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역자 후기 ... 375
제1장 '일본어'의 발견 ... 9
1. '말'과 '글' 사이에서 ... 9
2. '청조고증학'과 '국학'의 방법 ... 29
제2장 근대 국민국가와 '일본어' ... 45
1. 뉴 미디어로서의 연설 ... 45
2. 연설과 번역 ... 57
3. 신문과 자유민권운동 ... 62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역자 후기 ... 375
제1장 '일본어'의 발견 ... 9
1. '말'과 '글' 사이에서 ... 9
2. '청조고증학'과 '국학'의 방법 ... 29
제2장 근대 국민국가와 '일본어' ... 45
1. 뉴 미디어로서의 연설 ... 45
2. 연설과 번역 ... 57
3. 신문과 자유민권운동 ... 62
4. '일본방청기록법'의 창출 ... 76
제3장 천황의 '일본어' ... 91
1. 텍스트로서의〈군인칙유〉 ... 91
2. 〈군인칙유〉에서〈교육칙어〉로 ... 99
3. '신민' 의식과 식민지주의 ... 122
제4장 언문일치라는 환상 ... 135
1. '국자(國字)' 개량문제 ... 135
2. 소설과 '언문일치' ... 146
제5장 전쟁과 일본어 ... 171
1. '국가'와 '국어' ... 171
2. '국어'라는 결합력 ... 189
제6장 식민지 영유와 일본근대문학의 성립 ... 213
1. 타이완의 식민지화와 '일본어' ... 213
2. '문학'의 '일본어' ... 224
3. '지문'과 '대사'의 분리 ... 244
제7장 '표준어'의 제패 ... 263
1. 소리를 쓰다 ... 263
2. 보통선거와 엔본 ... 279
3. 계층화되는 '일본어' ... 295
4. 식민지의 '일본어' ... 311
제8장 반복으로서의 패전 후 ... 335
1. '당용한자'와 '현대카나표기법' ... 335
2. 전후의 '엔본 붐'과 '국민문학논쟁' ... 35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