』의 주변 ... 21
제1절 작가 김소행의 삶과 처지 ... 21
제2절 『삼한습유』의 전승 현황 ... 26
제3장 문헌 수용론적 관점에서 본『삼한습유』 ... 51
제1절 문헌과 소설 사이의 총체적 양상 ... 51
제2절 문헌 수용 특성과 서술 방식 ... 67
제4장 소설화 법칙과 의미 구현의 초점 ... 89
제1절 향랑 고사의 소설화 : 예교주의와 물질주의 대결 ... 89
제2절 『시경』과『장자』의 배치와 예의론(禮義論) ... 99
제3절 『사기』와『삼국사기』의 소설화와 욕망의 성취 ... 135
제5장 『삼한습유』의 표현 미학 ... 185
제1절 서술방식과 미학의 성관 관계 ... 185
제2절 나열하기 방식의 양상과 그 미학 ... 189
제3절 그대로 가져오기 방식의 양상과 그 미학 ... 203
제4절 비틀기 방식의 양상과 그 미학 ... 217
제5절 의론(議論) 도입 양상과 그 미학 ... 229
제6장 『삼한습유』의 문헌론적 연구의 의의 ... 245
제2부 보론 : 『삼한습유』의 미시적 이해
제1장 『삼한습유』에서 정의녀 서사의 위상과 그 독법(讀法) ... 265
제1절 정의녀 명명(命名)과 요량자 인물 설정의 의미 ... 267
제2절 정의녀를 통해 주인공과 작가 보기 ... 281
제2장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의 변용, 『난초재세기연록』 ... 293
제1절 『난초재세기연록』연구의 현주소 ... 293
제2절 초월계의 간섭과 그 공과(功過) ... 301
제3절 고소설의 미친『공작동남비』의 영향 : 『난초재세기연록』과『삼한습유』의 경우 ... 311
참고문헌 ... 319
찾아보기 ... 32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