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3
제1부 가곡과 시조
가곡 가집, 「永言」의 문화도상 탐색 ... 11
1. 머리말 ... 11
2. 가곡 수록현황을 통한「영언」의 편찬시기 추정 ... 13
3. 19세기 초ㆍ중반 가집, 「영언」의 문화적 도상(1) ... 19
4. 19세기 초ㆍ중반 가집, 「영언」의 문화적 도상(2)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3
제1부 가곡과 시조
가곡 가집, 「永言」의 문화도상 탐색 ... 11
1. 머리말 ... 11
2. 가곡 수록현황을 통한「영언」의 편찬시기 추정 ... 13
3. 19세기 초ㆍ중반 가집, 「영언」의 문화적 도상(1) ... 19
4. 19세기 초ㆍ중반 가집, 「영언」의 문화적 도상(2) ... 26
5. 맺음말 ... 31
19세기 초반, 가곡 향유의 한 단면 ... 35
1. 머리말 ... 35
2. 「영언」과 「청육」의 '이삭대엽 우·계면' 배분방식 ... 37
3. 우ㆍ계면 배분에 따른 가곡의 곡 해석 문제 ... 45
4. 맺음말 ... 55
「金玉叢部)」를 통해 본 '雲崖山房'의 풍류세계 ... 57
1. 머리말 ... 57
2. 운애산방 歌琴之伴의 풍류세계-'정취' ... 59
3. 운애산방 歌琴之伴의 풍류세계-'홍취' ... 68
4. 맺음말 ... 83
「敎坊歌謠」를 통해 본 19세기 중ㆍ후반 지방의 官邊 풍류 ... 85
1. 머리말 ... 85
2. 歌曲의 呈才 唱詞化와 官邊 풍류 ... 88
3. 풍류제례로서의 「義巖別祭歌舞」 ... 97
4. 맺음말 ... 111
시조 歌集, 『調및詞』의 문화도상 탐색 ... 115
1. 머리말 ... 115
2. 『調및詞』의 수록 체제와 몇 가지 특징 ... 117
3. '긴잡가'와 '휘모리잡가' 형성의 단초 ... 130
4. 맺음말 ... 140
제2부 가사와 잡가
18~19세기 음악환경의 변화와 가사의 가창전승 ... 145
1. 머리말 ... 145
2. 18세기 음악환경의 변화와 '歌辭의 歌詞化' ... 147
3. 19세기 음악환경의 변화와 '형성된 歌詞' ... 156
4. 19세기 중ㆍ후반 음악환경의 변화와 '가창 가사의 명맥' ... 164
5. 맺음말 ... 174
'노처녀' 담론의 형성과 문학양식들의 반향 ... 177
1.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 ... 177
2. 왕도정치이념에 기반한 18세기 후반 지식인의 '노처녀' 담론 ... 181
3. 〈노처녀가〉(1/2)의 이본성격 및 축적적 문학담론의 향유와 변용 ... 191
4. 맺음말 ... 207
〈상사별곡〉의 사설짜임과 애정형상의 보편성 ... 211
1. 머리말 ... 211
2. 다종의 '버전'을 파생시킨 가창문화권에서의 〈상사별곡〉 ... 212
3. 〈상사별곡〉의 사설짜임과 '이별ㆍ그리움ㆍ시름'의 정조 ... 218
4. 맺음말 ... 225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이본현황과 텍스트 소통 ... 227
1. 머리말 ... 227
2.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이본 현황 ... 229
3.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텍스트 소통 ... 234
4. 맺음말 ... 253
신오위장 所作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 257
1. 머리말 ... 257
2. 〈방아타령〉의 노래형식과 통속성 ... 259
3.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 269
4. 맺음말 ... 280
「歷代時調全書」수록 45首의 성격 辨證과 雜歌 ... 283
1. 머리말 ... 283
2. '사설시조'로 誤認된 〈엮음수심가〉 42首 ... 284
3. 〈역금 三章〉과 '휘모리 雜歌' ... 295
4. 맺음말 ... 314
제3부 문학과 문화
「어초문답」과「漁樵問答圖」의 문화담론 고찰 ... 319
1. 머리말 ... 319
2. 李明郁의「어초문답도」와 謙齊의 「어초문답도」 ... 320
3. 「어초문답」과 「漁樵問答圖」의 텍스트-간 상호대화성 ... 327
4. 맺음말 ... 337
조선후기 呈才와 歌曲의 관계 ... 341
1. 머리말 ... 341
2. 조선후기 정재 연행공간의 문화적 지형 ... 343
3. 조선후기 정재와 가곡의 관련 양상 ... 353
4. 맺음말 ... 368
〈옹고집전〉의 서술자 목소리와 서사 구성력 ... 371
1. 〈옹고집전〉의 자료 개관 ... 371
2. 판소리 서사물의 '서술자 성격의 특수성'과 〈옹고집전〉 ... 375
3. 〈옹고집전〉의 이본 유형에 관한 기존논의 검토 ... 383
4. 〈옹고집전〉의 이본 유형과 서술자 목소리 ... 391
5. 〈옹고집전〉 이본의 유통문화권과 주제 ... 404
呈才, 「項莊舞」의 연희전승과 극 연출 방식 ... 413
1. 머리말 ... 413
2. 「항장무」의 연희 전승 양상 ... 415
3. 「항장무」의 극 연출 방식 ... 426
4. 맺음말 ... 447
19세기 국문시가의 구도와 해석의 지평 ... 451
1. 머리말 ... 451
2. 19세기 '가곡'의 향유와 '시조'의 대중성 확보 ... 453
3. 19세기 '가사'의 향유와 '잡가'의 통속성 지향 ... 460
4. 맺음말 ... 469
참고문헌 ... 471
찾아보기 ... 483
더보기 닫기